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세 다쓰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alamander724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8월 9일 (일) 09:09 판 (→‎사후)
후세 다쓰지
布施辰治
출생1880년 11월 13일(1880-11-13)
일본 제국의 기 일본 제국 미야기 현 이시노마키 시
사망1953년 9월 13일(1953-09-13)(72세)
일본의 기 일본
성별남성
국적일본의 기 일본
학력메이지 대학 법학부
직업변호사, 사회운동가
상훈2004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

후세 다쓰지(틀:Ja-y, 1880년 11월 13일 ~ 1953년 9월 13일, 미야기 현 이시노마키 시 출생)는 미야기 현 이시노마키 시 출신의 일본인권변호사, 사회운동가이다.

2004년 일본인으로서는 최초로 대한민국 건국훈장(애족장)을 수여받았다.

이력

미야기 현 이시노마키 시의 농가에서 3녀 2남중 막내로 태어났다. 1902년메이지 대학을 졸업하고 사법관 시보(현재의 검사)가 되어 우쓰노미야 지검에 부임한다.

그러나 동반 자살 미수로 자수한 어느 어머니를 살인미수로 기소해야 하는 현실을 보며, 법률의 사회적인 미비와 적용에 회의를 느끼다가 검사직을 사임하고 변호사가 된다.

인권 변호사로서의 활약

민중권리투쟁 옹호

변호사 개업 후 인도주의사회평등해야 한다는 믿음으로 일본내에서는 농민, 노동자, 부라쿠민 등의 권리보호를 위해 투신하였고, 국외에서는 조선, 대만식민지에서의 민족 및 민중권리보호를 위한 각종 사건에 투신하였다.

그가 맡은 주요한 사건은 도쿄시 전기공사 요금인상 반대소요사건(1906년), 도쿄시 전기공사 파업투쟁(1911년) 쌀소동(1918년), 천주 사건, 가마이시(釜石) 광산, 아시오(足尾) 동산, 야하타 제철소 파업사건(1919년), 군대 적화 사건(1921년), 제1차 공산당 사건, 간토대지진의 아마카스 사건, 박열 대역사건(1926년), 조선 공산당 사건, 대만 농민조합 소요사건등이 있다.

3.15사건 변호

그가 맡은 사건중 가장 파장이 컸던 사건은 일본 공산당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인 1932년3.15사건이었다. 이 사건에서 법정에서 권력을 격렬하게 비판한 그는 법정모독의 징계재판을 받고, 변호사 자격을 박탈당한다.

이듬해인 1933년에는 신문지법 위반으로 금고형 3개월의 형을 받고, 1939년에는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일본의 패전후 변호사 자격을 회복한 그는 전후에도 미타카 사건, 마츠가와 사건, 피의 메이데이 사건등 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조선에서의 활동

조선의 독립투쟁과 민중운동 옹호

한국병합일본 제국주의의 자본주의적 침략으로 규정한 그는 한국의 독립 운동과 민중 운동을 적극 지지하였다. 1911년에는 〈조선의 독립운동에 경의를 표함〉이라는 글로 독립 운동 혐의로 일본 경찰의 조사를 받는다.

독립운동가 변호

1919년 재일 조선 유학생들이 선포한 2.8 독립선언의 주역인 최팔용, 송계백조선청년독립단의 변호를 맡았다.

1920년대에는 의열단원으로 일본황궁의 니쥬바시폭탄을 던진 이중교 투탄의거를 일으킨 김지섭의사의 변호를 맡았다. 그는 또한 관동대지진조선인 학살사건이 일본군 계엄사령부와 경찰에 의한 "조선인 폭동조작"이었음을 비판하다가 치안당국에 의해 요주의 인물로 지목되었다.

1926년에는 천황가 암살을 기획한 이른바 대역사건의 모의로 체포된 박열가네코 후미코의 변론을 맡기도 하였다. 또한 일본 제국이 동양 척식 주식 회사를 설립하여 토지 조사 행위를 명분으로 조선농민들의 토지를 빼앗을 때에는 나주지역 농민들을 위해 510만평 토지반환소송을 제기하여, 총독부의 토지조사행위를 합법을 가장한 사기로 규정하였다.

천민차별철폐를 위한 단체인 형평 운동에도 참여하는등, 조선대만의 식민지 민족문제와 계급, 신분 차별 문제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재일 한국인 사건 변호

광복후에는 한신교육투쟁사건, 도쿄 조선 고등학교 사건등 재일 한국인과 관련된 사건의 변론을 도맡았다. 1946년에는 광복된 한국을 위해 《조선건국 헌법초안》을 저술하였다.

사후

후세 다쓰지의 활동은 역사교훈실천운동대표인 정준영이 일본 방문 중 발견한 《어느 변호사의 일생》이라는 서적을 통해 알려졌다.

국내에서는 2001년경부터 서훈 추진이 이루어졌으나, 일본과의 역사 교과서 문제, 독도 문제등 일본과의 외교 사항과 당시까지 일본인 독립유공자가 없었던 점, 사회주의 운동 전력등의 이유로 보류되어 오다, 2004년 10월 정부에 의해 건국훈장 애족장 수여가 결정되었다.

이시노마키 시 문화회관 2층에는 법복과 법관, 자필 등 몇 안되는 그의 유물이 상설 전시되어 있다.[1] 또한, 이시노마키 역에서 좀 떨어진 아케보노미나미 공원(あけぼの南公園)에 그를 기념하는 현창비가 건립되어 있다.

상훈

  • 2004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

각주

바깥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