포털:천문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stronomy Portal
여기는 위키백과 천문학 포털입니다 · 천문학 · 위키프로젝트 천문학 · 분류:천문학

천문학이란

천문학(天文學)은 항성, 행성, 혜성, 은하계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다. 우주의 진화, 물리학, 화학, 운석, 천체의 운동, 형성과 발전(진화) 등을 그 대상으로 한다.

천문학자 케플러.
천문학자 케플러.

천문학은 자연과학 가운데 비교적 일찍 시작된 학문으로, 천체를 관측하여 방위를 알고 항해의 원리에 이용하는 등의 목적으로 크게 발전되어 왔다.

은하의 충돌.
은하의 충돌.

17세기를 전후하여 발명된 망원경으로 천문학은 '더 멀리' 볼 수 있게 되었고, 20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발전된 역학, 전자기학상대성이론과 같은 현대 물리학의 업적은 천문학과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면서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인간은 지구를 벗어나 우주 공간에서 우주를 관찰·탐험하는 경지에 이르렀다. 20세기에 접어들어 천문학은 천체물리학이라는 특수 연구 분야의 발전에 힘입어 천체에 관한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알찬 글

칼리스토
칼리스토

칼리스토(Callisto)는 목성위성으로서,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발견했다.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큰 위성이고, 목성의 위성 중에서는 가니메데 다음으로 크며, 행성 분화율은 태양계에서 제일 낮다. 지름은 4,821 km이며 수성의 99%에 달하는 크기를 가졌지만 질량은 3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궤도 반경은 1,880,000 km이고 갈릴레이 위성 중에서는 목성으로부터 제일 멀리 있다. 칼리스토는 내부 갈릴레이 위성들(이오, 유로파, 가니메데)과 궤도 공명을 일으키지 않고, 따라서 조석 가열의 정도가 약하다. 칼리스토는 목성에 조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같은 면만 목성을 바라보게 된다. 칼리스토는 다른 목성의 위성들에 비해 자기권이 약한데, 이는 목성의 방사선대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칼리스토는 거의 같은 비율의 암석얼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밀도는 1.83 g/cm3으로 목성의 주요 위성들 중 밀도가 가장 낮고 표면 중력 또한 가장 약하다. 분광기를 사용해 표면을 분석했을 때 발견된 물질들로는 얼음, 이산화 탄소, 규산염, 유기 화합물들이 있었다. 갈릴레오 탐사선은 칼리스토가 작은 규산염 이 있을 수도 있다는 사실과 칼리스토가 깊이 100 km가 넘는 지하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을 밝혀냈다. 만약 칼리스토에도 바다가 존재한다면 다른 천체들처럼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환경은 근처의 유로파보다 좋지 않으리라고 추측된다. 또한 칼리스토는 방사능이 매우 낮아, 미래 유인 목성계 탐사 시 기지를 세울 장소로 고려되고 있다.

이주의 천체

센타우루스 A 은하(NGC 5128)는 우리 은하로부터 14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센타우루스자리에 있는 특이은하이다. 이것은 지구에 가장 가까운 라디오 전파원 중 하나이며, 그래서 이 활동은하핵은 전문적인 천문학자들에게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왔다. 은하 자체도 전천에서 다섯째 밝으며, 은하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블랙홀로부터 에너지를 얻어내는 상대론적 제트는 X선과 라디오 파장을 방출한다.

이주의 천문학자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년 12월 27일 ~ 1630년 11월 15일 )는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점성학자, 수학자로 과학혁명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가 발견한 행성운동법칙, 즉 케플러의 법칙으로 유명하다. 최초의 이론 천문물리학자라 불리기도 하며 칼 세이건은 그를 최후의 과학적 점성학자라 부른 바 있다.

후에 아이작 뉴턴은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 케플러의 법칙을 설명하는 이론적 발판을 마련하였다.

한편, 케플러는 똑똑했지만 조금 이상한 사람이었는데, 무심코 자기 어머니가 마녀라고 했다가 어머니가 종교재판에 끌려가자 뒤늦게 어머니를 구해냈지만, 옥고로 인해 어머니는 얼마 뒤 죽고 말았다.

천문학 관련 새 소식

오늘의 그림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