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축구 올림픽 기록 목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음은 1908년 남자 축구가 올림픽 공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래 역대 올림픽 남자 축구 종목의 기록 목록이다.

메달순위[편집]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는 공동 동메달이 나왔다.

순위나라합계
1 헝가리3115
2 영국3003
3 브라질2327
4 아르헨티나2204
5 소련 (URS)2035
6 우루과이2002
7 유고슬라비아 (YUG)1315
8 스페인1304
9 폴란드1203
10 동독 (GDR)1113
 나이지리아1113
12 체코슬로바키아 (TCH)1102
 프랑스1102
14 스웨덴1023
 이탈리아1023
16 멕시코1012
 벨기에1012
18 카메룬1001
 캐나다1001
20 덴마크0314
21 미국0112
 불가리아0112
23 독일0101
 스위스0101
 오스트리아0101
 파라과이0101
27 네덜란드0033
28 서독 (FRG)0011
독일 연합 (EUA)0011
 가나0011
 노르웨이0011
 대한민국0011
 일본0011
 칠레0011
합계 (34개)27272882

최다 득점자[편집]

1908년 런던 올림픽에서 남자 축구 대회가 처음 열린 이래 역대 최다 득점자는 덴마크의 소푸스 닐센과 헝가리의 안탈 두나이가 13골 득점으로 공동기록을 지니고 있다. 소푸스 닐센은 1908년 런던 올림픽에서 11골,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서 2골을 넣었고, 두나이는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6골,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7골을 넣었다.

단일 대회 최다 득점자는 헝가리의 페렌츠 베네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12골을 기록했다. 단일 경기 최다 득점자는 10골을 기록한 소푸스 닐센과 고트프리트 푹스로, 소푸스 닐센은 1908년 프랑스와의 준결승전에서, 푹스는 1912년 러시아와의 1차 경기에서 기록하였다.

올림픽 역사상 가장 빠른 득점자는 브라질의 네이마르로, 2016년 8월 17일 온두라스와의 준결승 경기에서 경기 시작 14초 만에 골을 기록했다.[1]

국가대표팀 성적 기록[편집]

아래 기록들의 순서는 해당 기록을 먼저 달성한 국가대표팀부터 나열하였다.

최다 우승 기록
3회: 영국 영국 ( 1900, 1908, 1912) / 헝가리 ( 1952, 1964, 1968 )
최다 2위권 기록
5회:  브라질 ( 1984, 1988, 2012, 2016, 2020 )
최다 3위권 기록
7회:  브라질 ( 1984, 1988, 1996, 2008, 2012, 2016, 2020 )
최다 4위권 기록
8회:  브라질 ( 1976, 1984, 1988, 1996, 2008, 2012, 2016, 2020 )
최다 본선 진출
15회: 이탈리아 ( 1912, 1920, 1924, 1928, 1936, 1948, 1952, 196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

최연속 기록[편집]

최연속 메달
4회: 유고슬라비아 (1948~1952~1956~1960) / 헝가리 (1960~1964~1968~1972) / 브라질 (2008–2012–2016–2020)
최연속 금메달
2회: 영국 (1908~12)[a] / 우루과이 (1924~28) / 헝가리 (1964~68) /  아르헨티나(2004~08) /  브라질 (2016~20)
최연속 은메달
3회: 유고슬라비아 (1948~52~56)
최연속 동메달
3회: 네덜란드 (1908~12~20)
최연속 3위권 진출
3회: 소련 (1972~1980)[b]
최연속 우승팀 소속 연맹
13승: UEFA (1936-1992)
최연속 승리
12승:  아르헨티나 (2004~2008), 대회당 6승

간격[편집]

대회 우승 최장 간격
32년: 소련 (1956년~1988년)
2위권 진입 최장 간격
72년: 스페인 (1920년~1992년)

개최국[편집]

개최국 최고 성적
우승:  영국 (1908) / 벨기에 (1920) /  스페인 (1992) /  브라질 (2016)

기타[편집]

미우승국 최다 2위권 진입
3회: 덴마크 (1908, 1912, 1960)
미우승국 최다 3위권 진입
4회: 덴마크 (1908, 1912, 1948, 1960)
미우승국 최다 4위권 진입
4회: 네덜란드 (1908, 1912, 1920, 1924) / 덴마크 (1908, 1912, 1948, 1960)

국가대표팀 경기 기록[편집]

역대 기록[편집]

최다 경기 출전
66회: 브라질
최다 승리
38승: 브라질
최다 패배
23패: 이탈리아
최다 무승부
13무: 대한민국
최다 득점
134점: 브라질
최다 실점
102점: 세르비아
최소 실점
1점: 에스토니아

개인 기록[편집]

최다 경기 출전 (결승전 경험 선수)
13회: 데조 노바크 ( 헝가리, 1960~1968) / 안탈 두나이 ( 헝가리, 1964~1972) / 라요스 슈츠치 ( 헝가리, 1968~1972) / 미클로시 판치치 헝가리, 1968~1972)

하계 올림픽과 FIFA 월드컵에서 모두 우승한 선수[편집]

플레이어 올림픽 우승 월드컵 우승
호세 레안드로 안드라데 우루과이 1924년

1928년

1930년
페드로 세아
호세 나사시
페드로 페트로네
헥토르 스카로네
산토스 우르디나란
페레그리노 안셀모 1928년
엑토르 카스트로
로렌소 페르난데스
알바로 게스티도
도밍고 테헤라
알프레도 포니 이탈리아 1936년 1938년
세르지오 베르토니
우고 로카텔리
피에트로 라바
앙헬 디 마리아 아르헨티나 2008년 2022년
리오넬 메시

골 득점[편집]

개인 기록[편집]

결승전 최다 득점
13점: 1908년~1912년 소퍼스 닐슨 ( 덴마크) / 1964년~1972년 안탈 두나이 ( 헝가리)
토너먼트전 최다 득점
12점: 1964년 페렌츠 베네 ( 헝가리)
한 경기 최다 득점
10점: 소퍼스 닐슨 ( 덴마크), 1908년 프랑스전 / 고트프리트 푹스 ( 독일), 1912년 러시아전
최초 득점자
닐스 미델보에 ( 덴마크), 1908년 10월 19일 프랑스
최연소 득점자
16년 332일: 앙헬 우리베 ( 페루), 1960년 8월 26일 프랑스
최고령 득점자
38년 243일: 라이언 긱스 ( 영국), 2012년 7월 29일 아랍에미리트

국가대표팀 기록[편집]

한 경기 최다 득점, (특정팀)
17점: 1908년 덴마크 vs 프랑스
한 경기 최다 득점 (양팀)
18점: 1908년 덴마크 (17) vs 프랑스 (1)
최다득점 무승부
5-5: 1952년 소련 vs 유고슬라비아
토너먼트 최소 득점
0점: 2004년 아르헨티나

토너먼트[편집]

토너먼트전 최다 득점
135골: 1952년 헬싱키 올림픽, 1972년 뮌헨 올림픽
토너먼트전 최다 득점
48골: 1908년 런던 올림픽
한 경기 최다 평균 득점
경기당 8.00골: 1908년 런던 올림픽
한 경기 최소 평균 득점
경기당 2.34골: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수상팀 감독[편집]

종목
1904 캐나다 루이스 블레이크 더프 미국 조 라이든 없음
1908 잉글랜드 앨프리드 데이비스 잉글랜드 찰리 윌리엄스 잉글랜드 에드가 채드윅
1912 잉글랜드 애드리언 버치 잉글랜드 찰리 윌리엄스 잉글랜드 에드가 채드윅
1920 벨기에 라울 도프렌 드 라 슈발레리 스페인 프란시스코 브루 잉글랜드 프레더릭 워버튼
1924 우루과이 에르네스토 피골리 잉글랜드 에드워드 덕워스 헝가리 요제프 너지
1928 우루과이 프리모 자노티 스페인 호세 라고 미얀 이탈리아 아우구스토 랑고네
1936 이탈리아 비토리오 포초 잉글랜드 지미 호건 노르웨이 아스비외른 할보르센
1948 잉글랜드 조지 레이너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 잉글랜드 레그 마운트퍼드
1952 헝가리 구스타브 셰베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밀로라드 아르세니예비치 잉글랜드 조지 레이너
1956 소련 가브릴 카찰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밀로반 치리치 불가리아 스토얀 오르만지예프
불가리아 크룸 밀레프
1960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덴마크 아르네 쇠렌센 헝가리 벨러 볼렌티크
1964 헝가리 카로이 러커트 체코슬로바키아 루돌프 비틀라칠 헝가리 카로이 쇼시
1968 헝가리 카로이 러커트 불가리아 게오르기 베르코프 일본 나가누마 켄
1972 폴란드 카지미에시 구르스키 헝가리 루돌프 일로브스키 동독 게오르크 부슈너
1976 동독 게오르크 부슈너 폴란드 카지미에시 구르스키 소련 발레리 로바노우스키
1980 체코슬로바키아 프란티셰크 하브라네크 동독 루돌프 크라우제 소련 콘스탄틴 베스코프
1984 프랑스 앙리 미셸 브라질 자이르 피세르니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이반 토플라크
1988 소련 아나톨리 비쇼베츠 브라질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시우바 독일 한스 뢰허
1992 스페인 비센테 미에라 폴란드 야누시 부이치크 가나 샘 아데이
1996 네덜란드 조 본프레레 아르헨티나 다니엘 파사렐라 브라질 마리우 자갈루
2000 카메룬 장폴 아코노 스페인 이냐키 사에스 우루과이 넬손 아코스타
2004 아르헨티나 마르셀로 비엘사 파라과이 카를루스 자라 이탈리아 클라우디오 젠틸레
2008 아르헨티나 세르히오 바티스타 나이지리아 샘슨 시아시아 브라질 둥가
2012 멕시코 루이스 페르난도 테나 브라질 마누 메네지스 대한민국 홍명보
2016 브라질 호제리우 미칼리 독일 호르스트 흐루베슈 나이지리아 샘슨 시아시아
2020 브라질 안드레 자르지니 스페인 루이스 데 라 푸엔테 멕시코 하이메 로사노

하계 올림픽과 FIFA 월드컵에서 모두 우승한 감독[편집]

감독 대표팀 올림픽 우승 월드컵 우승
비토리오 포조 이탈리아 1936년 1934년, 1938년

규칙 기록[편집]

최다 퇴장 (통산, 팀)
6회: 이탈리아 / 모로코 / 스페인
최다 경고 (통상, 팀)
91회: 이탈리아

관객 기록[편집]

경기당 최다 평균 관객
47,660명: 2012년 런던 올림픽
경기당 최저 평균 관객
3,333명: 1908년 런던 올림픽

각주[편집]

  1. Although Great Britain won the 1900 competition, this is not recognized by FIFA.
  2. Although UEFA was founded in 1954, its records include all European teams which become UEFA members.

참고자료[편집]

  1. “Video: Watch Neymar net the fastest goal in Olympic history to take host nation Brazil into football final”. 2016년 8월 18일. 2016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8월 19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