득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득음(得音)은 판소리 창자(唱者)의 음악적 역량이 완성된 상태로 성음을 얻었다는 뜻이다.

판소리의 음악적 3요소인 성음·길·장단 중에서 특히 제일 중요하고 마지막 수련과정인 발성법에 관련된 것으로 성음을 자유자재로 구사해서 사실의 이면을 그릴 수 있는 경지를 가리킨다. 명창들이 득음을 위해 산속에서 수련하는 과정을 ‘득공’이라 하고 득음의 경지에 이르면 모든 소리를 자연에 가깝게 묘사할 수 있다고 한다. 신재효는 그의 창작 단가인 〈광대가〉에서 광대의 구비조건으로 첫째 인물치레, 둘째 사설치레, 셋째 득음, 넷째 너름새를 제시한 바 있다. 그 중 득음은 “오음을 분별하고 육율을 변화하여 오장에서 나는 소리 농낙하여 자아낼 제”라고 설명했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