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포털:천문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stronomy Portal
여기는 위키백과 천문학 포털입니다 · 천문학 · 위키프로젝트 천문학 · 분류:천문학

천문학이란

천문학(天文學)은 항성, 행성, 혜성, 은하계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다. 우주의 진화, 물리학, 화학, 운석, 천체의 운동, 형성과 발전(진화) 등을 그 대상으로 한다.

천문학자 케플러.
천문학자 케플러.

천문학은 자연과학 가운데 비교적 일찍 시작된 학문으로, 천체를 관측하여 방위를 알고 항해의 원리에 이용하는 등의 목적으로 크게 발전되어 왔다.

은하의 충돌.
은하의 충돌.

17세기를 전후하여 발명된 망원경으로 천문학은 '더 멀리' 볼 수 있게 되었고, 20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발전된 역학, 전자기학상대성이론과 같은 현대 물리학의 업적은 천문학과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면서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인간은 지구를 벗어나 우주 공간에서 우주를 관찰·탐험하는 경지에 이르렀다. 20세기에 접어들어 천문학은 천체물리학이라는 특수 연구 분야의 발전에 힘입어 천체에 관한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알찬 글

행성상성운
행성상성운

행성상성운(行星狀星雲, planetary nebula)은 발광성운의 일종으로, 늙은 적색거성의 외피층이 팽창하여 형성된 전리 기체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용어는 1780년대에 윌리엄 허셜이 고안한 것으로, 망원경으로 들여다보았을 때 행성처럼 원반 모양의 상을 나타낸다고 하여 만들어진 용어인즉, 엄밀히는 틀린 용어이다. 하지만 허셜의 용어는 널리 사용되었고, 지금까지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행성상성운의 수명은 수만 년 정도로, 우주적 규모에서는 상대적으로 짧게 지속되는 현상이다.

대부분의 행성상성운의 형성 기작은 별의 수명이 거의 다 끝난 적색거성 단계에서, 별의 외피층은 강력한 항성풍에 의해 바깥쪽으로 방출된다. 그 결과 적색거성의 대기 대부분이 팽창해 나가고 나면, 노출된 뜨겁고 밝은 항성핵이 자외선을 내뿜어 팽창한 외피층을 전리시킨다. 흡수된 자외선은 중심별 주위의 흐릿한 기체를 들뜨게 만들고, 알록달록한 행성상성운이 보이게 된다.

행성상성운은 핵합성 결과 생성된 원소들성간매질로 돌려보냄으로써 은하의 화학적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행성상성운은 먼 외부은하들에서도 발견된 바 있으며, 외부은하의 화학적 성분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최근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에서, 많은 행성상성운들이 형태학적으로 매우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주의 천체

해왕성(海王星; Neptune)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 가장 바깥에 있는 행성이다. 해왕은 바다의 왕이라는 한자어로, 포세이돈(그리스 신화) 또는 넵투누스(로마 신화명)를 번역한 것이다. 표면은 천왕성과 마찬가지로 언 메탄으로 되어있는데, 탁한 청록색의 천왕성과 달리 밝고 맑은 푸른빛을 띤다.

해왕성의 위성은 현재까지 13개가 발견되었다. 이 중 가장 유명한 위성은 트리톤으로, 1846년 윌리엄 라셀에 의해 발견되었다. 두 번째 위성은 트리톤 발견 후 100년이 조금 더 지난 1946년 제러드 카이퍼가 발견하였고, 네레이드라는 이름을 붙였다. 나머지 위성은 보이저 2호가 해왕성을 탐사하던 중 발견되었다.

해왕성은 어두운 행성 고리를 가지고 있다. 1989년 보이저 2호가 해왕성을 탐사하면서 해왕성은 매우 가늘고 어두운 고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주의 천문학자

조제프 루이 라그랑주
조제프 루이 라그랑주
조제프루이 라그랑주(Joseph-Louis Lagrange, 1736년 1월 25일 ~ 1813년 4월 10일)는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이다. 프랑스프로이센에서도 활동했다. 변분법을 만들었고, 라그랑주 역학을 만들었으며, 평균값 정리를 증명했다. 미분방정식의 기초를 닦고, 수론의 여러 정리를 증명했다.

천문학 관련 새 소식

오늘의 그림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