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기리타르
![]() | ||||||||||||||||||
![]() 닐기리타르 | ||||||||||||||||||
보전 상태 | ||||||||||||||||||
---|---|---|---|---|---|---|---|---|---|---|---|---|---|---|---|---|---|---|
![]() 위기(EN),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Nilgiritragus hylocrius (Ogilby, 1838) | ||||||||||||||||||
이명 | ||||||||||||||||||
Hemitragus hylocrius |
닐기리타르(Nilgiri tahr, 학명: Nilgiritragus hylocrius)는 유제류의 일종이다. 닐기리염소 또는 닐기리아이벡스로도 부른다. 우제목 소과에 속하는 닐기리타르속(Nilgiritragus)의 유일종이다. 인도 남부 타밀나두 주와 케랄라 주의 서고츠 산맥 남부와 닐기리 계곡에서 서식한다. 타밀나두 주의 주 동물이다. 현지에서 부르는 이름("닐기리염소" 또는 "닐기리아이벡스")에도 불구하고, 아이벡스와 염소속의 야생 염소보다는 양속의 양에 더 가깝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19년 주라노(Zurano) 등의 연구에 기초한 양족의 계통 분류이다.[2]
양족 |
| ||||||||||||||||||||||||||||||||||||||||||||||||||||||||||||||||||||||||||||||
각주[편집]
- ↑ “Nilgiritragus hylocri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4월 5일에 확인함.
- ↑ Juan P. Zurano, Felipe M. Magalhães, Ana E. Asato, Gabriel Silva, Claudio J. Bidau, Daniel O. Mesquita und Gabriel C. Costa: Cetartiodactyla: Updating a time-calibrated molecular phylogeny.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133, 2019, S. 256–262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ARKive - images and movies of the Nilgiri tahr (Hemitragus hylocrius)
- https://web.archive.org/web/20160110153501/http://nilgiritahrinfo.info/
![]() |
이 글은 포유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