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뿔영양
![]() | ||||||||||||||||||
네뿔영양 수컷 | ||||||||||||||||||
![]() 네뿔영양 암컷 | ||||||||||||||||||
보전 상태 | ||||||||||||||||||
---|---|---|---|---|---|---|---|---|---|---|---|---|---|---|---|---|---|---|
![]() 취약(VU),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Tetracerus quadricornis (Blainville, 1816) | ||||||||||||||||||
![]() 네뿔영양의 분포 지역 |
네뿔영양(Tetracerus quadricornis)은 인도와 네팔의 소림(疏林, Open Forest)에서 발견되는 작은 영양의 일종이다. 네뿔영양속(Tetracerus)의 유일종이다. 어깨 높이는 55-64cm 정도로 아시아 소과 중에서 가장 작은 동물이다. 수컷은 현존하는 포유류 중에서 아주 독특하게도 4개의 뿔을 갖고 있다. 서식지 감소때문에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이 종을 멸종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천적은 호랑이, 아시아사자, 표범, 승냥이 다.
아종[편집]
3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
- Tetracerus quadricornis quadricornis
- Tetracerus quadricornis iodes
- Tetracerus quadricornis subquadricornis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13년 비비(Bibi)와 바르만(Bärman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3][4][5]
소과 |
| ||||||||||||||||||||||||||||||||||||||||||||||||||||||||||||||||||||||||
참고 문헌[편집]
- Baskaran, N., Desai, A. A., & Udhayan, A. (2009).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of the four-horned antelope (Tetracerus quadricornis) in the tropical forest of Southern India. Scientific Transactions in Environment and Technovation, 2, 139-144.
- Sharma, K., Rahmani, A. R. and Chundawat, R. S. (2005). Ecology and Distribution of Four-horned antelope in India: Final Report.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Mallon, D.P. (2008). “Tetracerus quadricorn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0.4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11년 3월 25일에 확인함.
- ↑ Wilson, D.E.; Reeder, D.M., 편집. (2005). “Tetracerus quadricornis”.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Fayasal Bibi: A multi-calibrated mitochondrial phylogeny of extant Bovidae (Artiodactyla, Ruminantia) and the importance of the fossil record to systematics. BMC Evolutionary Biology 13, 2013, S. 166
- ↑ Eva Verena Bärmann, Gertrud Elisabeth Rössner und Gert Wörheide: A revised phylogeny of Antilopini (Bovidae, Artiodactyla) using combined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67 (2), 2013, S. 484–493
- ↑ Eva V. Bärmann and Tim Schikora: The polyphyly of Neotragus – Results from genetic and morphometric analyses. Mammalian Biology 79, 2014, S. 283–286
![]() |
이 글은 포유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