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방사선 치료: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쿠로류 (토론 | 기여)
부작용 내용을 영어 위키백과에서 번역함.
쿠로류 (토론 | 기여)
부작용 내용을 영어 위키백과에서 번역함.
11번째 줄: 11번째 줄:
정확한 치료 의도(완치, 보조, [[:en:Neoadjuvant_therapy|선행화학요법]] 혹은 완화)는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뿐만 아니라 종양의 종류, 위치 및 [[:en:Cancer_staging|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en:Total_body_irradiation|전신방사선치료]](TBI)는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371 골수이식]을 받을 수 있는 신체를 준비 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사선 치료 기술이다.
정확한 치료 의도(완치, 보조, [[:en:Neoadjuvant_therapy|선행화학요법]] 혹은 완화)는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뿐만 아니라 종양의 종류, 위치 및 [[:en:Cancer_staging|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en:Total_body_irradiation|전신방사선치료]](TBI)는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371 골수이식]을 받을 수 있는 신체를 준비 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사선 치료 기술이다.


치료가 필요한 부위의 내부 혹은 옆에 방사선원을 배치하는 [https://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609 근접치료](내부방사선치료)는 유방암, 전립선암 및 기타 장기의 암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건강한 조직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는 방사선 치료의 또 다른 형태이다. 방사선 치료는 [[삼차신경병증|삼차신경통]],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67 청신경초종], 중증 [https://medicine.yonsei.ac.kr/health/encyclopedia/disease/disease.do?mode=view&articleNo=69888&title=%EA%B0%91%EC%83%81%EC%84%A0+%EC%95%88%EB%B3%91%EC%A6%9D+%5BThyroid+eye+disease%5D 갑상선 안병증], [https://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559 익상편], [https://m.koa.or.kr/infor/index.php?mv1=10&mv2=1&mv3=4&mv4=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 [[켈로이드]] 흉터 성장 예방, 혈관 재협착증,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58 이소성골화증]의 예방과 같은 비악성 질환에 여러 가지 용도로 적용된다.<ref name="Palliative Radiation Therapy for On2">{{cite journal|title=Palliative Radiation Therapy for Oncologic Emergencies in the Setting of COVID-19: Approaches to Balancing Risks and Benefits|journal=Advances in Radiation Oncology|date=2020-07-01|volume=5|issue=4|pages=589–594|language=English|doi=10.1016/j.adro.2020.04.001|pmc=7194647|pmid=32363243|display-authors=6|vauthors=Yerramilli D, Xu AJ, Gillespie EF, Shepherd AF, Beal K, Gomez D, Yamada J, Tsai CJ, Yang TJ}}</ref><ref>{{cite journal|title=Evaluation of five radiation schedules and prognostic factors for metastatic spinal cord compression|journal=Journal of Clinical Oncology|date=May 2005|volume=23|issue=15|pages=3366–3375|doi=10.1200/JCO.2005.04.754|pmid=15908648|display-authors=6|vauthors=Rades D, Stalpers LJ, Veninga T, Schulte R, Hoskin PJ, Obralic N, Bajrovic A, Rudat V, Schwarz R, Hulshof MC, Poortmans P, Schild SE}}</ref><ref>{{cite journal|title=Dose escalation of radiotherapy for metastatic spinal cord compression (MSCC) in patients with relatively favorable survival prognosis|journal=Strahlentherapie und Onkologie|date=November 2011|volume=187|issue=11|pages=729–735|doi=10.1007/s00066-011-2266-y|pmid=22037654|vauthors=Rades D, Panzner A, Rudat V, Karstens JH, Schild SE|s2cid=19991034}}</ref><ref>{{cite journal|title=Radiotherapy With 4 Gy × 5 Versus 3 Gy × 10 for Metastatic Epidural Spinal Cord Compression: Final Results of the SCORE-2 Trial (ARO 2009/01)|journal=Journal of Clinical Oncology|date=February 2016|volume=34|issue=6|pages=597–602|doi=10.1200/JCO.2015.64.0862|pmid=26729431|display-authors=6|vauthors=Rades D, Šegedin B, Conde-Moreno AJ, Garcia R, Perpar A, Metz M, Badakhshi H, Schreiber A, Nitsche M, Hipp P, Schulze W, Adamietz IA, Norkus D, Rudat V, Cacicedo J, Schild SE}}</ref>
치료가 필요한 부위의 내부 혹은 옆에 방사선원을 배치하는 [https://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609 근접치료](내부방사선치료)는 유방암, 전립선암 및 기타 장기의 암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건강한 조직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는 방사선 치료의 또 다른 형태이다. 방사선 치료는 [[삼차신경병증|삼차신경통]],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67 청신경초종], 중증 [https://medicine.yonsei.ac.kr/health/encyclopedia/disease/disease.do?mode=view&articleNo=69888&title=%EA%B0%91%EC%83%81%EC%84%A0+%EC%95%88%EB%B3%91%EC%A6%9D+%5BThyroid+eye+disease%5D 갑상선 안병증], [https://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559 익상편], [https://m.koa.or.kr/infor/index.php?mv1=10&mv2=1&mv3=4&mv4=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 [[켈로이드]] 흉터 성장 예방, 혈관 재협착증,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58 이소성골화증]의 예방과 같은 비악성 질환에 여러 가지 용도로 적용된다.<ref name="Palliative Radiation Therapy for On" /><ref>{{cite journal|title=Evaluation of five radiation schedules and prognostic factors for metastatic spinal cord compression|journal=Journal of Clinical Oncology|date=May 2005|volume=23|issue=15|pages=3366–3375|doi=10.1200/JCO.2005.04.754|pmid=15908648|display-authors=6|vauthors=Rades D, Stalpers LJ, Veninga T, Schulte R, Hoskin PJ, Obralic N, Bajrovic A, Rudat V, Schwarz R, Hulshof MC, Poortmans P, Schild SE}}</ref><ref>{{cite journal|title=Dose escalation of radiotherapy for metastatic spinal cord compression (MSCC) in patients with relatively favorable survival prognosis|journal=Strahlentherapie und Onkologie|date=November 2011|volume=187|issue=11|pages=729–735|doi=10.1007/s00066-011-2266-y|pmid=22037654|vauthors=Rades D, Panzner A, Rudat V, Karstens JH, Schild SE|s2cid=19991034}}</ref><ref>{{cite journal|title=Radiotherapy With 4 Gy × 5 Versus 3 Gy × 10 for Metastatic Epidural Spinal Cord Compression: Final Results of the SCORE-2 Trial (ARO 2009/01)|journal=Journal of Clinical Oncology|date=February 2016|volume=34|issue=6|pages=597–602|doi=10.1200/JCO.2015.64.0862|pmid=26729431|display-authors=6|vauthors=Rades D, Šegedin B, Conde-Moreno AJ, Garcia R, Perpar A, Metz M, Badakhshi H, Schreiber A, Nitsche M, Hipp P, Schulze W, Adamietz IA, Norkus D, Rudat V, Cacicedo J, Schild SE}}</ref>


== 방사선치료의 목적 ==
== 방사선치료의 목적 ==
23번째 줄: 23번째 줄:
== 부작용 ==
== 부작용 ==
방사선 치료(RT)는 가 자체로는 통증이 없다. 많은 저선량 [[완화치료]](예 : 뼈 [[전이 (의학)|전이]]에 대한 방사선 치료)는 부작용이 거의 없거나 전혀 발생되지 않지만, 치료 부위에 신경을 압박하는 부종으로 인해 치료 후 며칠 동안 단기적인 통증이 재발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복용량을 더욱 높일수록 치료 중(급성 부작용), 치료 후 수개월 혹은 수년 동안(장기 부작용) 혹은 재치료 후(누적 부작용)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부작용의 특성, 심각도 및 수명은 방사선을 받는 기관, 치료 자체(방사선의 종류, 복용량, [[:en:Dose_fractionation|분할]], 동시 화학 요법) 및 환자에 따라 달라진다. RT 사례 중 5%에서 심각한 방사선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50 Gy RT 투어량을 투약 후 급성(거의 즉시) 혹은 아급성(RT 후 2~3개월) 방사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65 Gy 이후에는 방사선 손상이 늦거나 지연되어 발생할 수 있다(6개월에서 10년).<ref name="PMID 29261879">{{cite journal|title=Hyperbaric Treatment of Delayed Radiation Injury|last1=Cooper|first1=Jeffrey S.|last2=Hanley|first2=Mary E.|url=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70447/|date=August 30, 2022|publisher=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pmid=29261879|access-date=23 July 2023|last3=Hendriksen|first3=Stephen|last4=Robins|first4=Marc|website=www.ncbi.nlm.nih.gov}}</ref>
방사선 치료(RT)는 가 자체로는 통증이 없다. 많은 저선량 [[완화치료]](예 : 뼈 [[전이 (의학)|전이]]에 대한 방사선 치료)는 부작용이 거의 없거나 전혀 발생되지 않지만, 치료 부위에 신경을 압박하는 부종으로 인해 치료 후 며칠 동안 단기적인 통증이 재발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복용량을 더욱 높일수록 치료 중(급성 부작용), 치료 후 수개월 혹은 수년 동안(장기 부작용) 혹은 재치료 후(누적 부작용)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부작용의 특성, 심각도 및 수명은 방사선을 받는 기관, 치료 자체(방사선의 종류, 복용량, [[:en:Dose_fractionation|분할]], 동시 화학 요법) 및 환자에 따라 달라진다. RT 사례 중 5%에서 심각한 방사선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50 Gy RT 투어량을 투약 후 급성(거의 즉시) 혹은 아급성(RT 후 2~3개월) 방사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65 Gy 이후에는 방사선 손상이 늦거나 지연되어 발생할 수 있다(6개월에서 10년).<ref name="PMID 29261879">{{cite journal|title=Hyperbaric Treatment of Delayed Radiation Injury|last1=Cooper|first1=Jeffrey S.|last2=Hanley|first2=Mary E.|url=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70447/|date=August 30, 2022|publisher=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pmid=29261879|access-date=23 July 2023|last3=Hendriksen|first3=Stephen|last4=Robins|first4=Marc|website=www.ncbi.nlm.nih.gov}}</ref>

거의 모든 부작용은 예측 가능하고 예상할 수 있다. 방사선으로 인한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치료 중인 환자의 신체 부위에 국한된다. 부작용은 용량에 따라 좌우된다. 예를 들어, 두경부 방사선의 용량이 높을수록 심혈관 합병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뇌하수체]] 기능 장애와 연관되어 발생할 수 있다.<ref>{{cite journal|title=Cardiovascular Complications of Cranial and Neck Radiation|journal=Current Treatment Options in Cardiovascular Medicine|date=July 2016|volume=18|issue=7|pages=45|doi=10.1007/s11936-016-0468-4|pmid=27181400|vauthors=Mahmood SS, Nohria A|s2cid=23888595}}</ref> 현대 방사선 치료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환자가 피하기 어려운 부작용을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보고된 주 부작용은 경미하거나 중증 정도의 일광화상과 같은 피로 및 피부 자극이다. 피로는 종종 치료 과정 중에 나타나며, 치료가 끝난 후에도 몇 주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자극받은 피부는 치유될 것이지만 예전만큼의 탄력이 없을 수 있다.<ref>{{cite web|url=http://www.rtanswers.com/treatmentinformation/cancertypes/breast/possiblesideeffects.aspx|title=Radiation Therapy for Breast Cancer: Possible Side Effects|date=2012-03-15|publisher=Rtanswers.com|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20301041308/http://www.rtanswers.com/treatmentinformation/cancertypes/breast/possiblesideeffects.aspx|archive-date=2012-03-01|url-status=dead|access-date=2012-04-20}}</ref>

=== 급성 부작용 ===

==== 메스꺼움과 구토 ====
메스꺼움과 구토는 방사선 치료의 일반적인 부작용이 아니며, 기계적으로 위나 복부의 치료( 일반적으로 치료 후 몇 시간 후에 반응)에만 관련이 있거나 특정 두경부 암(가장 일반적으로 내이의 전정 기관)을 치료하는 동안 머리 안에서 메스꺼움을 유발하는 특정 구조에 대한 방사선 치료와 관련이 있다.<ref>{{cite journal|title=Dosimetric predictors of radiation-induced acute nausea and vomiting in IMRT for nasopharyngeal cancer|journal=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date=September 2012|volume=84|issue=1|pages=176–182|doi=10.1016/j.ijrobp.2011.10.010|pmid=22245210|vauthors=Lee VH, Ng SC, Leung TW, Au GK, Kwong DL}}</ref>

고통스러운 치료와 마찬가지로 일부 환자들은 방사선 치료 도중에 곧바로 구토를 하거나, 심지어 이를 예상하기도 하지만 이는 심리적인 반응으로 간주된다. 메스꺼움은 어떤 이유로든 항구토제로 치료할 수 있다.<ref>{{cite web|url=https://www.caring4cancer.com/go/cancer/effects/side-effects-of-radiation-therapy.htm|title=Side Effects of Radiation Therapy - Caring4Cancer|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20330060027/http://www.caring4cancer.com/go/cancer/effects/side-effects-of-radiation-therapy.htm|archive-date=2012-03-30|url-status=dead|access-date=2012-05-02}} Common radiation side effects</ref>

==== 상피 조직 손상 ====
[[상피 조직]]은 방사선 치료로 인해서 손상될 수 있다.<ref>{{cite web|url=http://www.cancer.gov/cancertopics/coping/radiation-therapy-and-you/page8|title=Radiation Therapy Side Effects and Ways to Manage them|date=2007-04-20|publisher=National Cancer Institute|access-date=2012-05-02}}</ref> 치료 부위에 따라 피부, 구강 점막, 인두, 장점막, 요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손상 시작과 회복 속도는 상피세포의 회전율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피부는 치료를 시작한지 몇 주만에 분홍색으로 변하고 아프 시작한다. 치료 중과 방사선 치료 종류 후 일주일 동안 반응이 더욱 심해져 피부가 무너질 수 도 있다. 이런 습성표피탈락은 불편하지만 대부분 회복이 빠르다. 피부 반응은 여성의 유방 아래, 귀 뒤, 사타구니 등 피부에 자연스러운 주름이 져 있는 부위에서 더욱 악회되는 경향이 있다.

==== 입, 목, 위 통증 ====
머리와 목 부위를 치료하게 되면 입과 목에 일시적인 통증과 궤양이 흔하게 발생한다.<ref name="radiobiology_for_the_radiologist_5">{{Cite book|title=Radiobiology for the radiologist|year=2000|publisher=Lippincott Williams Wilkins|location=Philadelphia|page=351|isbn=9780781726498|vauthors=Hall EJ}}</ref> 만약 심할 경우엔 삼키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환자는 진통제와 영양제/식품 보충제가 필요할 수 있다. 식도를 직접 치료하거나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것처럼 폐암 치료 중에 부차방사선을 투여받으면 식도에 통증이 있을 수 있다. 간암 및 전이를 치료할 때, 부차방사선이 위염, 소화성궤양, 십이지장 궤양을 유발할 수 있다.<ref>{{cite journal|title=Gastroduodenal injury after radioembolization of hepatic tumors|journal=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date=June 2007|volume=102|issue=6|pages=1216–1220|doi=10.1111/j.1572-0241.2007.01172.x|pmid=17355414|display-authors=6|vauthors=Carretero C, Munoz-Navas M, Betes M, Angos R, Subtil JC, Fernandez-Urien I, De la Riva S, Sola J, Bilbao JI, de Luis E, Sangro B|s2cid=121385|hdl=10171/27487|hdl-access=free}}</ref><ref>{{cite journal|title=Radiation-induced ulceration of the stomach secondary to hepatic embolization with radioactive yttrium microspheres in the treatment of metastatic colon cancer|journal=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date=March 2004|volume=19|issue=3|pages=347–349|doi=10.1111/j.1440-1746.2003.03322.x|pmid=14748889|vauthors=Yip D, Allen R, Ashton C, Jain S|s2cid=39434006}}</ref> 이 부차방사선은 일반적으로 방사성 물질이 주입되는 비표적 전달(환류)에 의해 발생한다.<ref>{{cite journal|title=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hepatic arterial Yttrium-90 microsphere therapy|journal=Journal of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ogy|date=April 2007|volume=18|issue=4|pages=553–61; quiz 562|doi=10.1016/j.jvir.2007.02.002|pmid=17446547|display-authors=6|vauthors=Murthy R, Brown DB, Salem R, Meranze SG, Coldwell DM, Krishnan S, Nunez R, Habbu A, Liu D, Ross W, Cohen AM, Censullo M|doi-access=free}}</ref> 이러한 유형의 부작용 발생을 줄이기 위한 용, 기법 및 장치가 있다.<ref>{{cite journal|title=Quantification and reduction of reflux during embolotherapy using an antireflux catheter and tantalum microspheres: ex vivo analysis|journal=Journal of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ogy|date=April 2013|volume=24|issue=4|pages=575–580|doi=10.1016/j.jvir.2012.12.018|pmid=23462064|vauthors=Arepally A, Chomas J, Kraitchman D, Hong K}}</ref>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3년 9월 25일 (월) 20:57 판

방사선종양학(放射線腫瘍學科, 영어: radiation therapy, radiotherapy, radiation oncology, RT, RTx, XRT)은 이온화 방사선으로 암 환자의 치료, 방사선 치료의 생물학적 및 물리적 원리의 연구, 그리고 이 분야의 전문가 양성 등에 쏟는 임상적 및 과학적 노력이다. 방사선 치료는 이온화 방사선을 이용해 (악성 종양)을 치료하는 것으로 의학의 전문 진료분야다.

방사선치료는 세포의 성장을 조절하는 능력으로 인해 암성 종양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온화 방사선은 암성 조직의 DNA를 손상시켜 세포 자살을 초래한다. 정상 조직(예: 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방사선이 통과해야 하는 피부 혹은 장기)을 보호하기 위해서 성형된 방사선 빔은 종양과 교차하도록 여러 노출 각도에서 조준되어 주변의 건강한 조직보다 훨씬 더 큰 흡수선량을 제공한다. 종양 자체 외에도, 임상적으로 혹은 방사선학적으로 종양과 관련이 있거나 무증상 악성 확산의 위험이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방사선장에는 배 림프절 포함할 수 있다. 매일의 설정 및 종양 내부 움직임의 불확실성을 받아들이기 위해 종양 주위의 정상 조직의 여백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내부 움직임(예 : 호흡 및 방광이 차는 것) 및 종양 위치에 따른 바깥피부 자국의 움직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방사선 종양학(Radiation Oncology)은 방사선 처방과 관련된 의학 전문 분야이며, 의료 영상진단에 방사선을 사용하는 방사선과는 구별된다. 방사선은 방사선 종양 전문의사가 치료 혹은 보조 요법 목적으로 처방할 수 있다. 이는 완화치료(치료가 불가능하고 국소적 질환 조절 혹은 증상 완화가 목적인 경우) 혹은 치료적 치료( 치료가 생존에 이점이 있고 완치될 수 있는 경우)로 사용할 수 있다.[1] 방사선 치료는 수술, 화학요법, 호르몬 요법, 면역 요법 혹은 네 가지 요법을 혼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장 흔한 암 종류는 어떤 방식으로든 방사선 치료로 치료할 수 있다.


정확한 치료 의도(완치, 보조, 선행화학요법 혹은 완화)는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뿐만 아니라 종양의 종류, 위치 및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전신방사선치료(TBI)는 골수이식을 받을 수 있는 신체를 준비 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방사선 치료 기술이다.

치료가 필요한 부위의 내부 혹은 옆에 방사선원을 배치하는 근접치료(내부방사선치료)는 유방암, 전립선암 및 기타 장기의 암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건강한 조직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는 방사선 치료의 또 다른 형태이다. 방사선 치료는 삼차신경통, 청신경초종, 중증 갑상선 안병증, 익상편, 색소 융모 결절성 활막염, 켈로이드 흉터 성장 예방, 혈관 재협착증, 이소성골화증의 예방과 같은 비악성 질환에 여러 가지 용도로 적용된다.[1][2][3][4]

방사선치료의 목적

근치적 목적

계획된 방사선량을 주위 정상 조직의 피해는 최소화 하면서 목표한 암 덩어리에 정확히 투여하여, 암을 근절하고 삶의 질을 높게 유지하며 생명을 연장한다.

증상완화 목적

통증 완화, 골절 예방, 저하된 장기 기능 회복 및 막힌 관상 기관을 뚫어주는 등의 암에 의한 증상을 경감시킨다.

부작용

방사선 치료(RT)는 가 자체로는 통증이 없다. 많은 저선량 완화치료(예 : 뼈 전이에 대한 방사선 치료)는 부작용이 거의 없거나 전혀 발생되지 않지만, 치료 부위에 신경을 압박하는 부종으로 인해 치료 후 며칠 동안 단기적인 통증이 재발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복용량을 더욱 높일수록 치료 중(급성 부작용), 치료 후 수개월 혹은 수년 동안(장기 부작용) 혹은 재치료 후(누적 부작용)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부작용의 특성, 심각도 및 수명은 방사선을 받는 기관, 치료 자체(방사선의 종류, 복용량, 분할, 동시 화학 요법) 및 환자에 따라 달라진다. RT 사례 중 5%에서 심각한 방사선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50 Gy RT 투어량을 투약 후 급성(거의 즉시) 혹은 아급성(RT 후 2~3개월) 방사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65 Gy 이후에는 방사선 손상이 늦거나 지연되어 발생할 수 있다(6개월에서 10년).[5]

거의 모든 부작용은 예측 가능하고 예상할 수 있다. 방사선으로 인한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치료 중인 환자의 신체 부위에 국한된다. 부작용은 용량에 따라 좌우된다. 예를 들어, 두경부 방사선의 용량이 높을수록 심혈관 합병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뇌하수체 기능 장애와 연관되어 발생할 수 있다.[6] 현대 방사선 치료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환자가 피하기 어려운 부작용을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보고된 주 부작용은 경미하거나 중증 정도의 일광화상과 같은 피로 및 피부 자극이다. 피로는 종종 치료 과정 중에 나타나며, 치료가 끝난 후에도 몇 주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자극받은 피부는 치유될 것이지만 예전만큼의 탄력이 없을 수 있다.[7]

급성 부작용

메스꺼움과 구토

메스꺼움과 구토는 방사선 치료의 일반적인 부작용이 아니며, 기계적으로 위나 복부의 치료( 일반적으로 치료 후 몇 시간 후에 반응)에만 관련이 있거나 특정 두경부 암(가장 일반적으로 내이의 전정 기관)을 치료하는 동안 머리 안에서 메스꺼움을 유발하는 특정 구조에 대한 방사선 치료와 관련이 있다.[8]

고통스러운 치료와 마찬가지로 일부 환자들은 방사선 치료 도중에 곧바로 구토를 하거나, 심지어 이를 예상하기도 하지만 이는 심리적인 반응으로 간주된다. 메스꺼움은 어떤 이유로든 항구토제로 치료할 수 있다.[9]

상피 조직 손상

상피 조직은 방사선 치료로 인해서 손상될 수 있다.[10] 치료 부위에 따라 피부, 구강 점막, 인두, 장점막, 요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손상 시작과 회복 속도는 상피세포의 회전율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피부는 치료를 시작한지 몇 주만에 분홍색으로 변하고 아프 시작한다. 치료 중과 방사선 치료 종류 후 일주일 동안 반응이 더욱 심해져 피부가 무너질 수 도 있다. 이런 습성표피탈락은 불편하지만 대부분 회복이 빠르다. 피부 반응은 여성의 유방 아래, 귀 뒤, 사타구니 등 피부에 자연스러운 주름이 져 있는 부위에서 더욱 악회되는 경향이 있다.

입, 목, 위 통증

머리와 목 부위를 치료하게 되면 입과 목에 일시적인 통증과 궤양이 흔하게 발생한다.[11] 만약 심할 경우엔 삼키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환자는 진통제와 영양제/식품 보충제가 필요할 수 있다. 식도를 직접 치료하거나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것처럼 폐암 치료 중에 부차방사선을 투여받으면 식도에 통증이 있을 수 있다. 간암 및 전이를 치료할 때, 부차방사선이 위염, 소화성궤양, 십이지장 궤양을 유발할 수 있다.[12][13] 이 부차방사선은 일반적으로 방사성 물질이 주입되는 비표적 전달(환류)에 의해 발생한다.[14] 이러한 유형의 부작용 발생을 줄이기 위한 용, 기법 및 장치가 있다.[15]

같이 보기

외부 링크

  1. Yerramilli D, Xu AJ, Gillespie EF, Shepherd AF, Beal K, Gomez D, 외. (2020년 7월 1일). “Palliative Radiation Therapy for Oncologic Emergencies in the Setting of COVID-19: Approaches to Balancing Risks and Benefits”. 《Advances in Radiation Oncology》 (영어) 5 (4): 589–594. doi:10.1016/j.adro.2020.04.001. PMC 7194647. PMID 32363243. 
  2. Rades D, Stalpers LJ, Veninga T, Schulte R, Hoskin PJ, Obralic N, 외. (May 2005). “Evaluation of five radiation schedules and prognostic factors for metastatic spinal cord compressio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3 (15): 3366–3375. doi:10.1200/JCO.2005.04.754. PMID 15908648. 
  3. Rades D, Panzner A, Rudat V, Karstens JH, Schild SE (November 2011). “Dose escalation of radiotherapy for metastatic spinal cord compression (MSCC) in patients with relatively favorable survival prognosis”. 《Strahlentherapie und Onkologie》 187 (11): 729–735. doi:10.1007/s00066-011-2266-y. PMID 22037654. S2CID 19991034. 
  4. Rades D, Šegedin B, Conde-Moreno AJ, Garcia R, Perpar A, Metz M, 외. (February 2016). “Radiotherapy With 4 Gy × 5 Versus 3 Gy × 10 for Metastatic Epidural Spinal Cord Compression: Final Results of the SCORE-2 Trial (ARO 2009/01)”.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4 (6): 597–602. doi:10.1200/JCO.2015.64.0862. PMID 26729431. 
  5. Cooper, Jeffrey S.; Hanley, Mary E.; Hendriksen, Stephen; Robins, Marc (2022년 8월 30일). “Hyperbaric Treatment of Delayed Radiation Injury”. 《www.ncbi.nlm.nih.gov》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PMID 29261879. 2023년 7월 23일에 확인함. 
  6. Mahmood SS, Nohria A (July 2016).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of Cranial and Neck Radiation”. 《Current Treatment Options in Cardiovascular Medicine》 18 (7): 45. doi:10.1007/s11936-016-0468-4. PMID 27181400. S2CID 23888595. 
  7. “Radiation Therapy for Breast Cancer: Possible Side Effects”. Rtanswers.com. 2012년 3월 15일. 2012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20일에 확인함. 
  8. Lee VH, Ng SC, Leung TW, Au GK, Kwong DL (September 2012). “Dosimetric predictors of radiation-induced acute nausea and vomiting in IMRT for nasopharyngeal cancer”.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84 (1): 176–182. doi:10.1016/j.ijrobp.2011.10.010. PMID 22245210. 
  9. “Side Effects of Radiation Therapy - Caring4Cancer”. 2012년 3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일에 확인함.  Common radiation side effects
  10. “Radiation Therapy Side Effects and Ways to Manage them”.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7년 4월 20일. 2012년 5월 2일에 확인함. 
  11. Hall EJ (2000). 《Radiobiology for the radiologist》.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Wilkins. 351쪽. ISBN 9780781726498. 
  12. Carretero C, Munoz-Navas M, Betes M, Angos R, Subtil JC, Fernandez-Urien I, 외. (June 2007). “Gastroduodenal injury after radioembolization of hepatic tumors”.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02 (6): 1216–1220. doi:10.1111/j.1572-0241.2007.01172.x. hdl:10171/27487. PMID 17355414. S2CID 121385. 
  13. Yip D, Allen R, Ashton C, Jain S (March 2004). “Radiation-induced ulceration of the stomach secondary to hepatic embolization with radioactive yttrium microspheres in the treatment of metastatic colon cancer”. 《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19 (3): 347–349. doi:10.1111/j.1440-1746.2003.03322.x. PMID 14748889. S2CID 39434006. 
  14. Murthy R, Brown DB, Salem R, Meranze SG, Coldwell DM, Krishnan S, 외. (April 2007).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hepatic arterial Yttrium-90 microsphere therapy”. 《Journal of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18 (4): 553–61; quiz 562. doi:10.1016/j.jvir.2007.02.002. PMID 17446547. 
  15. Arepally A, Chomas J, Kraitchman D, Hong K (April 2013). “Quantification and reduction of reflux during embolotherapy using an antireflux catheter and tantalum microspheres: ex vivo analysis”. 《Journal of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ogy》 24 (4): 575–580. doi:10.1016/j.jvir.2012.12.018. PMID 23462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