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만 곡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복소해석학에서, '''리만 곡면'''({{lang|en|Riemann surface}})은 1차원 복소다양체이다. == 정의 == '''리만 곡면'''은 복소 차원이 1차원인 ...
(차이 없음)

2012년 12월 31일 (월) 17:24 판

복소해석학에서, 리만 곡면(Riemann surface)은 1차원 복소다양체이다.

정의

리만 곡면은 복소 차원이 1차원인 복소다양체이다. 즉, 복소 구조가 주어진 2차원 미분다양체이다.

이와 동등하게, 리만 곡면을 2차원 유향(oriented) 등각다양체(conformal manifold)로 정의할 수 있다. 등각 계량(conformal metric)는 바일 변환에 대한 리만 계량 텐서동치류이며, 등각다양체는 등각 계량을 갖춘 미분다양체이다. 2차원에서, 향(orientation)이 주어진 등각 구조는 복소 구조와 동형이다. 그러나 이 동형은 고차원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예제

리만 곡면의 자기동형사상

리만 곡면의 자기동형사상군은 다음과 같다.

  • 종수(genus) 0:
  • 리만 구면의 자기동형사상은 뫼비우스 변환이다.
  • 구멍을 뚫은 리만 구면의 자기동형사상은 구멍들을 보존하는 뫼비우스 변환이거나 아니면 구멍들을 서로 바꾸는 뫼비우스 변환이다.
  • 열린 반평면(또는 열린 원판)의 자기동형사상은 실수 계수의 뫼비우스 변환 이다.
  • 종수 1: 대부분의 복소 원환면의 자기동형사상군은 평행이동 이다. 다만, 수직(90°) 격자에 의하여 생성되는 복소 원환면의 경우 90° 회전도 자기동형사상을 이루고, 정육각형(60°) 격자에 의하여 생성되는 원환면의 경우 60° 회전도 자기동형사상을 이룬다.
  • 종수 인 경우, 자기동형사상군은 유한군이며, 그 크기는 이하이다. 이를 후르비츠 자기동형사상 정리라고 하며, 아돌프 후르비츠(독일어: Adolf Hurwitz)가 증명하였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