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타
![]() Kangta | |
---|---|
![]() 2018년 7월 30일 촬영 | |
기본 정보 | |
본명 | 안칠현 (安七炫) |
출생 | 1979년 11월 29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륜동 | (43세)(음력 10월 10일)
직업 | 가수, 싱어송라이터 |
장르 | 댄스 팝, 발라드 |
활동 시기 | 1996년 ~ 현재 |
종교 | 무종교 |
소속사 | SM 엔터테인먼트 |
관련 활동 | |
웹사이트 | 공식사이트 |
강타 (Kangta, 본명: 안칠현, 安七炫, 1979년 11월 29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 싱어송라이터, 배우이다. 보이 그룹 H.O.T.의 메인보컬이었으며, SM 엔터테인먼트의 비등기 임원(이사)이기도 하다.
학력[편집]
성장 과정[편집]
강타(본명: 안칠현은 1979년 10월 10일 서울 송파구 오륜동에서 태어났다. 형제로는 누나와 형이 있다. 원래 부모님이 정해놓은 이름은 '안희성'란 이름으로 아버지가 돌림자를 넣은 이름을 받기 위해 고향 본가에 간 사이 우연히 지나가던 작명가가 '남들이 우러러볼 성공을 7번 한다'는 뜻으로 일곱 칠(七), 빛날 현(炫) 자를 써서 칠현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아버지가 희성이라는 이름을 받아왔을 때는 이미 가족들이 칠현이라는 이름에 익숙해져 있었던터라 그대로 쓰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어렸을 적 중학생 때까지는 집안에 상장이 도배될 정도로 공부를 잘했던 우등생이였으나, 평범하게 진로를 선택하길 바랬던 부모님의 기대와는 달리 메탈리카, 사이먼 앤 가펑클, 건스 앤 로지스 같은 록 음악을 처음 접하고, 음악에 빠져들었다. 그리고 중학생 시절에는 아르바이트 한 돈을 모아 낙원 상가에서 앰프랑 펜더 기타를 구입했으며, 이때 구입한 악기들이 처음 잡아보는 악기들이였다고 한다. 이후 우연히 보이즈 투 멘의 음악을 듣게 된 그는 흑인음악에 관심을 갖게 되고 점차 가수의 꿈을 키워갔다. 중학교 때부터 오디션을 보기 위해 노래방에서 녹음한 테이프와 친구들과 같이 춘 춤을 비디오카메라로 녹화했고, 이때 듀스를 동경한 그는 지구레코드 등 10여 군데 정도 되는 음반사를 직접 찾아다녔지만 너무 어린 나이 때문에 상대도 해주지 않거나 비웃는 듯이 코웃음을 치는 일들이 번번했다고 한다. 중학교 3학년에 된 1994년 말에 친구들과 “아 우린 너무 어려서 안 되나보다”하고 포기할 즈음에 롯데월드에서 한 명함을 받게 됐는데 그 명함이 바로 SM 엔터테인먼트 명함이였다. 당시 현진영과 유영진이 속해 있고 유명 방송인이자 가수였던 이수만이 대표란 말에 왠지 믿음이 가 곧장 친구들과 오디션을 보게 된 강타는 홀로 합격하게 된다.
H.O.T. 멤버를 선발하는 연습생으로 제일 먼저 합류하게 된 강타는 그의 뒤를 이어 오디션에 합격한 문희준과 함께 유영진의 "너의 착각" 무대 백댄서로 활동했었다. 이후 1년 7, 8개월여 정도 연습을 거쳐 H.O.T. 최종 멤버로 선발됐다.
경력[편집]
H.O T, 데뷔 및 활동 및 해체[편집]
강타는 문희준, 장우혁, 이재원과 함께 SM 엔터테인먼트에서 데뷔 준비중인 보이 그룹 멤버로 확정지었고 이후 미국에서 학업을 마치고 한국에 온 토니 안이 마지막으로 합류했다. 1996년 9월 5인조 보이 그룹 H.O.T. 멤버의 메인보컬로 데뷔했다. 이들은 MBC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에서 첫 데뷔해 활동을 시작했다.
H.O.T.는 1996년 9월 7일 첫 정규 앨범 〈We Hate All Kinds of VIolence...〉을 발매하고 타이틀곡 "전사의 후예"로 활동했다. 이 노래는 가요 순위 프로그램 10위권 내에 드는 등 인기몰이를 시작했으나, 표절 이야기가 나돌면서 곧바로 후속곡 '캔디'로 활동을 시작했다. 활동을 시작하자 마자 노래는 급속도로 인기가 치속으면서 데뷔 2개월 반만에 《SBS TV가요20》에서 1위에 오르며 국내 가수 최초로 최단 기단 1위에 오르는 기록을 세웠다. H.O.T.는 "캔디"로 1996 골든디스크 시상식을 포함해 연말 가요 시상식 신인상을 모두 휩쓸었다.
H.O.T.는 1997년 7월 두 번째 정규 앨범 〈Wolf and Sheep〉을 발매하고 타이틀곡 "늑대와 양"로 활동했다. 앨범은 후속곡 "행복", "We are the Future"가 연이어 메가 히트를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둔 후 각종 가요대상을 휩쓸면서 최고의 댄스그룹으로 자리를 굳힌 H.O.T.는 1998년 1월 초에 활동을 마무리했다. 1998년 9월 세 번째 정규 앨범 〈Resurrection〉를 발표하고 이 앨범을 시작으로 본인들의 자작곡을 수록하며 싱어송라이터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했다. 타이틀곡 '열맞춰!'는 H.O.T.가 데뷔한 이후 처음 타이틀곡이 1위를 기록했으며, 후속곡 '빛'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 노래는 강타가 작사·작곡·편곡한 곡으로 희망적인 메시지와 밝은 내일을 담은 가사와 경쾌한 멜로디로 음악방송에서 13번의 1위를 차지하는 등 IMF 당시 희망을 주는 노래로 큰 사랑을 받았으며, 연말에는 지상파 3사의 가요대상을 모두 휩쓸었고 아이돌 그룹으로서는 사상 최초로 그랜드슬램과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기록을 써냈다. 그들은 3집 활동 후에는 타이완을 공식 방문해 프로모션 및 콘서트를 개최하며 중화권으로 활동 범위를 넓혀갔다.
H.O.T.는 1999년 9월 15일 네 번째 정규 앨범 〈I yah!〉을 발매하고 타이틀곡 "아이야! (I yah!)"로 활동했다. 앨범은 총 11곡의 멤버들의 자작곡을 수록하며 H.O.T.의 음악적 역량이 가장 돋보인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이전 앨범들에 비해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음에도 138만장이라는 높은 음반 판매량을 기록했다. 2000년 2월에 H.O.T.는 중국 북경공인체육관에서 국내 가수 최초로 "2000 H.O.T. LIVE CONCERT IN BEIJING"를 개최해 한류(韓流)열풍을 주도했다. 동년 7월에는 국내 최초로 3D 영화 《평화의 시대》에 출연하며, 사운드트랙 〈Age Of Peace〉을 발매했다. 2000년 10월 2일 다섯 번째 정규 앨범 〈Outside Castle〉을 발매한 그들은 앨범의 모든 수록곡을 멤버들의 자작곡으로 채워냈다. 리더 문희준이 작사·작곡·편곡한 타이틀곡 "Outside Castle"로 활동했다.
2001년 3월 그룹의 해체 소식이 발표되었으며, 지난 2월 27일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열린 콘서트 2001 H.O.T. LIVE CONCERT - H.O.T. FOREVER가 H.O.T.로서의 마지막 공식 활동이 됐다.[2] 정확한 해체에 대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언론에 알려진 바에 의하면 멤버들의 계약만료 시기가 각각 달랐으며,[3] 문희준과 강타를 제외한 세 멤버가 재계약 협상과정에서 일방적인 해체통보를 받았다고 한다. 이후 강타는 문희준과 각각 솔로로 활동했으며, 장우혁, 토니 안, 이재원은 jtL을 결성하였다.[4]
2001-2007: 솔로 활동 및 중화권 활동, 대표적인 한류스타로서 활약[편집]
강타는 2001년 8월 16일 정규 1집 《Polaris》을 발매하고, 타이틀곡 "북극성"으로 솔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 앨범은 전곡 중에서 7곡을 작사·작곡·편곡을 했고 프로듀싱까지 담당하는 등 그동안의 아이돌 이미지에서 전문적인 뮤지션으로서 출발한 앨범으로 음반 시장의 불황이 시작된 시기에도 출시 1주일 만에 30만장의 판매고를 올려 음반판매 1위를 기록하며,[5] 50만장에 근접한 판매량을 보이며 큰 성공을 거뒀다.[6] 동년 12월에는 SM 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과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 공연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중국 진출에 나섰다.[7]
2002년 3월 4일부터 10월 20일까지 그는 KBS 제2FM에서 《강타의 자유선언》의 메인 DJ를 맡아 처음으로 라디오 DJ에 도전했으며, 10월 21일부터 2003년 4월 20일까지는 신혜성과 더블 DJ를 맡았다. 이후 3월에는 장선우 감독의 영화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에 여주인공 성소(임은경 분)이 사랑하는 가수 가준오 역할로 캐스팅돼 카메오 출연했다.[8] 동년 8월 1일에 그는 1년여 만에 정규 2집 《Pine Tree》을 발매하였고, 1집과 마찬가지로 앨범의 70% 이상을 자작곡으로 수록했다.[9] 앨범 발표 이후 방송활동에 앞서 그의 첫 단독 콘서트 KANGTA 1ST CONCERT "Pine Tree"가 잠실실내체육관에서 8월 23일과 24일 양일간 3회에 걸쳐 열렸다.[6][10]
2003년에는 동갑내기 친구인 신혜성, 이지훈과 프로젝트 그룹 그룹 S를 결성하였고, 첫 정규앨범 《Fr.in.Cl.》을 발매하였다.[11] 이듬해 2004년에는 중국 드라마 《마술기연》에 출연하며 중국에서 배우로 데뷔했다.
강타는 2005년 3월 4일 정규 3집 앨범 《Persona》로 2년 6개월여 만에 솔로 앨범으로 컴백했으며, 이번 앨범도 전곡 중 8곡을 자작곡으로 채워냈다.[12] 허나 앨범을 발표하고 본격 활동을 시작한 시점에 과로로 인한 급성후두염으로 입원을 하게 되면서 병원신세를 지기도 했다.[13] 또한 3월 중순에는 중국에서 중국판 버전의 앨범을 발매했으며,[12] 소속사 SM 엔터테인먼트가 중국 최대 레코드회사인 중국창편총공사, 광동 성문 문화전파유한공사와 강타 3집에 대한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하면서 중국창편총공사로부터 선주문 50만장을 받는 대박을 터트렸다. 선주문 50만장의 중국에서도 이례적인 수치로 기록되고 있어 강타의 중국 음반시장에서의 위치와 가치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번 주문량은 한국 가수로서 최대 선주문 기록이다.[14] 앨범 발표 이전인 2005년 2월 26일에는 중국 베이징 수도체육관에서 열린 국가판권국 저작권 보호 스타 콘서트에 한국 가수 대표로 참석했다. 이후 5월에는 중국에서 발매될 3집 ‘PERSONA’와 중국 첫 단독 콘서트인 ‘애심(愛心) 순회 콘서트’ 소개를 가진 기자회견을 마친 후 1000여명의 팬들과 팬미팅을 가졌다.[15] 또한 새앨범 출시와 함께 2005년 5월부터 KBS2 미니시리즈 《러브홀릭》의 남주인공으로 캐스팅되며 국내에서 배우로 정식 데뷔했다. 극중 선생님과 사랑하게 되는 고등학생 제자인 강욱 역할을 맡아 열연했으며, 진솔한 연기를 위해 배우로서는 본명인 ‘안칠현’을 사용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16] 동년 8월에는 SM 엔터테인먼트와 연장 계약을 맺고 제3자배정을 통해 SM 주식 2만주를 취득했다. 그동안 회사에 대한 공헌도를 인정받아 (비등기)이사직에도 올라,[17][18] 주주로서 회사 경영에 참여하게 됐다. SM은 “강타와 SM의 관계는 단순한 회사와 연예인의 관계가 아니라 사업의 동반자로서의 관계를 굳건히 하기 위하여 강타의 재계약금 일부로 SM엔터테인먼트 주식을 취득해 주주로서도 참여하게 되어 SM엔터테인먼트의 성장에 더욱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언급했다.[19] 동년 12월에는 외교통상부 주최의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15주년 기념 한류스타 아세안 국가 순회행사’의 일환으로 태국과 라오스를 방문하였고, 이에 앞서 반기문 외교부 장관으로부터 감사패를 수여 받았다.[20]
2006년에는 타이완의 아이돌 그룹 F4의 멤버 우젠하오 (바네스)와 프로젝트 그룹인 강타 & 바네스를 결성하고 첫 정규 1집 〈Scandal〉을 발매하고 동년 5월 6일 태국 방콕의 로열 파라곤홀에서 열린 2006 MTV 아시아 어워드에서 타이틀곡 "Scandal"로 이날 공연의 엔딩을 장식하며 첫 공식석상에 나섰다.[21] 쇼케이스 후에는 타이완, 중국, 홍콩, 말레이시아 등에서 공연 및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주로 중화권에서 활동하였으나,[22] 대한민국에서도 활동을 병행했다. 동년 7월 18일 리패키지 앨범을 출시 후에는 9월 9일과 10일에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콘서트를 개최했다.[23][24] 동년 12월에는 2007 한·중 교류의 해’를 맞아 문화교류홍보대사로 위촉됐다.[25] 이듬해 2007년 출연한 중국 드라마 《정가네 여자들 경사 났네》는 중국 CCTV가 자체 제작 작품으로 추석 시즌에 방송돼 경쟁 프로그램을 물리치고 최고시청률을 기록했으며, 중국 내에서 엄청난 인기로 인해 지난 설에 재방송되기도 했다.
강타는 2008년 3월 12일 첫 싱글 앨범 〈Eternity - 永遠〉을 발매했다. 이 앨범에는 강타 작사·작곡·편곡의 타이틀곡 "어느날 가슴이 말했다" 이외에 지난해 12월에 소녀시대 정규 1집에 참여했던 태연과의 듀엣곡 "7989"를 수록했다. 또한 군입대를 앞둔 그의 마지막 음반으로 3년 만에 발표하는 솔로 앨범이기도 하다. 동년 3월 29일에는 연세대학교 대강당에서 단독 콘서트를 개최했다.[26]
2008-2010: 군복무 및 전역[편집]
강타는 2008년 4월 1일 대한민국 육군 현역병으로 입대하였고, 육군 제8보병사단 수색대대 수색대대에서 2년 간의 병역 의무를 마치고 전역하였다.[27][28]
2011-2017: 계속된 음악 활동들, 별밤 DJ[편집]
군제대 이후, 그는 팬들의 응원에 보답하는 의미로 2010년 2월 20일 서울을 시작으로 중국 베이징, 일본 도쿄에서 팬미팅을 개최, 아시아 3개국을 순회하며 팬들의 성원에 보답했다.[28][29]
강타는 2010년 MBC 《황금어장 -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출연 이후 소속사 SM 엔터테인먼트 합동 공연 등에 출연하며 가수로서 무대에 섰으며, 이듬해인 2011년 5월에는 상해동금문화전파 유한공사가 제작하는 중국 고대 궁중 사극 《제금》의 남주인공으로 발탁, 외국 배우 최초로 중국 황제 역으로 열연했다.[30] 이후로 주로 중국에서 활동을 하다가 2012년에 2년 만에 국내 무대에 컴백해 보이스 코리아 시즌1에 신승훈, 백지영, 길과 심사위원으로 활약하였다. 이후 2013년 방송된 시즌2에도 출연했다.[31]
2013년에는 드라마 《그 겨울, 바람이 분다》의 OST 감독을 맡아, 그의 자작곡을 포함해 다양한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음악들을 선보였다.[32]
2014년에 프로젝트 그룹 그룹 S로 11년여만에 컴백했고, 첫 미니앨범 《Autumn Breeze》을 발매하였다. 강타는 전곡의 작사, 작곡은 물론 프로듀싱을 담당했다.[33]
이후 그는 2016년 6월부터 MBC 표준FM 《강타의 별이 빛나는 밤에》의 제 25대 DJ를 맡아 매끄러운 진행 솜씨와 재치 있는 입담을 과시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34] 동년 11월 13일에는 첫 미니 1집 《'Home' Chapter 1》를 발매했다. 지난 2008년 3월 발표한 첫 싱글 《Eternity - 永遠》 이후 무려 8년 8개월 만의 새 앨범이기도 하다. 앨범 발매를 앞둔 동년 11월 4일부터 6일까지는데뷔 20주년을 맞이해 SMTOWN THEATRE에서 '보통의 날' 단독 콘서트를 개최하였으며, 예매 당시 발매 직후 7분만에 전석 매진을 기록하여 추가 2회 공연했다.[34]
2018-2019: 17년 만에 재결합 H.O.T. 콘서트[편집]
2018년 2월에는 《무한도전 토토가3》으로 H.O.T.가 17년 만에 완전체로 재결합을 이뤄냈다.[35][36][37][38] 동년 10월 13일과 14일에는 양일간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재결합 콘서트 '2018 Forever High-five Of Teenagers Concert' 무대에 올라 10만여명의 팬들 앞에서 H.O.T.의 메인보컬로서 컴백하였다.[39][40]
이후 강타는 약 1년여 만인 2019년 9월 21일과 22일, 23일 3일간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2019 High-five Of Teenagers' 콘서트로 다시 H.O.T. 멤버들과 무대에 섰다.[41][42]
2020-현재[편집]
2022년 8월 17일 그는 구글코리아가 온라인으로 개최한 제2회 ‘구글 포 코리아’ 행사에 NCT 태용과 K팝 아티스트를 대표하는 스피커로 참석하였으며, ‘유튜브와 K팝의 동반 성장사’를 주제로 발표했다.[43] 동년 9월 7일에는 데뷔 26년을 맞아 신곡 외에 앞서 데뷔 25주년 프로젝트로 선보인 싱글곡을 모은 정규 4집 〈Eyes On You〉을 발매했다.[44][45] 무려 17년 만의 정규 앨범으로 앨범 발매 당일 저녁 7시부터는 본인의 유튜브 공식 채널 'KANGTA'를 통해 'KANGTA 'Eyes On You' Comeback Live'를 진행하고, 팬들과 랜선 소통에 나서며 활동을 시작했다.[46]
음반 목록[편집]
콘서트 목록[편집]
작품 목록[편집]
수상 및 후보 목록[편집]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최진실 (2016년 6월 24일). “[전일야화] '별밤' 강타·토니안, 재회 H.O.T. 오빠들 꽃길만 걸어요”. 엑스포츠뉴스.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 ↑ 정천기 (2001년 2월 23일). “인기그룹 HOT, 잠실공연 앞두고 해체설 무성”.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허엽 (2001년 2월 22일). “[대중음악]에쵸티해체설”. 동아일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허엽 (2022년 5월 13일). “[대중음악]'H.O.T.'해체, 토니안 장우혁 이재원 새 그룹 결성”. 동아일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윤선희 (2002년 8월 17일). “[코스닥] SM "16일 출시 강타 솔로앨범 불티"”. 머니투데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김용관 (2002년 8월 2일). “[코스닥] 에스엠, 21일 강타 2집 `사계` 발매”. 머니투데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김수경 (2001년 12월 9일). “[방송]'SES' '신화' 강타 등 가수 5팁 본격 중국 진출”. 동아일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스포츠연예부 (2002년 3월 20일). “[영화]강타, 영화 '성냥팔이…'에 가수로 캐스팅”. 동아일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김호경 (2002년 8월 29일). “[새음반] DJ 혼다&피엠디=언더그라운드 커넥션外”. 국민일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홍제성 (2002년 8월 21일). “강타, 24-25일 첫 단독콘서트”.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홍제성 (2003년 9월 5일). “SM, 그룹 S 신곡 온라인서 먼저 공개”.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이은정 (2005년 2월 27일). “강타, 3월 4일 3집 'PERSONA' 발매”.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홍성원 (2003년 3월 8일). “강타, 급성후두염으로 입원”. 헤럴드경제.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김원겸 (2005년 3월 11일). “강타 3집, 중국서 선주문 50만장 '대기록'”.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김원겸 (2005년 4월 28일). “강타-천상지희, 中기자회견에 취재진 600명 예상”.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05년 4월 21일). “강타 "진솔한 연기위해 본명 안칠현 사용"”.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김원겸 (2005년 10월 17일). “강타, SM 대주주 된 후 전직원에 '통큰' 회식”.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스포츠연예부 (2005년 8월 18일). “강타, 계약 연장하며 주식 배정 "SM 주주됐어요"”. 스포츠조선.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남안우 (2005년 8월 18일). “강타, SM엔터테인먼트와 연장계약 ; SM주주도 참여”. 마이데일리.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연예부 (2005년 12월 8일). “가수 '강타' 외교부로부터 감사패 받아”.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강종훈 (2005년 5월 7일). “세븐ㆍ강타, MTV 아시아어워드서 성공적 무대”. 연합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이해리 (2005년 5월 10일). “국제 그룹 '강타 앤 바네스', 나라의 벽 넘는 시도”. 노컷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박은경 (2005년 5월 10일). “바네스, "강타 솔로 앨범, 내 돈 주고 사"”. 조이뉴스24.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스포츠연예부 (2005년 6월 25일). “강타 앤 바네스 9월 중국 공연”. 한겨례.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이규림 (2006년 12월 13일). “강타, 외교부 문화교류홍보대사 위촉”. 마이데일리.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박미애 (2005년 4월 4일). “강타, 4월1일 현역 군 입대”. 이데일리.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길혜성 (2010년 2월 19일). “강타 제대현장, 韓中日팬 집결 "당신을 기다렸다"”. 머니투데이. 2010년 2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박영웅 (2010년 2월 19일). “강타, “신고합니다”…한중일 300팬 환영 속 군제대”. 서울신문 나우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주혜진 (2010년 2월 21일). “강타 "팬들 빨리 만나기 위해 먼저 팬미팅 제안했다"”.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백솔미 (2010년 1월 10일). “강타, 제대 후 2년만에 공식적 국내 활동 재개”. 마이데일리.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대중문화부 (2012년 1월 10일). “신승훈·백지영·강타·길, Mnet 오디션 프로그램 ‘보이스 코리아’ 코치”. 스포츠경향.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이혜린 (2013년 2월 13일). “강타, '그 겨울, 바람이 분다' OST 프로듀싱 맡아”. OSEN.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이혜린 (2014년 10월 14일). “강타-신혜성-이지훈 S, 27일 컴백..강타 프로듀싱”. OSEN.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홍세영 (2016년 10월 5일). “강타, 8년만에 국내 단독콘서트 확정…11월 개최 [공식입장]”. 동아닷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박세연 (2018년 1월 23일). “`무한도전` 측 "H.O.T 5인과 `토토가3` 특집 논의"”.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김영록 (2018년 1월 29일). “"잘할게요 우리"…강타, H.O.T 재결합 심경고백”. 스포츠조선.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김수정 (2018년 2월 16일). “[TV@픽] 17년만에 첫만남…'무도' H.O.T 눈물의 재결합 전말”. TV리포트.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김경학 (2018년 2월 25일). “해체 17년 만에 ‘완전체’로 다시 한 무대…H.O.T.는 여전히 ‘핫’했다”. 경향신문.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강서정 (2018년 10월 13일). ““벌써 하얀 물결”..H.O.T, 17년만 콘서트 ‘새벽부터 인산인해’[Oh!쎈 레터]”. OSEN.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문지연 (2018년 10월 14일). “"고맙고 고마워"..H.O.T. 17년 팬 기다림♥ 보답한 '감격의 콘서트'”. 스포츠조선.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황혜진 (2019년 9월 20일). ““무대 위 다섯 행복해” 1년만 뭉친 H.O.T. 여전히 뜨겁고 뭉클했다[리뷰]”. 뉴스엔.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심언경 (2019년 9월 21일). “H.O.T. 고척돔 입성, 역사는 계속된다(ft.하얀 물결) [Oh!쎈 레터]”. OSEN.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황미현 (2022년 8월 17일). “강타·NCT 태용, '구글 포 코리아' K팝 아티스트 대표로 참석”. 뉴스1.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하지원 (2022년 9월 7일). “'데뷔 26주년' 강타가 추는 '요즘 댄스'는…"내가 추니 뉴트로" [종합]”. 엑스포츠뉴스.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정재우 (2022년 9월 7일). “‘왕년의 아이돌 스타’ 강타, 17년 만에 새 앨범 발표…복귀 소감 “너무 떨린다””. 세계일보.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김민지 (2022년 9월 7일). “"음악적 소통하고파" 17년 만에 돌아온 강타의 새로운 도전 '아이즈 온유'[SS음악]”. 스포츠서울. 2022년 9월 1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