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0미터 봉우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히말라야산맥의 고봉

8000미터 봉우리(영어: eight-thousanders)는 지구상에서 해발 8,000미터가 넘는 14개 봉우리를 말하며, 모두 히말라야산맥카라코람산맥에 위치하며 이를 14좌(座)라고 한다. 여기서 좌는 높은 산봉우리를 세는 단위이다.[1] 14좌 외에 8,000미터가 넘으면서도 주봉과 산줄기가 같아 위성봉으로 분류되는 얄룽캉산(8,505m)과 로체샤르산(8,400m)를 더해 16좌라고 부르는 사람도 간혹 있으나 "좌"는 별자리의 항성(위성에 대비하여는 행성)이며 '위성봉'은 말 그대로 위성의 지위에 있기 때문에 16좌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14좌는 봉우리의 높이에 따라 구분한 것이 아니라, 세계지리학회 등에서 면밀히 조사하여 구분한 '산군'의 분포에 따라 14개의 산군의 각 '주봉'에 붙여진 것으로 임의로 추가할 수 없다.

8000미터가 넘는 산 중에 처음으로 등반에 성공한 곳은 안나푸르나 1봉으로, 1950년 6월 3일 프랑스의 모리스 에르조그와 루이 라슈날이 등반에 성공했다.

처음으로 전체 14개 봉을 모두 등반한 사람은 이탈리아의 산악인 라인홀트 메스너로 1986년 10월 16일 완등에 성공했다. 1년 후인 1987년에는 폴란드의 예지 쿠쿠츠카가 두 번째로 완등에 성공했다. 메스너는 전체 14개 봉을 모두 산소의 도움 없이 무산소로 등정에 성공했다. 메스너의 완등 9년 후인 1995년, 에르하르트 로레탕이 두 번째로 무산소 완등에 성공했다. 대한민국에서는 박영석이 2001년 7월 22일 14좌를 처음 완등했다[2] 2007년에는 엄홍길이 위성봉을 포함한 세계 최초로 16좌를 완등했다. 2013년에는 김창호가 한국인 최초로 무산소 14좌 완등에 성공했다.

여성으로서 처음으로 14좌 완등에 성공한 것은 2010년 4월 27일 대한민국의 오은선이나, 칸첸중가의 등정 성공에 논란이 있어 대한산악연맹 등은 칸첸중가의 등반을 인정하지 않았다. 오은선과 경쟁하던 스페인의 에두르네 파사반은 2010년 5월 17일 14좌 완등에 성공했다. 2011년 8월, 오스트리아의 게를린데 칼텐브루너는 여성으로서는 오은선 다음 2번째로 14좌 무산소 완등에 성공했다.

8000미터 봉우리 목록[편집]

봉우리 높이 위치 최초 등정 최초 등정자 최초 겨울 등정 최초 겨울 등정자 등정 사망 사망률
에베레스트산 8,848m 중국의 기 중국
네팔의 기 네팔
1953년 5월 29일

뉴질랜드 에드먼드 힐러리
  네팔 텐징 노르가이

1980년 2월 17일

폴란드 크시슈토프 비엘리츠키
폴란드 레셰크 치히

5,656 223 3.8%
K2 8,613m 중국의 기 중국
파키스탄의 기 파키스탄
1954년 7월 31일

이탈리아 아킬레 콤파뇨니
이탈리아 리노 라체델리

2021년 1월 16일

네팔 니르말 푸르자
네팔 님스다이 푸르자
네팔 다와 텐지 셰르파
네팔 밍마 G. 다와 템바 셰르파
네팔 펨 치리 셰르파
네팔 밍마 데이비드 셰르파
네팔 밍마 텐지 셰르파
네팔 겔제 셰르파

306 81 22.8%
칸첸중가산 8,586m 네팔의 기 네팔
인도의 기 인도
1955년 5월 25일

영국 조지 밴드
영국 조 브라운

1986년 1월 11일

폴란드 크시슈토프 비엘리츠키
폴란드 예지 쿠쿠츠카

283 40 12.7%
로체산 8,518m 네팔의 기 네팔
중국의 기 중국
1956년 5월 18일

스위스 프리츠 루흐징거
스위스 에른스트 라이스

1988년 12월 31일

폴란드 크시슈토프 비엘리츠키

461 13 2.8%
마칼루산 8,465m 1955년 5월 15일

프랑스 장 쿠지
프랑스 리오넬 테레

2009년 2월 9일

이탈리아 시모네 모로
카자흐스탄 데니스 우르브코

361 31 8.2%
초오유산 8,203m 1954년 10월 19일

오스트리아 제프 외힐러
 네팔 파상 다와 라마
오스트리아 헤레베르트 티히

1985년 2월 12일

폴란드 마쳬이 베르베카
폴란드 마쳬이 파브리코프스키

3,138 44 1.4%
다울라기리 1봉 8,169m 네팔의 기 네팔 1960년 5월 13일

오스트리아 쿠르트 딤베르거
독일 페터 디너
 네팔 나왕 도르제
 네팔 니마 도르제
스위스 에른스트 포러
오스트리아 알빈 셸베르트

1985년 1월 21일

폴란드 안제이 초크
폴란드 예지 쿠쿠츠카

448 69 13.6%
마나슬루산 8,165m 1956년 5월 9일

일본 이마니시 도시오
 네팔 갈첸 노르부

1984년 1월 12일

폴란드 마쳬이 베르베카
폴란드 리샤르드 가예프스키

661 65 9.0%
낭가파르바트산 8,128m 파키스탄의 기 파키스탄 1953년 7월 3일

오스트리아 헤르만 불

2016년 2월 26일

이탈리아 시모네 모로
파키스탄 무하마드 알리 사드파라
스페인 알렉스 특시콘

335 68 17.2%
안나푸르나 1봉 8,092m 네팔의 기 네팔 1950년 6월 3일

프랑스 모리스 에르조그
프랑스 루이 라슈날

1987년 2월 3일

폴란드 예지 쿠쿠츠카
폴란드 아르투르 하이제르

191 61 25.1%
가셔브룸 1봉 8,070m 중국의 기 중국
파키스탄의 기 파키스탄
1958년 7월 5일

미국 앤드류 카프먼
미국 피터 쇠닝

2012년 3월 9일

폴란드 아담 비에레츠키
폴란드 야누시 고와프

334 29 8.1%
브로드피크산 8,048m 1957년 6월 9일

오스트리아 헤르만 불
오스트리아 쿠르트 딤베르거
오스트리아 마쿠스 슈무크
오스트리아 프리츠 윈터스텔러

2013년 3월 5일

오스트리아 마쳬이 베르베카
오스트리아 아담 비에레츠키
오스트리아 토마시 코발스키
오스트리아 아르투르 마웨크

404 21 5.0%
가셔브룸 2봉 8,036m 1956년 7월 8일

오스트리아 프리츠 모라페크
오스트리아 요제프 라르히
오스트리아 한스 빌렌파르트

2011년 2월 2일

이탈리아 시모네 모로
카자흐스탄 데니스 우르브코
미국 코리 리차즈

930 21 2.2%
시샤팡마산 8,027m 중국의 기 중국 1964년 5월 2일

중국 쉬징
중국 장쥔옌
중국 왕푸저우
중국 천산
중국 청톈량
중국 우쭝웨
중국 쒀난둬지
중국 니마짜시
중국 둬지
중국 윈덩

2005년 1월 14일

폴란드 표트르 모라프스키
이탈리아 시모네 모로

302 25 7.7%

8000미터 14봉 완등에 성공한 사람[편집]

순서 무산소 등반
(순서)
이름 기간 국적
1 1 라인홀트 메스너 1970-1986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2 예지 쿠쿠츠카 1979-1987 폴란드의 기 폴란드
3 에라르 로레탕 1982-1995 스위스의 기 스위스
4 [3] 카를로스 카르솔리오 1985-1996 멕시코의 기 멕시코
5 크시슈토프 비엘리츠키 1980-1996 폴란드의 기 폴란드
6 3 후아니토 오아르사발 1985-1999 스페인의 기 스페인
7 세르지오 마르티니 1976-2000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8 박영석 1993-2001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9[2] 엄홍길 1988-2001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10 알베르토 이누라테기 1991-2002 스페인의 기 스페인
11 한왕용 1994-2003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12 5 에드 비에스터 1989-2005 미국의 기 미국
13 6 실비오 몬디넬리 1993-2007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14 7 이반 발레호 1997-2008 에콰도르의 기 에콰도르
15 8 데니스 우르브코 2000-2009 카자흐스탄의 기 카자흐스탄
16 랄프 두이모피츠 1990-2009 독일의 기 독일
17 9 베이카 구스타프손 1993-2009 핀란드의 기 핀란드
18 앤드류 록 1993-2009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19 10 주앙 가르시아 1993-2010 포르투갈의 기 포르투갈
20 피오트르 푸스텔니크 1990-2010 폴란드의 기 폴란드
21 에두르네 파사반 2001-2010 스페인의 기 스페인
22 아벨레 블란크 1992-2011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23 셰르파 닝마 2000-2011 네팔의 기 네팔
24 11 게를린데 칼텐브루너 1998-2011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25 바실리 피초프 2001-2011 카자흐스탄의 기 카자흐스탄
26 12 막수트 주마예프 2001-2011
27 김재수 2000-2011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8 13 마리오 판체리 1988-2012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29 다케우치 히로타카 1995-2012 일본의 기 일본
30 셰르파 창 다와 2001-2013 네팔의 기 네팔
31 14 김창호 2005-2013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김홍빈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논란이 있는 완등 주장자[편집]

이름 기간 불확실한 등반 국적
파우스토 데 스테파니 1983-1998 1997년 로체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앨런 힝크스 1987-2005 1990년 초오유 영국의 기 영국
블라디슬라우 테르지울 1993-2002 2000년 시샤팡마 우크라이나의 기 우크라이나
카를로스 파우네르 2001-2013 2012년 시샤팡마 스페인의 기 스페인

사진[편집]

각주[편집]

  1. 우리말샘 - -좌 등
  2. 엄홍길은 2000년 7월 31일 14좌의 완등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나, 시샤팡마의 1993년의 등정 성공 여부에 논란이 있어 재등정에 성공한 2001년 9월 21일을 기준(아홉번째 완등자)으로 한다.
  3. 카르솔리오는 1988년 마칼루를 내려오면서 응급 상황에 산소를 사용했다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