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시로미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국화군 |
목: | 진달래목 |
과: | 진달래과 |
속: | 시로미속 |
종: | 검은시로미 |
학명 | |
'Empetrum nigrum' | |
L. | |
학명이명 | |
이명 목록[1]
|
검은시로미(학명: Empetrum nigrum 엠페트룸 니그룸[*])는 진달래과의 관목이다. 주로 암수딴그루인 식물이지만, 암수한그루 4배체 아종(subsp. hermaphroditum)도 존재한다.[2][3]
분포[편집]
북반구의 온대 및 냉대 기후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4] 남극 근처에도 자생한다. 분포지가 북극 근처부터 남극 근처까지 걸쳐 있는 것은 철새가 씨를 물어 나른 결과이다.[5] 원산지는 동북아시아(몽골, 일본, 중국, 한국), 동유럽(라트비아, 러시아, 리투아니아, 벨라루스, 에스토니아), 북유럽(노르웨이, 덴마크, 스발바르 얀마옌 제도, 스웨덴, 아이슬란드, 핀란드), 서유럽(네덜란드, 벨기에, 아일랜드, 영국), 중앙유럽(독일, 스위스, 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체코, 폴란드), 동남유럽(루마니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알바니아, 코소보, 크로아티아), 남유럽(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북아메리카(미국, 캐나다), 남아메리카(포클랜드 제도) 등이다.[6]
종내 분류군[편집]
- 시로미 E. nigrum subsp. asiaticum (Nakai ex H.Ito) Kuvaev
- E. nigrum subsp. albidum (V.N.Vassil.) Kuvaev
- E. nigrum subsp. androgynum (V.N.Vassil.) Kuvaev
- E. nigrum subsp. caucasicum (Juz.) Kuvaev
- E. nigrum subsp. hermaphroditum (Hagerup) Böcher
- E. nigrum subsp. kardakovii (V.N.Vassil.) Kuvaev
- E. nigrum subsp. sibiricum (V.N.Vassil.) Kuvaev
- E. nigrum subsp. subholarcticum (V.N.Vassil.) Kuvaev
각주[편집]
- ↑ “Empetrum nigrum L.”. 《플랜트 리스트》 (영어). 큐 왕립식물원. 2012년 3월 23일. 2019년 4월 9일에 확인함.
- ↑ Stace, C. A. (2010) New Flora of the British Isles, 3r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70772-5. pp. 525.
- ↑ Kråkbär
- ↑ Anderberg, Arne. “Den Virtuella Floran, Empetrum nigrum L.”. Stockholm, Sweden: Naturhistoriska riksmuseet.
- ↑ Magnus Popp; Virginia Mirré; Christian Brochmann. Peter H. Raven, 편집. “A single Mid-Pleistocene long-distance dispersal by a bird can explain the extreme bipolar disjunction in crowberries”. 《PNAS》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Missouri) 108 (16): 6520–6525. doi:10.1073/pnas.1012249108. PMC 3081031.
- ↑ “Empetrum nigrum L.”. 《GRIN-Global Web v 1.10.4.0》 (영어). USDA. 1995년 12월 28일. 2019년 4월 9일에 확인함.
분류:
- 네덜란드의 식물상
- 노르웨이의 식물상
- 덴마크의 식물상
- 독일의 식물상
- 라트비아의 식물상
- 러시아의 식물상
- 루마니아의 식물상
- 리투아니아의 식물상
- 몬테네그로의 식물상
- 몽골의 식물상
- 미국의 식물상
- 벨기에의 식물상
- 벨라루스의 식물상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식물상
- 북마케도니아의 식물상
- 불가리아의 식물상
- 세르비아의 식물상
- 스웨덴의 식물상
- 스위스의 식물상
- 스페인의 식물상
- 슬로바키아의 식물상
- 슬로베니아의 식물상
- 시로미속
- 아이슬란드의 식물상
- 아일랜드의 식물상
- 알바니아의 식물상
- 에스토니아의 식물상
- 영국의 식물상
- 오스트리아의 식물상
- 이탈리아의 식물상
- 일본의 식물상
- 중국의 식물상
- 체코의 식물상
- 캐나다의 식물상
- 코소보의 식물상
- 크로아티아의 식물상
- 폴란드의 식물상
- 프랑스의 식물상
- 핀란드의 식물상
- 한국의 식물상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1753년 기재된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