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문서다. 한국은 1997년 11월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사실상의 고성장 시대는 끝나게 되었다. 다만 이후에도 IT나 BT, 한류 문화 분야 등의 신산업은 꾸준히 성장하였고, 덕분에 오일 쇼크의 여파가 미친 1980년과 국제 통화 기금(IMF)의 지원을 받은 1998년, 2020년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양(+)의 성장을 유지해 왔다. 1983년부턴 경제성장률이 물가상승률도 추월하였다. 참고로 경제성장률 전망은 속보치와 이후 수치가 다를 수 있고, 기관 내 기준의 변화 등에 따라 수년 후에도 수정되는 경우가 있다. 당장 아래 그래프와 도표에서 수치들이 차이가 나는 이유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 도표[편집]
년도 | 명목GDP(억$) | 국민총소득(명목GNI)(억$) | 1인당GNI($) | 경제성장률[1][2] | 대통령 |
---|---|---|---|---|---|
1953년 | - | - | - | N/A | 이승만 |
1954년 | - | - | - | 7.2% | 이승만 |
1955년 | - | - | - | 5.8% | 이승만 |
1956년 | - | - | - | 0.7% | 이승만 |
1957년 | - | - | - | 7.2% | 이승만 |
1958년 | - | - | - | 9.2% | 이승만 |
1959년 | - | - | - | 6.5% | 이승만 |
1960년 | 39[3] | - | - | 5.4% | 윤보선(명예직) |
1961년 | 23.5 | - | - | 2.3% | 윤보선(〃) |
1962년 | 27.5 | - | - | 3.8% | 윤보선(〃) |
1963년 | 38.6 | - | - | 9.2% | 박정희 |
1964년 | 33.5 | - | - | 9.5% | 박정희 |
1965년 | 30.2 | - | - | 7.2% | 박정희 |
1966년 | 38.1 | - | - | 12% | 박정희 |
1967년 | 47 | - | - | 9.1% | 박정희 |
1968년 | 60 | - | 13.2% | 박정희 | |
1969년 | 75 | - | - | 14.5% | 박정희 |
1970년 | 94 | - | - | 10% | 박정희 |
1971년 | 104 | - | - | 10.5% | 박정희 |
1972년 | 113 | - | - | 7.2% | 박정희 |
1973년 | 145 | - | - | 14.8% | 박정희 |
1974년 | 204 | - | - | 9.5% | 박정희 |
1975년 | 228 | - | - | 7.9% | 박정희 |
1976년 | 313 | - | - | 13.1% | 박정희 |
1977년 | 402 | - | - | 12.3% | 박정희 |
1978년 | 542 | - | - | 10.8% | 박정희 |
1979년 | 697 | - | - | 8.6% | 박정희,최규하 |
1980년 | 678 | - | - | -1.7% | 최규하,전두환 |
1981년 | 762 | - | - | 7.2% | 전두환 |
1982년 | 816 | - | - | 8.3% | 전두환 |
1983년 | 905 | - | - | 13.2% | 전두환 |
1984년 | 999 | - | - | 10.4% | 전두환 |
1985년 | 1,037 | - | - | 7.7% | 전두환 |
1986년 | 1,198 | - | - | 11.2% | 전두환 |
1987년 | 1,510 | - | - | 12.5% | 전두환 |
1988년 | 2,023 | - | - | 11.9% | 노태우 |
1989년 | 2,488 | - | - | 7.0% | 노태우 |
1990년 | 2,848 | - | - | 9.8% | 노태우 |
1991년 | 3,323 | - | - | 10.4% | 노태우 |
1992년 | 3,561 | - | - | 6.2% | 노태우 |
1993년 | 3,920 | - | - | 6.9% | 김영삼 |
1994년 | 4,587 | - | - | 9.3% | 김영삼 |
1995년 | 5,593 | - | - | 9.6% | 김영삼 |
1996년 | 6,034 | - | - | 7.9% | 김영삼 |
1997년 | 5,164 | 5,136 | 11,176 | 6.2% | 김영삼 |
1998년 | 3,461 | 3,404 | 7,355 | -5.1% | 김대중 |
1999년 | 4,452 | 4,400 | 9,438 | 11.5% | 김대중 |
2000년 | 5,118 | 5,096 | 10,841 | 9.1% | 김대중 |
2001년 | 4,820 | 4,811 | 10,159 | 4.5% | 김대중 |
2002년 | 5,164 | 5,475 | 11,497 | 7.4% | 김대중 |
2003년 | 5,469 | 6,086 | 12,717 | 3.1% | 노무현 |
2004년 | 6,080 | 6,824 | 14,206 | 5.2% | 노무현 |
2005년 | 7,913 | 7,901 | 16,413 | 4.3% | 노무현 |
2006년 | 9,511 | 9,525 | 19,722 | 5.3% | 노무현 |
2007년 | 10,493 | 10,512 | 21,695 | 5.8% | 노무현 |
2008년 | 9,287 | 9,347 | 19,231 | 3.0% | 이명박 |
2009년 | 8,329 | 8,372 | 17,175 | 0.8% | 이명박 |
2010년 | 11,732 | 10,146 | 20,759 | 6.8% | 이명박 |
2011년 | 12,371 | - | 22,489 | 3.7% | 이명박 |
2012년 | - | - | 24,696 | 2.4% | 이명박 |
2013년 | - | - | 26,179 | 3.2% | 박근혜 |
2014년 | - | - | 28,180 | 3.2% | 박근혜 |
2015년 | - | - | - | 2.8% | 박근혜 |
2016년 | - | - | - | 2.9% | 박근혜 |
2017년 | - | - | - | 3.2% | 문재인 |
2018년 | - | - | - | 2.9% | 문재인 |
2019년 | - | - | - | 2.2% | 문재인 |
2020년 | - | - | - | -0.9% | 문재인 |
2021년 | - | - | - | 4.0% | 문재인 |
- (NOTE: 14대 김영삼 정부, 15대 김대중 정부, 16대 노무현 정부, 17대 이명박 정부, 18대 박근혜 정부)
1997년 12월 IMF의 원조를 받게 되는 제14대 김영삼 정부의 영향으로, 1998년은 -5.1%를 기록하였으며,
제15대 김대중 정부는 평균 5.32% 성장을,
제16대 노무현 정부는 평균 4.48%의 성장을,
제17대 이명박 정부는 평균 3.20%의 성장을,
제18대 박근혜 정부는 평균 2.97%의 성장을,
제19대 문재인 정부는 3년간 평균 2.32%의 성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