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창극으로 구성한 심청가의 한 장면
심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재
전승자김영자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정회석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심청가(沈淸歌)는 소설 심청전의 내용을 판소리로 만든 것이다. 판소리 다섯 마당 중의 하나로 주로 애절하고 슬픈 대목이 많아서 골계미가 적다. 과거에는 너무 슬픈 소리라 하여 높게 치지 않았으나 근래에는 《춘향가》 다음으로 예술성이 높은 작품으로 평가된다. 심봉사의 딸 심청은 어려서 친모를 잃었으나 효성이 지극하여 아버지를 봉양하다 그 눈을 띄우기 위해 스스로 몸이 팔려 인당수에 떨어지나 다시 환생하여 황후가 되고 심봉사는 그 효성에 눈을 뜨게 된다는 심청전의 줄거리이다.

구성[편집]

① 초앞(廳-초비두)[1] ② 심청 탄생 ③ 곽씨 부인 죽는 대목 ④ 곽씨 부인 장사 ⑤ 심청 효행 ⑥ 장 승상 부인 만나는 대목 ⑦ 심봉사 화주승 만나는 대목 ⑧ 남경 선인 만나는 대목 ⑨ 인당수 들어가는 대목 ⑩ 심청 환생 ⑪ 뺑파 과장 ⑫ 황성 올라가는 대목 ⑬ 맹인 잔치 ⑭ 뒤풀이

음악적 특징과 눈대목[편집]

《심청가》는 판소리 다섯 바탕 가운데 가장 애절한 정서를 기저에 두고 있는 작품이다. 물론 대목에 따라서 소소한 웃음거리[2]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비장미가 넘치는 작품이다. 때문에 화평한 평조(平調) 보다는 유장한 우조(羽調), 우렁찬 우조보다는 슬픈 계면조(界面調)를 사용한다. 고제(古制)일수록 우조의 비중이 다소 높으며 신제(新制)일수록 계면조와 평조의 비율이 높아진다.

《심청가》 가운데 목기교나 부침새 면에서 가장 치밀하고 탁월하게 구성되어 있는 대표적인 눈대목은 다음과 같다.

  • 곽씨 부인 유언 (계면조-진양)
  • 상여소리 (계면조-중모리, 중중모리)
  • 주과포혜 (계면조-진양)[3]
  • 시비따라 가는 대목 (우조-진양)
  • 범피중류 (우조-진양)
  • 화초타령 (평조-중중모리)[4]
  • 추월만정 (계면조-진양)
  • 방아타령 (평조-중중모리, 자진모리)[5]

《심청가》의 명창과 전승 현황[편집]

《심청가》를 잘했고, 더늠을 남긴 명창으로는 송광록(宋光綠), 전도성(全道成), 김채만(金采萬), 박기홍(朴基洪), 정창업(丁昌業), 김창룡(金昌龍) 등을 들 수 있다. 송광록과 전도성의 더늠은 범피중류, 김채만의 더늠은 초앞, 박기홍과 김창룡의 더늠은 화초타령[6], 정창업의 더늠은 중타령 대목이다. 이 외에도 김창룡의 동생 김창진(金昌鎭)이 또한 《심청가》를 잘했고, 송만갑(宋萬甲)도 잘했다고 하며, 이날치(李捺治)와 박유전(朴裕全)이 또한 심청가를 잘했다. 이들 이후로 여류명창 이화중선(李花仲仙)은 《심청가》가운데 추월만정 대목으로 공전의 빅히트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박유전의 지도를 받은 정재근(鄭在根)과 그 조카 정응민(鄭應珉), 김채만의 지도를 받은 박동실(朴東實)이 또한 심청가를 잘했다.

이러한 명창들의 계통을 중심으로 근래에 전승되어 전판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심청가》의 유파는 다음과 같이 5개 정도의 유파가 있다. (진한 글씨: 심청가 예능보유자)

  • 정응민 바디 : 박유전 → 정재근 → 정응민정권진 → 성우향, 조상현, 성창순김영자, 정회석 : 현재 김영자, 정회석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 박동실 바디 : 이날치 → 김채만 → 박동실 → 한애순, 장월중선, 한승호 → 정순임[7] : 본래 처음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나 박동실의 월북 이후 현재 예능보유자는 지정되지 않았고 장월중선, 한애순 등에게 전승되었다. 장월중선의 딸 정순임은 국가무형문화재 ‘흥보가’ 예능보유자이다.
  • 김연수 바디 : 송만갑, 정응민 → 김연수 → 오정숙 → 이일주
  • 김소희 바디 : 송만갑, 박동실, 정응민 → 김소희→ 신영희, 안향련, 안숙선
  • 박동진 바디 : 김정근 → 김창진 → 박동진 → 김양숙 : 현재 연창되지 않음.

각주[편집]

  1. 대개 "송나라 원풍 말년에(혹은 송 태조 입국지초에)"로 시작하는 아니리로 시작하여 삯바느질 관대(冠帶)·도복(道服, 도포道袍라고 하는 사설도 있다.)·행의(行衣)·창의(氅衣)·직령(直領)이며-"로 시작하는 중중모리 사설의 곽씨부인 행실 대목이 나오는데, 박동진 사설에는 심봉사가 눈이 먼 내력을 얘기하는 대목이 더 첨부되어 있다.
  2. 심청 탄생 대목이라거나 심봉사가 딸을 배불리 먹이고 좋아하는 대목, 심봉사가 화주승 만나는 대목 일부, 뺑파 과장, 방아타령 등이 심청가 가운데 다소 골계적인 대목으로 꼽힌다.
  3. 강산제, 동초제, 만정제 심청가 등 대부분 유파의 창자들은 "주과포혜 박잔하여"로 부르고 있으나, 한애순의 경우에는 "주과포 박잔혜여"라는 사설로 부르고 있고, 박동진의 경우에는 "주과포 박잔이지마는"으로 부르고 있다.
  4. 박기홍은 진양 우조로 화초타령을 노래했다고 한다. (박동진 증언, 1994.10.29, 국립극장 완창판소리『박동진 심청가』, 완창 실황 中.)
  5. 현대에는 평계면으로 부르는 이들도 많으며, 과거에는 경조(京調)로도 노래한 바 있다 한다.
  6. 박기홍과 김창룡의 창제는 사뭇 다른데가 있는데, 박기홍은 진양 우조이고 김창룡은 중중모리 평조이며, 김창룡의 화초타령은 정춘풍의 것을 이어받은 것이다. 김창룡 외에도 송만갑이 또한 화초타령을 중중모리 평조로 방창했다고 한다.
  7. 한애순과 장월중선의 《심청가》는 서로 유사하나 한승호의 경우에는 이들과 다소 차이가 있는데, 이것은 한승호의 재창작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