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복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 나미비아 에토샤 국립공원의 수컷 스프링복 | ||||||||||||||||||
![]() 나미비아 에토샤 국립공원의 암컷 스프링복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Antidorcas marsupialis (Zimmermann, 1780) | ||||||||||||||||||
![]() 스프링복의 분포 지역 |
스프링복(Antidorcas marsupialis)은 우제목/경우제목 소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 아프리카 남서부 지역에서 서식하는 중간 크기의 갈색과 흰색 영양-가젤의 일종이다.[2] 극히 빨라서 시속 88km 속도로 달릴 수 있고,[3][4] 4m 높이까지 뛸 수 있다.[5] "스프링복"(springbok)이라는 이름은 아프리칸스어와 네덜란드어에서 "뛰어오르다"(jump)라는 의미의 "스피링"(spring)과 수컷 영양 또는 염소를 의미하는 "복"(bok)의 합성어에서 유래했다.
천적은 사자, 치타, 표범, 하이에나, 아프리카들개, 카라칼이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13년 비비(Bibi)와 바르만(Bärman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6][7][8]
소과 |
| ||||||||||||||||||||||||||||||||||||||||||||||||||||||||||||||||||||||||||||||||||||||||||||||||||||||||||||||||||||||||||||||||||||||||||
각주[편집]
- ↑ IUCN SSC Antelope Specialist Group (2008). “Antidorcas marsupial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4.2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15년 1월 7일에 확인함.
- ↑ Grubb, P. (2005). 〈Order Artiodactyla〉 [우제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678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Burton, Maurice; Burton, Robert (2002년 1월 1일). 《International Wildlife Encyclopedia Set》. Marshall Cavendish. 226, 2499쪽. ISBN 9780761472667.
- ↑ Estest, Richard. 〈springbok〉.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Encyclopedia Britannica. 2013년 1월 8일에 확인함.
- ↑ “rollinghillswildlife/animals/springbok” (PDF).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16일에 확인함.
- ↑ Fayasal Bibi: A multi-calibrated mitochondrial phylogeny of extant Bovidae (Artiodactyla, Ruminantia) and the importance of the fossil record to systematics. BMC Evolutionary Biology 13, 2013, S. 166
- ↑ Eva Verena Bärmann, Gertrud Elisabeth Rössner und Gert Wörheide: A revised phylogeny of Antilopini (Bovidae, Artiodactyla) using combined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67 (2), 2013, S. 484–493
- ↑ Eva V. Bärmann and Tim Schikora: The polyphyly of Neotragus – Results from genetic and morphometric analyses. Mammalian Biology 79, 2014, S. 283–286
![]() |
이 글은 포유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