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의 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Smoothist (토론 | 기여)
페이지를 풍성하게 하세요
태그: 시각 편집 m 모바일 웹
16번째 줄: 16번째 줄:


메소포타미아는 기원전 10,000년 경부터 [[신석기 혁명]]의 초기 발전지이다. 그것은 "바퀴의 발명, 최초의 곡물 작물의 심기, 필기체의 개발, 수학, 천문학, 농업을 포함한 인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발전의 일부에 영감을 주었다"고 확인되었다.<ref name="historyandpolicy">{{웹 인용|url=http://www.historyandpolicy.org/papers/policy-paper-13.html|title=Iraq, past, present and future: a thoroughly-modern mandate?|last=Milton-Edwards|first=Beverley|date=May 2003|work=History & Policy|publisher=History & Policy|access-date=9 December 2010|location=[[United Kingdom]]|archive-date=2014-03-13|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313152614/http://www.historyandpolicy.org/papers/policy-paper-13.html|url-status=dead}}</ref>
메소포타미아는 기원전 10,000년 경부터 [[신석기 혁명]]의 초기 발전지이다. 그것은 "바퀴의 발명, 최초의 곡물 작물의 심기, 필기체의 개발, 수학, 천문학, 농업을 포함한 인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발전의 일부에 영감을 주었다"고 확인되었다.<ref name="historyandpolicy">{{웹 인용|url=http://www.historyandpolicy.org/papers/policy-paper-13.html|title=Iraq, past, present and future: a thoroughly-modern mandate?|last=Milton-Edwards|first=Beverley|date=May 2003|work=History & Policy|publisher=History & Policy|access-date=9 December 2010|location=[[United Kingdom]]|archive-date=2014-03-13|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40313152614/http://www.historyandpolicy.org/papers/policy-paper-13.html|url-status=dead}}</ref>
== 수메르 문명 ==
메소포타미아(이라크)의 수메르 문명은 세계 역사상 최초의 문명으로 간주됩니다. 기원전 6천년부터 기원전 2천년까지 이어집니다. 수메르인들은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 정착하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자가 담긴 정착촌과 도시 도시를 건설했습니다.

=== 우루크 시대 (기원전 4000년~3100년) ===
이 기간의 이름은 메소포타미아에서 도시 지역이 나타나기 시작한 수메르 도시 우루크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메소포타미아 남부 지역은 우루크 문명의 문화적 보물로, 주요 기념물과 국가기관의 발전과 함께 나타난 도시사회의 가장 중요한 흔적을 담고 있어 당시 문화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4천년 후반.{{multiple image
| perrow = 2
| total_width = 250
| caption_align = center
| direction = vertical
| header = 우루크 왕-사제
| image1 = Yale University. Uruk period priest-king.jpg
| caption1 = 왕 겸 제사장과 그의 수행자가 신성한 무리를 먹이고 있습니다.우르크 시대, c.기원전 3200
| image2 =
| caption2 =
}}
우루크 시대의 수메르 도시들은 아마도 신권정치적이었을 것이며, 남성과 여성을 모두 포함하는 장로 회의의 지원을 받는 사제 겸 왕(엔시)이 이끄는 도시였을 가능성이 큽니다.<ref name="Jacobsen2">Jacobsen, Thorkild (Ed) (1939),"The Sumerian King List"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Assyriological Studies, No. 11., 1939)</ref> 후기 수메르 판테온은 이러한 정치적 구조를 모델로 삼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우루크는 세계에서 가장 도시화된 도시가 되었으며, 처음으로 인구가 50,000명을 넘었습니다.

고대 수메르 왕 목록에는 이 시대의 여러 주요 도시의 첫 번째 왕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목록의 첫 번째 이름 그룹은 대홍수 이전에 통치했다고 알려진 왕들의 이름입니다.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세계사상 최초의 왕으로 꼽히는 올룰림(alulim)왕이다.<ref name="Jacobsen">Jacobsen, Thorkild (Ed) (1939),"The Sumerian King List"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Assyriological Studies, No. 11., 1939)</ref>

인류 역사상 최초의 문자 체계가 등장한 곳도 바로 이 지역이었습니다. 이는 선사 시대와 사후 시대를 구분하는 선을 긋는 발명품입니다. 그 문화는 당시 근동의 나머지 지역에 영향을 미쳤습니다.<ref name="liveco">{{Harvard citation|Liverani|2006|id=LIV|pp=32–52}} on the different economic activities of the archaic state and their supposed degree of 'complexity'.</ref><ref>{{Harvard citation|Algaze|2008|id=ALG|pp=40–61}}</ref>

선사시대와 역사의 정점에 있는 우루크 시대는 여러 면에서 '혁명적'이고 기초적인 시대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그것이 낳은 많은 혁신은 메소포타미아의 역사와 실제로 세계의 역사에 전환점이 되었습니다.<ref>On the details and range of changes in this foundational period in Mesopotamia in relation to other civilizations, see especially the contributions in M. Lamberg-Karlovsky (ed.), ''The Breakout: The Origins of Civilization'', Cambridge MA, 2000.</ref>

=== 젬데트 나스르 시대 (기원전 3100년~2900년) ===
{{multiple image
| align = left
| width = 120
| image_gap = 10
| image1 = Cup with Nude Hero, Bulls and Lions, Tell Agrab, Shara Temple, Jamdat Nasr to Early Dynastic period, 3000-2600 BC, gypsum - Oriental Institute Museum, University of Chicago - DSC07461.JPG
| alt1 =
| caption1 =
| image2 = Mesopotamia, Periodo proto-dinastico-jamdat nasr, coppa con eroe nudo, tori e leone, da tell agrab, 3000-2600 ac.jpg
| alt2 =
| caption2 =
| footer = 젬데트 나스르 시대의 유물인 챔피언과 황소가 담긴 컵
}}
기원전 3100년경에는 농업에 종사하는 농민의 수가 크게 늘어나 도심이 성지가 되었으며, 이 시기는 기원전 2900년경에 끝났다. 젬데트 나스르와 같은 유적지에서 발굴된 중앙 건물, 행정 설형 문자판, 원통형 봉인 등을 보면 이 시기 정착촌이 고도로 조직화되어 있었고 중앙 행정부가 수공예 산업부터 식량 배급에 이르기까지 경제의 모든 측면을 규제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ref name="matthews20023337">{{استشهاد بهارفارد دون أقواس|Matthews|2002|pp=33–37}}</ref>

이 시기에 발명된 육십진법은 나중에 수메르인으로부터 바빌로니아인에 의해 전수되었으며, 현대에도 이 체계는 각도 측정, 지리좌표, 전자항법, 시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ref>{{cite book|title=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last1=Powell|first1=Marvin A.|date=2008|pages=1998–1999|chapter=Sexagesimal System|doi=10.1007/978-1-4020-4425-0_9055|isbn=978-1-4020-4559-2}}</ref><ref name="woods39">{{harvnb|Woods|2010|p=39}}</ref>

== 초기 왕조 시대 ==
그러다가 기원전 2800년경에 이라크에서 왕조의 여명기가 시작되었습니다. 그것은 6세기 동안 지속되었는데, 이를 고대 수메르 시대 또는 도시 국가 시대라고도 하며, 이 시대는 세 시대로 나누어진다:

=== 첫 번째 키시 왕조 ===
다른 전설적인 출처에서 알려진 목록에 있는 최초의 왕조 이름은 에타나(Etana)로, "하늘로 올라가 모든 외국을 통합한 목자"라고 불립니다. 그는 대략 기원전 3000년에 살았던 것으로 루 에 의해 추정되었습니다.<ref>Roux, Georges 1971, "Ancient Iraq", Penguin, Harmondsworth.</ref>

고고학적 비문을 통해 역사적 존재가 독립적으로 입증된 목록에 있는 최초의 군주는 키시의 엔메바라게시(기원전 2600년경)로, 엘람을 물리치고 니푸르에 엔릴 신전을 세웠다고 전해진다. 엔메바라게시의 후계자인 아가는 그 도시의 다섯 번째 왕인 우루크의 길가메시와 싸웠다고 전해진다. 이때부터 한동안 우루크는 수메르에서 일종의 패권을 쥐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우루크 제1왕조 ===
[[File:Rolzegel.JP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Rolzegel.JPG|섬네일|챙이 있는 모자와 긴 코트를 입은 "왕-사제"가 여신 이난나의 무리에게 먹이를 주는 모습을 보여주는 우루크의 원통 인장 인상. 두 마리의 숫양으로 상징되며 우르크 꽃병처럼 갈대 묶음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후기 우루크 시대, 기원전 3300~3000년..<ref>{{cite book|url=https://archive.org/details/artoffirstcities0000unse|title=Art of the First Cities: The Third Millennium B.C. from the Mediterranean to the Indus|date=2003|publisher=Metropolitan Museum of Art|page=[https://archive.org/details/artoffirstcities0000unse/page/481 481]|isbn=978-1-58839043-1|url-access=registration}}</ref><ref>{{cite web|url=http://repository.edition-topoi.org/collection/VMRS/single/1769/2|title=Vorderasiatisches Museum Berlin|website=Repository|publisher=Edition Topoi}}</ref>]]
메시키앙가셔는 우루크의 첫 번째 왕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 뒤를<ref>Identified by [[David Rohl]] with [[Nimrod (king)|Nimrod]] the Hunter, mentioned in the Bible as founding Erech</ref>가 따랐습니다. 서사시 엔메르카르와 아라타의 영주<ref>{{cite web|url=http://etcsl.orinst.ox.ac.uk/cgi-bin/etcsl.cgi?text=t.1.8.2.3#|title=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website=ETCSL|publisher=Oxford|place=UK|access-date=23 April 2018}}</ref>는 수메르 강 상류의 산이 많고 광물이 풍부한 나라인 아라타(Aratta)로 강을 건너 항해한 것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 뒤를 이어 단편적인 전설로도 알려진 루갈반다와 어부 두무지드가 뒤를 이었습니다.

이 왕조의 가장 유명한 군주는 길가메시 서사시의 영웅인 두무지드의 후계자 길가메시였으며, ​​여기서 그는 루갈반다의 아들이라고 불립니다. 이 문서의 고대 단편 사본은 아나톨리아의 하투사스, 이스라엘의 므깃도, 이집트의 텔 엘 아마르나와 같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습니다.

=== 우르 제1왕조 ===
[[File:Golden_helmet_of_Meskalamdug_in_the_British_Museum.jp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Golden_helmet_of_Meskalamdug_in_the_British_Museum.jpg|섬네일|기원전 26세기 우르 제1왕조의 통치자 메스칼람두그의 황금 투구.]]
이 왕조는 기원전 26세기에 시작되었습니다.<ref name="CAH">{{cite book|url=https://archive.org/details/cambridgeancient0001unse|title=The Cambridge Ancient History|date=1970|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page=[https://archive.org/details/cambridgeancient0001unse/page/228 228]|language=en|isbn=9780521070515|url-access=registration}}</ref> 메스칼람두그(Meskalamdug)는 고고학적으로 기록된 최초의 우르 도시의 왕(lu=man, gal=big의 Lugal)입니다. 그는 그의 아들 Akalamdug가 계승했고, Akalamdug는 그의 아들 Mesh-Ane-pada가 계승했습니다. 메시-아네-파다(Mesh-Ane-pada)는 왕명부에 오른 최초의 우르 왕으로, 우르크의 루갈킬두를 물리쳤다고 합니다. 그는 또한 키쉬를 복종시킨 후 자신을 "키쉬의 왕"이라는 칭호를 취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칭호는 이후 한동안 저명한 왕조의 많은 왕들에 의해 사용되었습니다. Kish의 Mesilim 왕은 Lagash와 Adab의 비문에서 그가 그 도시에 사원을 세웠으며 그곳에서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기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또한 Lagash의 일부 초기 기념물에서 Lugal-sha-engur, Lagash의 ensi(대제사장 또는 총독)와 그들의 주요 라이벌인 이웃 마을 Umma의 엔시 사이의 국경 분쟁을 중재한 것으로 언급되어 있습니다. 우르의 메산네파다 통치 전, 도중, 후에 메실림의 위치는 불확실하다. 비문에 다른 동시 이름이 없고 왕 목록에 그가 없기 때문이다.

=== 아완 왕조 ===
[[File:Ur-Nanshe_King_of_Lagash_in_the_limestone_votive_relief_of_Ur-Nanshe.jp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Ur-Nanshe_King_of_Lagash_in_the_limestone_votive_relief_of_Ur-Nanshe.jpg|섬네일|기원전 2500년경 라가쉬의 왕 우르난셰(Ur-Nanshe)의 수메르 부조.]]
이 왕조는 기원전 2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엘람 왕조도 명확하게 언급되는 시기와 거의 같은 시기입니다.<ref>D. T. Potts, [https://books.google.com/books?id=WE62CgAAQBAJ&pg=PA79 ''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221123080707/https://books.google.ca/books?id=WE62CgAAQBAJ&pg=PA79|date=2022-11-23}} Cambridge World Archa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ISBN|1107094690}} p79</ref>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수메르의 동쪽 이웃인 엘람(Elam)은 아완(Awan) 시를 기반으로 짧은 기간 동안 수메르의 왕권을 유지했습니다.

=== 우르 제2왕조 ===
엔샤쿠샨나는 기원전 3000년 후반에 우루크의 왕으로 수메르 왕 목록에 이름이 올라 있으며, 그의 통치 기간은 60년으로 나와 있습니다. 그는 우루크에서 Lugal-kinishe-dudu에 의해 계승되었지만 패권은 잠시 Lagash의 Eannatum에게 넘어간 것 같습니다.

==== 아다브 제국 ====
이 기간 이후, 메소포타미아 지역은 아다브 출신의 수메르 정복자 루갈-아네-문두의 지배를 받아 우루크, 우르, 라가쉬를 통치하게 된 것 같습니다. 비문에 따르면 그는 아라비아 만에서 지중해까지 그리고 엘람을 포함한 자그로스 산맥까지 통치했습니다.<ref>Samuel Kramer, ''The Sumerians'', 51-52.</ref> 그러나 그의 제국은 그의 죽음으로 무너졌다. 왕 목록은 상부 메소포타미아의 마리가 헤게모니를 차지할 다음 도시였음을 나타냅니다.

=== 악샤크 왕조 ===
Akshak 역시 Puzur-Nirah, Ishu-Il 및 Ishu-Il의 아들 Shu-Suen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통치자들과 함께 독립을 달성한 후 Kish의 제4 왕조에서 통치자들에게 패배했습니다.

=== 라가쉬 제1왕조 ===
이 왕조의 역사는 기원전 25세기이다. 엔헤갈은 우루크의 속국인 라가쉬의 최초의 통치자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의 후계자 Lugal-sha-engur는 마찬가지로 Mesilim의 지류였습니다. 우르의 메산네파다(Mesannepada)의 헤게모니에 이어 우르난셰(Ur-Nanshe)는 루갈샤엔구르(Lugal-sha-engur)의 뒤를 이어 라가쉬(Lagash)의 새로운 대제사장이 되었고 독립을 달성하여 스스로 왕이 되었습니다. 그는 우르를 물리치고 움마의 왕 파빌갈투크를 사로잡았습니다. 그가 닌기르수 사원에 부착한 건물의 폐허에서 왕과 그의 아들들의 테라코타 기초 부조가 발견되었으며, 이집트 작품을 연상시키는 오닉스 판과 오닉스로 만든 사자 머리도 발견되었습니다.[24] 한 비문에는 딜문(바레인)의 배들이 그에게 외국 땅에서 조공으로 나무를 가져왔다고 적혀 있습니다. 그의 아들 Akurgal이 계승했습니다.<ref name="EB1911">{{EB1911|inline=y|wstitle=Babylonia and Assyria|volume=3|pages=99–112|first1=Archibald Henry|last1=Sayce|author1-link=Archibald Sayce|first2=Leonard William|last2=King|author2-link=Leonard William King|first3=Morris|last3=Jastrow|author3-link=Morris Jastrow Jr.}}</ref>

Ur-Nanshe의 손자 Eannatum은 Uruk(Enshakushana가 통치함), Ur, Nippur, Akshak 및 Larsa의 도시와 함께 수메르 지역 전체의 주인이 되었습니다. 그는 또한 Kish 왕국을 합병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죽음 이후 독립을 회복했다.[24] 움마는 공물이 되었습니다. 일정량의 곡물이 그 안에 있는 각 사람에게 부과되었으며, 그 곡물은 여신 니나와 신 닌기르수의 금고에 넣어져야 했습니다.[24] Eannatum의 캠페인은 수메르의 경계를 넘어 확장되었으며 Elam의 일부를 점령하고 페르시아만의 Az 도시를 점령하고 Mari까지 조공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그가 정복한 많은 영역에서는 종종 반란이 일어났습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Lagash와 다른 곳에서는 사원과 궁전이 수리되거나 세워졌습니다. 아마도 나중에 니니베(Niniveh)라는 이름을 갖게 된 니나(cit) 마을이 재건되었고 운하와 저수지가 발굴되었습니다. Eannatum은 그의 형제 En-anna-tum I에 의해 계승되었습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Umma는 Lagash를 성공적으로 공격하지 못한 Ur-Lumma 아래에서 다시 한번 독립을 주장했습니다. Ur-Lumma는 Lagash를 공격 한 사제 왕 Illi로 대체되었습니다.<ref name="EB1911" />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Entemena는 Lagash의 명성을 회복했습니다. Umma의 Illi는 그의 동맹인 Lugal-kinishe-dudu 또는 Enshakushana의 후계자이자 왕 목록에 있는 Uruk의 Lugal-ure의 도움으로 정복되었습니다. Lugal-kinishe-dudu는 Kish와 Ur도 통치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당시 저명한 인물이었던 것 같습니다. 엔테메나가 그의 신에게 바친 은병은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있습니다.[24] 목 주위에는 산양과 사슴을 잡아먹는 사자의 프리즈가 예술적 기교로 새겨져 있고, 구형 부분에는 라가쉬(Lagash)의 독수리 문장이 장식되어 있습니다. 꽃병은 금세공인의 기술이 이미 달성한 높은 수준의 탁월함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ref name="EB1911" /> Entemena가 바친 방해석 꽃병이 Nippur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엔테메나 이후, 일련의 약하고 부패한 사제 왕들이 라가쉬를 위해 증명되었습니다. 이들 중 마지막 우루카기나(Urukagina)는 사법, 사회, 경제 개혁으로 유명했으며, 아마도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법전일 것입니다.<ref name="EB1911" />

=== 우루크 제국 ===
우루카기나(BC 2359~2335년경)는 무너졌고 그의 도시 라가시는 움마의 대제사장 루갈자게시에게 점령당했다. Lugal-zage-si는 또한 Uruk와 Ur을 점령하고 Uruk를 수도로 삼았습니다. 니푸르의 엔릴에게 바친 수백 개의 돌 꽃병에 새겨진 긴 비문에서 그는 자신의 왕국이 "하부 바다(페르시아 만)에서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를 따라 상해까지" 또는 지중해까지 확장되었다고 자랑합니다.<ref name="EB1911" /> 그의 제국은 아카드의 사르곤에 의해 무너졌다.

== 아카드 제국 ==
{{Main article|아카드 제국}}
기원전 2350년경 아카드의 지도자인 [[아카드의 사르곤]](Sargon of Akkad)의 지도하에 아카드인들에게 권력이 이양되었습니다. 사르곤은 수메르를 통일하고 이라크의 모든 도시에 대한 주권을 행사하고 아카드 시를 그의 왕국의 수도로 만들 수 있었습니다. 그는 바빌론, 북부 메소포타미아, 엘람, 시리아, 팔레스타인 및 아나톨리아 일부 지역에 영향력을 확장했으며, 그의 국가는 아라비아 만과 아와즈까지 확장되어 전 지역이 그의 통치를 받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역사상 최초로 알려진 제국이 설립되었습니다. 캐러밴 루트도 편성되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라크 중부의 수도인 아카드 시와 아나톨리아의 구리 광산을 연결하는 루트였으며, 구리는 군사 도구와 장비 제조에 중요했고, 아카드어가 수메르어를 대체했습니다.<ref>[https://www.almutmar.com/index.php?id=20118131 من تاريخ العراق القديم 2] {{Web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60306074310/http://almutmar.com/index.php?id=20118131|date=06 مارس 2016}}</ref><ref>{{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An Akkadian Victory Stele|تاريخ=(1970)|ناشر=|مؤلف1=John F. X. McKeon|مؤلف2=|محرر1=Boston Museum Bulletin|لغة=|مكان=|الأول=|بواسطة=|عمل=}}</ref>

=== [[사르곤]] (기원전 2371년-2316년) ===
사르곤은 56년 동안 통치하면서 백성에게 번영을 가져오고, 도처에 안전을 확립하고, 지식, 과학, 예술, 글쓰기를 전파했습니다. 설형문자와 아카드어로 쓰여진 점토판은 아나톨리아와 엘람의 먼 식민지에서 발견되었습니다. 그의 시대에는 미술이 진흥되었습니다. 이라크 박물관에는 니네베에서 발견된 실물 크기의 청동상의 머리가 있습니다. 아마도 이는 사르곤 자신을 표현한 것이며, 그의 손자 나람신을 표현한 것일 수도 있으며, 가장 귀중한 작품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파일:Sargon of Akkad (1936).jpg|섬네일|367x367픽셀]]
약 1년(기원전 2284년) 사르곤이 죽은 뒤 그의 두 아들 리무쉬와 만슈투수가 뒤를 이었고, 그들 각자는 그의 손자 나람신이 권력을 잡을 때까지 광대한 제국의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ref name=":42">{{استشهاد بكتاب|الأخير1=Stiebing Jr|الأول1=H. William|عنوان=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ناشر=Pearson Longman; University of New Orleans|سنة=2009|صفحة=69}}</ref><ref>Samuel Noah Kramer, ''The Sumerians'', Chicago University Press, 1971, {{ردمك|0-226-45238-7}}</ref><ref>{{استشهاد|عنوان=Sargon|doi=10.1163/1574-9347_bnp_e1101500}}</ref>

=== [[리무시|리무쉬]](2315-2307)기원전 ===
리무쉬는 아버지 사르곤의 막내아들로 아버지를 직접 계승하여 9년 동안 통치했는데, 이름의 의미는 (오리의 뱀) 또는 (아카드의 뱀)일 것이다. 그의 비문에서는 그는 상해(지중해)와 하해(아라비아 만)의 왕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아버지를 이어 권력을 이어받아 7년 동안 계속 통치했는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제국의 확장과 많은 국가와 민족이 포함되면서 많은 내부 혁명이 일어났고, 그 중 일부는 독립을 추구했습니다. 혁명과 불복종을 추구한 첫 번째 사람은 엘람의 왕 아발가마쉬였는데, 리무쉬 황제가 그의 움직임을 진압하고 그를 붙잡아 시파르에 있는 태양의 신전 앞으로 끌고 가서 엘람의 나머지 도시들을 두 번 정복했습니다.<ref name=":0">{{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الحضارات السامية المُبكرة|ناشر=دار الرافدين، 2019|مؤلف1=[[خزعل الماجدي]]|مكان=ص 164}}</ref><ref name=":1">{{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Babylonian Liver Omens: The Chapters Manzazu, Padanu, and Pan Takalti of the Babylonian Extispicy Series Mainly from Assurbanipal's Library|مؤلف=Ulla Koch-Westenholz|ناشر=Museum Tusculanum|سنة=2000|صفحة=394}}</ref><ref name=":2">{{استشهاد بدورية محكمة|عنوان=Reviewed Work: Mesopotamien. Akkade-Zeit und Ur III-Zeit. Orbis Biblicus et Orientalis 160/3 by Walther Sallaberger, Aage Westenholz, P. Attinger, M. Wäfler|مؤلف=Mario Liverani|صحيفة=Archiv für Orientforschung|المجلد=48/49|سنة=2002|jstor=41668552|صفحات=180–181}}</ref><ref name=":3">{{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مؤلف=Samuel Noah Kramer|مسار=https://books.google.com/?id=iY9xp4pLp88C&printsec=frontcover&dq=the+sumerians+Samuel+Noah+Kramer#v=onepage&q=the%20sumerians%20Samuel%20Noah%20Kramer&f=false|ناشر=[[دار نشر جامعة شيكاغو]]|ردمك=0 226 45238 7|تاريخ=2010-09-17|مسار أرشيف=https://web.archive.org/web/20200618073223/https://books.google.com/books?id=iY9xp4pLp88C&printsec=frontcover&dq=the+sumerians+Samuel+Noah+Kramer&hl=en#v=onepage&q=the%20sumerians%20Samuel%20Noah%20Kramer&f=false|تاريخ أرشيف=2020-01-27}}</ref>
[[File:P1150890_Louvre_stèle_de_victoire_Akkad_AO2678_rwk.jp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P1150890_Louvre_st%C3%A8le_de_victoire_Akkad_AO2678_rwk.jpg|섬네일|기원전 2300년경 적을 학살하는 아카드 군인들, 아마도 리무쉬(Rimush)의 승리 비석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됩니다.<ref name="ML">{{cite web|url=http://ressources.louvrelens.fr/EXPLOITATION/oeuvre-ao-2678.aspx|title=Musée du Louvre-Lens – Portail documentaire – Stèle de victoire du roi Rimush (?)|website=ressources.louvrelens.fr|language=fr-FR}}</ref>]]
Rimush는 수메르인에 대해 폭력을 사용했지만 Uma 및 Kassalu와 같은 수메르 도시 내에서 반란이 발생했지만 수메르어와 Akkadian 언어를 국가 행정의 기초로 만들고 Enlil 신에게 수메르 사람들을 위해 수메르어로 새겨진 납상. 왕실 내에는 많은 분쟁이 있었고, 리무쉬가 수메르인과의 폭력 정책을 비난하는 사람들도 있었고, 분쟁이 격화되어 리무쉬가 암살당하고, 그의 동생 마니슈티슈가 그를 이어 권력을 잡았습니다.<ref name=":02">{{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الحضارات السامية المُبكرة|ناشر=دار الرافدين، 2019|مؤلف1=[[خزعل الماجدي]]|مكان=ص 164}}</ref><ref name=":12">{{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Babylonian Liver Omens: The Chapters Manzazu, Padanu, and Pan Takalti of the Babylonian Extispicy Series Mainly from Assurbanipal's Library|مؤلف=Ulla Koch-Westenholz|ناشر=Museum Tusculanum|سنة=2000|صفحة=394}}</ref><ref name=":3" />

=== 마니슈티쇼 (2306-2262)기원전 ===
기원전 2276년 동생 리무쉬(Rimush)가 죽은 뒤 권력을 잡았지만, 왕위에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형의 통치 기간에 독립한 수메르 도시들과 그 직전에 독립한 엘람 도시들을 함락시키지는 못했다. 그는 아버지 사르곤 1세의 통치가 끝나고 기원전 2261년에 사망하여 권력을 잡았으며 그의 아들 나람 신(Naram Sin)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ref>{{استشهاد ويب|مسار=https://www.louvre.fr/en/oeuvre-notices/obelisk|عنوان=Obelisk|تاريخ الوصول=17 May 2016|موقع=The Louvre|مسار أرشيف=https://web.archive.org/web/20180612164657/https://www.louvre.fr/en/oeuvre-notices/obelisk|تاريخ أرشيف=12 يونيو 2018}}</ref><ref>{{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مؤلف=Samuel Noah Kramer|مسار=https://books.google.com/?id=iY9xp4pLp88C&printsec=frontcover&dq=the+sumerians+Samuel+Noah+Kramer#v=onepage&q=the%20sumerians%20Samuel%20Noah%20Kramer&f=false|ناشر=[[دار نشر جامعة شيكاغو]]|ردمك=0 226 45238 7|تاريخ=2010-09-17|مسار أرشيف=https://web.archive.org/web/20200418195733/https://books.google.com/books?id=iY9xp4pLp88C&printsec=frontcover&dq=the+sumerians+Samuel+Noah+Kramer&hl=en#v=onepage&q=the%20sumerians%20Samuel%20Noah%20Kramer&f=false|تاريخ أرشيف=2020-01-26}}</ref>

마니슈티슈는 그의 형과는 정반대였으며, 수메르인과 엘람인과의 평화 정책을 따랐고 그 결과 확실한 안정과 예술적, 상업적, 문명적 르네상스의 결실을 거두었습니다. 그가 싸운 유일한 전투는 (바다 너머 도시의 여왕 32명)이 그에게 반역을 선언했을 때였기 때문에 군사 작전을 준비하여 그들을 다시 토벌시켰다. Manishtishu는 Sippar시에 세워진 섬록암 오벨리스크에서 농업 정책을 수립했으며 Kish와 Uma를 포함한 수메르 도시에서 많은 부동산과 광범위한 농경지를 구입했습니다. 경제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그의 정복은 아라비아 만 지역에서 강력하게 활동했던 엘람에 맞서 아카드 통치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ref>[[خزعل الماجدي]]. الحضارات السامية المُبكرة، ص 165.</ref>

마네스 시대의 아카드 제국은 수평으로는 이집트에서 인도까지, 수직으로는 크레타에서 아라비아 만과 아라비아 반도 북쪽까지 뻗어 있다는 점에서 알렉산더 시대의 마케도니아 제국에 해당하지만 역사가들은 마네스를 무시한다. , 그는 알렉산더의 정복보다 2천5백년 앞섰고 그들은 알렉산더 대왕이 한 일을 영광스럽게 합니다. 만스가 한 일은 글쓰기, 채광, 실린더 봉인, 지구라트를 포함하여 그의 나라의 문명을 다른 나라로 이전하는 것이었지만 (피라미드 이집트), 태양 숭배, 조각 예술, 댐과 운하 건설, 아마포 직조, 보석 예술, 저승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에 대한 봉헌물을 갖춘 무덤, 무기, 도구 농업, 건설 등 .. 이 모든 것들은 만스와 그 전후의 이라크 황제들에 의해 침략자들의 군대처럼 폭력, 파괴, 살상, 불태움에 대한 어떤 언급도 없이 세계 곳곳으로 운반되었습니다.<ref>الماجدي، خزعل، نفس المصدر، ص 170</ref>

=== [[나람신]] (2291-2255)기원전 ===
[[File:Victory_stele_of_Naram_Sin_9068.jp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Victory_stele_of_Naram_Sin_9068.jpg|섬네일|나람신 승전비,<ref>Stele of Narâm-Sîn, king of Akkad, celebrating his victory against the Lullubi from Zagros. Limestone, {{Circa|2250 BCE}}. Brought from Sippar to Susa among other spoils of war in the 12th century BCE. Now given dates for [[Naram-Sin of Akkad|Naram-Suen]] of Akkad, reign 2190 – 2154 BC.</ref> 기원전 2260년 자그로스의 자장가에 대한 승리를 축하합니다. 신성의 상징인 뿔이 달린 투구를 쓰고 있으며, 자신의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해 다른 사람에 비해 크게 그려져 있다.<ref name="H.William 2009 p.742">{{cite book|title=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last1=Stiebing|first1=H. William Jr.|year=2009|publisher=Pearson Longman|page=74|isbn=978-0-321-42297-2}}</ref> 기원전 12세기에 전쟁 전리품으로 시파르에서 수사로 가져왔습니다.]]
[[File:Akkadian_Empire_soldiers_on_the_victory_stele_of_Naram-Sin_circa_2250_BC.jp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Akkadian_Empire_soldiers_on_the_victory_stele_of_Naram-Sin_circa_2250_BC.jpg|섬네일|나람신 승리비에 있는 아카드 제국 군인들, 기원전 2250년경]]
나람신은 할아버지 사르곤의 통치 하에 있던 나라들을 재정복하여 다시 정복할 수 있었고, 거기에 자그로스 산맥의 룰루비 지역과 같은 산악 지역을 추가하고 엘람인들을 정복했습니다. 울퉁불퉁한 산악 지역에서 그의 군대의 선두에 있는 그를 상징하는 커다란 돌 오벨리스크에 정복이 이루어졌습니다. 오늘날 이 오벨리스크는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파리에서는 프랑스 사절단이 반세기 전 수사에서 그것을 발견했습니다. ], 이란의 엘람인의 수도인 나람 신은 광범위한 도시 작업을 수행하고, 국가에서 사회 생활을 조직했으며, 그의 할아버지 사르곤이 발표한 통일된 법률을 따랐으며, 비옥한 초승달 지역 전체에서 아카드어를 공식 언어로 만들었습니다. 37년 동안 통치한 후 그의 아들이 권력을 잡았습니다.<ref name="H.William 2009 p.74">{{استشهاد بكتاب|الأخير1=Stiebing|الأول1=H. William, Jr.|عنوان=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ناشر=Pearson Longman|سنة=2009|صفحة=74|isbn=978-0-321-42297-2}}</ref><ref>{{استشهاد بدورية محكمة|الأول1=Steve|الأخير1=Tinney|عنوان=A New Look at Naram-Sin and the Great Rebellion|صحيفة=Journal of Cuneiform Studies|المجلد=47|صفحات=1–14|سنة=1995|doi=10.2307/1359810|jstor=1359810}}</ref><ref name="William J. Burroughs 2008">{{استشهاد بكتاب|الأول1=William J.|الأخير1=Burroughs|عنوان=Climate Change in Prehistory: The end of the age of chaos|ناشر=Cambridge University Press|سنة=2008|isbn=978-0-521-07010-2}}</ref>

=== 차르 칼리 슈리(2230-2254)기원전<ref>{{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فى تاريخ الشرق الادنى القديم 2 العراق القديم ارض الدويلات و الامبراطوريات|مؤلف=ا.د.وفاء احمد السيد بدار|ناشر=مطبعه سلام|سنة=2023|طبعة=3|صفحة=149 , 147,146,145, 141|لغة=العربيه|مكان=مصر الاسكندريه}}</ref> ===
Char-Kali-Shri는 광대한 제국을 보존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그의 노력은 헛수고였습니다. 많은 먼 지방이 중앙에서 분리되었고, 그의 시대와 그 이후에는 동부 산맥으로 알려진 수많은 주민들이 Kutians가 이사했습니다. 수메르인들은 또한 고대 도시에서 독립을 얻을 수 있는 내륙의 기회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1년 후 샤르-칼리-쉬리가 죽은 후, 약한 왕들이 권력을 잡았고(기원전 2198-2195년) 그들의 통치 기간 동안 대부분의 지방은 분리되었고 우루크와 같은 일부 수메르 도시들은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왕들이 확정되었을 때에도 그는 자신의 문제에 대해 혼란스러워서 누가 왕인지, 왕이 아닌 사람들을 알기가 어려워졌다고 언급합니다.  마침내 쿠티인들이 산악지대에서 기어나와 국토의 중앙으로 이주해 아카드와 수메르 땅을 정복하고 도시들을 파괴하자 공포와 공포가 전국에 퍼져 결국 멸망하게 되었다. 아카드 왕국은 약 2세기 동안 통치한 지 약 1년 후(기원전 2159년)의 왕국입니다.<ref>الماجدي، نفس المصدر، ص 178</ref>

=== 세 명의 약한 왕 (2192-2154)기원전 ===

==== (이룰루, 두두, 초도롤) ====
이 세 왕은 아카드 제국의 마지막 숨결을 구성합니다. 그들의 쇠퇴는 38년 동안 계속되었고, 그 기간 동안 쿠티 부족은 아카드 도시들을 침공했고, 아카드 사람들의 지배를 받은 모든 도시와 민족은 분리되었습니다. Kutians가 국가를 점령했고 Akkad는 영구적으로 무너졌습니다.<ref name=":022">الماجدي، نفس المصدر، ص 179-180</ref><ref>{{استشهاد ويب|مسار=http://oracc.iaas.upenn.edu/epsd2/cbd/sux/A.html|عنوان=Sumerian Dictionary|موقع=oracc.iaas.upenn.edu|مسار أرشيف=https://web.archive.org/web/20200725011442/http://oracc.iaas.upenn.edu/epsd2/cbd/sux/A.html|تاريخ أرشيف=2020-07-25}}</ref><ref>{{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The Art Of Ancient Mesopotamia ( Art Ebook)|صفحة=53|مسار=https://archive.org/stream/theartofancientmesopotamiaartebook/The%20Art%20of%20ancient%20Mesopotamia%20%28Art%20Ebook%29#page/n65/mode/2up|لغة=en|مسار أرشيف=https://web.archive.org/web/20200726215024/https://archive.org/stream/theartofancientmesopotamiaartebook/The%20Art%20of%20ancient%20Mesopotamia%20(Art%20Ebook)#page/n65/mode/2up|تاريخ أرشيف=26 يوليو 2020}}</ref><ref>{{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The Cambridge Ancient History|تاريخ=1971|ناشر=Cambridge University Press|صفحة=998|مسار=https://books.google.com/books?id=KorxAAAAMAAJ|مسار أرشيف=https://web.archive.org/web/20200725020410/https://books.google.com/books?id=KorxAAAAMAAJ|تاريخ أرشيف=2020-07-25}}</ref>
[[File:The_Gutians_capturing_a_Babylonian_city.jp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The_Gutians_capturing_a_Babylonian_city.jpg|섬네일|아카드인들이 그들의 도시 밖에서 저항하고 있는 동안 구티안들은 바빌로니아 도시를 점령했습니다.]]

=== 아카드 왕조의 종말 ===
아카드 제국은 건국 후 180년 이내에 아마도 기원전 22세기에 멸망하여 우르 제3왕조까지 눈에 띄는 제국의 권위가 없는 "암흑 시대"로 이어졌습니다.<ref name="Zettler24">Zettler (2003), pp. 24–25. "Moreover, the Dynasty of Akkade's fall did not lead to social collapse, but the re-emergence of the normative political organization. The southern cities reasserted their independence, and if we know little about the period between the death of Sharkalisharri and the accession of Urnamma, it may be due more to accidents of discovery than because of widespread 'collapse.' The extensive French excavations at Tello produced relevant remains dating right through the period."</ref>

== 수메르 르네상스 ==
[[파일:Ancient ziggurat at Ali Air Base Iraq 2005.jpg|섬네일|여러 번 재건되고 확장된 우르의 지구라트는 우르 제3왕조에 의해 건립되었습니다.]]
[[파일:Utu-Khegal, Prince of the Summerian city of Erech, imploring victory against the Gutian king Tirikan.jpg|섬네일|수메르 도시 우루크의 왕자 우투헤칼이 구티 왕 티리간에게 승리를 기원하고 있다.]]

=== 오토 하이칼의 혁명 ===

===== 대신에 아카드의 우위는 자그로스 산맥의 구티안 침략자들에 의해 찬탈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 왕들은 불확실한 기간(왕 목록의 일부 사본에 따르면 124년, 다른 사본에 따르면 25년) 동안 메소포타미아를 통치했습니다. 문맹이고 유목민이었던 그들의 통치는 농업이나 기록 보관에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그들이 추방될 무렵 이 지역은 극심한 기근과 폭등하는 곡물 가격으로 인해 불구가 되었습니다. 그들의 마지막 왕인 티리건은 우루크의 우투헨갈에게 쫓겨남. =====

=== 우르 제3왕조 (기원전 2112년-기원전 2004년) ===
{{Main article|우르 제3왕조}}우투헨갈의 통치에 이어 우르남무(원래 장군)가 우르 제3왕조를 세웠습니다. 우르남무는 전투에서 라가쉬의 통치자를 격파하고 왕을 죽임으로써 전사-왕으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이 전투 이후 우르남무는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이라는 칭호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신수메르 제국에 대한 우르의 지배력은 유명한 우르남무 법전에 의해 강화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몇 세기 전 라가쉬의 우루카기나 법전 이후 메소포타미아에 대한 최초의 법전일 것입니다.

기원전 3천년의 마지막 세기에 우르의 왕들은 왕국 국경 주변에서 여러 차례 갈등을 벌인 것으로 믿어집니다. 이러한 갈등은 아카드 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집니다. 왕들이 군대를 어떻게 조직했는지에 대한 증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방어군이 왕국 중앙에 있었는지 아니면 왕국 밖에 있었는지 불분명합니다. 알려진 것은 왕조의 두 번째 통치자인 슐기가 어느 정도 확장과 정복을 달성했다는 것입니다. 그의 세 후계자들은 이러한 일을 계속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들의 정복은 빈도가 줄어들었습니다.<ref name="BL2">{{Cite journal|title=The Army of the Kings of Ur: The Textual Evidence|journal=Cuneiform Digital Library Journal|last=Lafont|first=Bertrand}}</ref>
[[파일:Ur III.svg|섬네일|250x250픽셀|우르 III 제국과 그 영향권을 보여주는 지도]]
우르 확장이 가장 절정에 이르렀을 때 그들은 아나톨리아 남동부(현대 터키)에서 페르시아 만의 이란 해안까지 영토를 차지했는데, 이는 왕조의 강력함을 입증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르 III 군대가 어떻게 보물을 탈취하고 많은 승리를 거둔 후 왕국으로 가져왔는지 설명하는 수백 개의 텍스트가 있습니다. 일부 문헌에서는 슐기 캠페인이 왕국에 가장 유익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우르의 왕과 사원은 주로 전쟁의 전리품으로 이익을 얻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ref name="BL">{{Cite journal|title=The Army of the Kings of Ur: The Textual Evidence|journal=Cuneiform Digital Library Journal|last=Lafont|first=Bertrand}}</ref>

=== 정치 조직 ===
우르 3세 왕이 통치하는 땅은 각각 총독(엔시라고 함)이 통치하는 여러 속주로 나누어졌습니다. 특정 소란스러운 지역에서는 군 사령관이 통치에 더 많은 권한을 가졌습니다.

각 지방에는 발라(bala)라고 불리는 지방세를 모두 수도로 보내는 재분배 센터가 있었습니다. 세금은 농작물부터 가축, 토지까지 다양한 형태로 납부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정부는 사원에 자금을 지원하고 궁핍한 사람들에게 식량을 배급하는 등 필요에 따라 물품을 배분할 것입니다.

=== 니푸르 시의 중요성 ===
니푸르시는 우르 제3왕조의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습니다. 니푸르는 메소포타미아의 종교 중심지로 여겨진다. 모든 신들의 군주인 엔릴의 신전이 있는 곳이었습니다. 이곳은 엔릴 신이 왕의 이름을 말하고 왕을 그의 존재로 부르고 있던 곳이었습니다. 이는 모든 왕이 권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당성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도시는 또한 도시 근처에서 발견된 일부 명판에 따르면 사람들이 자주 논쟁을 벌이는 곳으로 여겨집니다. 정치적으로 니푸르가 얼마나 중요한 도시인지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 도시는 왕조나 군사력으로서의 지위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Nippur가 왕에게 실질적인 정치적, 군사적 이점을 전혀 주지 않았다는 사실은 일부 사람들에게 그것이 실제로 정복되지 않았음을 시사합니다. 도시 자체는 "국가 컬트 센터"로 더 많이 간주되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보았기 때문에 도시를 정복하면 메소포타미아 통치자들이 용납할 수 없는 정치적 위험을 안겨줄 것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또한 도시가 성지로 여겨졌기 때문에는 지역의 다른 많은 도시를 멸망시킨 수많은 갈등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습니다.

=== 예술과 문학 ===
수메르어는 문화권을 지배했으며 법률, 행정, ​​경제 문서의 언어였으며, 아카드어 확산의 징후는 다른 곳에서도 볼 수 있었습니다. 이 시기에 생겨난 새로운 도시에는 사실상 모두 아카드식 이름이 주어졌습니다. 문화는 또한 다양한 유형의 예술 형식을 통해 번성했습니다.
[[파일:Ibbi-Sin enthroned.jpg|섬네일|우르 3왕조의 마지막 왕 이비신 왕(기원전 2028년경~2004년)이 즉위하고 여신과 함께 즉위함.]]
수메르어 문서는 우르 III 시대에 대량 생산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기간을 설명하는 '부흥' 또는 '르네상스'라는 단어는 고고학적 증거가 이전 쇠퇴기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길가메시 우르크 서사시가 이 시기에 고전적인 수메르 형식으로 기록되었다고 믿습니다. 우르 3왕조는 우르크의 초기 왕들과 친족관계를 주장함으로써 그들과 유대관계를 구축하려고 시도했습니다.

예를 들어, 우르 3세 왕들은 종종 길가메시의 신성한 부모인 닌순과 루갈반다를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아마도 서사시 영웅과의 비교를 불러일으키기 위함이었을 것입니다.

"우르남무의 죽음"으로 알려진 이 시기의 또 다른 텍스트에는 우르남무가 "그의 형제 길가메시"에게 선물을 쏟아붓는 지하 세계 장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우르의 몰락 III ===
[[파일:Lament for ur (cropped).JPG|섬네일|320x320픽셀|우르가 엘람인들에게 함락된 것을 기념하는 우르를 위한 애가.]]
신수메르인의 세력은 쇠퇴하고 있었습니다. 21세기에 이비신은 엘람으로 군사 작전을 시작했지만, 그 나라까지 침투하지는 못했습니다. 기원전 2004/1940년(각각 중기/단기 연대기)에 엘람인들은 수사 사람들과 동맹을 맺고 엘람인 시마시키 왕조의 왕인 킨다투가 이끄는 엘람인들이 우르를 포위할 수 있었고 우르를 약탈하고(초여름) 그들을 이끌었습니다. 입비신이 포로로 잡혀 우르 제3왕조가 멸망함. 이 승리 이후 엘람인들은 왕국을 멸망시키고 이후 21년 동안 군사 점령을 통해 통치했습니다.<ref>{{cite book|url=http://www.sanityquestpublishing.com/Chapter1.pdf|title=Abram|year=2007|publisher=Cary Cook|page=1}}</ref><ref name="TB">{{cite book|url=https://books.google.com/books?id=AwwNS0diXP4C&pg=PA221|title=The Routledge Handbook of the Peoples and Places of Ancient Western Asia: The Near East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fall of the Persian Empire|last1=Bryce|first1=Trevor|date=2009|publisher=Routledge|page=221|language=en|isbn=9781134159079}}</ref><ref name="Potts2015">{{cite book|url=https://books.google.com/books?id=WE62CgAAQBAJ&pg=PA133|title=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author=D. T. Potts|date=12 November 2015|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page=133|isbn=978-1-107-09469-7}}</ref>
[[파일:Sumerian Cylinder Seal of King Ur-Nammu.jpg|섬네일|기원전 2047년 우르 제3왕조의 창시자인 즉위 왕 우르남무가 원통형 인장에 새겨져 있습니다. 그의 이름은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세로로 표시됩니다. (𒌨𒀭𒇉)]]
[[파일:Cylinder seal of Shulgi.jpg|섬네일|슐기왕의 원통 봉인]]
[[파일:Plan of terrain AO5677 mp3h9127.jpg|섬네일|부품 표면 표시가 포함된 움마 시 부동산 계획. 우르 제3왕조]]

==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 ==
{{Main article|고대 바빌로니아}}{{multiple image
| title =
| image1 = Babylone 1.PNG
| total_width = 350
| caption1 =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의 지도
| image2 = Iraq physical map.svg
| caption2 = 현재 이라크 지도
| footer =
| direction =
}}
우르 제3왕조가 무너지고 엘람인들이 그 나라에서 철수한 후 여러 도시에 여러 국가가 형성되었는데, 하나는 이신에, 다른 하나는 라르사에, 세 번째는 바빌론에 세워졌습니다. 우루크, 에슈눈나, 앗시리아가 독립하여 마리라는 도시에 독립 왕조가 통치하게 되었고, 이들 국가 간 권력 독점을 둘러싸고 치열한 갈등이 약 100년 동안 지속되다가 1900년 바빌론 도시의 승리로 끝났다. 나머지 왕자들을 제거하고 그들의 도시를 중동 전체를 통치하고 왕국으로 알려진 통일 왕국에 합병한 여섯 번째 왕 함무라비 시대.

=== 함무라비 왕 ===
{{Main article|함무라비}}
[[File:F0182_Louvre_Code_Hammourabi_Bas-relief_Sb8_rwk.jp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F0182_Louvre_Code_Hammourabi_Bas-relief_Sb8_rwk.jpg|섬네일|298x298픽셀|샤마시(혹은 마르둑)로부터 왕실 휘장을 받는 것으로 묘사된 함무라비(서 있는 모습). 함무라비가 기도의 표시로 입을 막고 있는 모습<ref>{{citation|last=Roux|first=Georges|title=Ancient Iraq|date=27 August 1992|page=266|chapter=The Time of Confusion|chapter-url=https://books.google.com/books?id=klZX8B_RzzYC&pg=PA266|publisher=[[Penguin Books]]|isbn=9780141938257|author-link=Georges Roŭ}}</ref> (함무라비 법전 비석 상단의 부조).]]
{{multiple image
| title =
| image1 = Prologue Hammurabi Code Louvre AO10237.jpg
| total_width = 280
| caption1 = 점토판에 관한 법칙
| image2 = P1050763 Louvre code Hammurabi face rwk.JPG
| caption2 = 섬록암 비석에 관한 법칙
| footer =
| direction =
}}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의 여섯 번째 아모리 왕으로 기원전 1792년부터 1750년까지 통치했습니다. 그의 아버지 신 무발리트는 건강 악화로 인해 퇴위했습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도시 국가인 라르사, 에슈눈나, 마리를 정복했습니다. 그는 아시리아 왕 이스메다간 1세를 축출하고 그의 아들 무트아쉬쿠르에게 조공을 바치도록 강요하여 거의 모든 메소포타미아를 바빌론의 지배하에 두었습니다. 이로써 그는 나라를 통일할 수 있었다.

함무라비 법전은 역사상 가장 오래된 법률 중 하나이자 근동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문헌 중 하나이자 고대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유물 중 하나이며 바빌로니아 최초 왕조의 것입니다.<ref>{{cite book|title=Ancient Near Eastern Texts|last1=Coogan|first1=Michael D.|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pages=87–90}}</ref> 코드는 2.25미터(7피트 4½인치) 크기의 섬록암 비석에 설형 문자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꼭대기에는 태양신 샤마쉬로부터 왕권을 받는 바빌로니아 왕이 그려져 있습니다.

함무라비는 법전에 기록된 법을 제시하기 전에 "마르둑 신이 나에게 이 땅의 사람들이 적절한 행동을 하기 위해 올바른 길을 제공하라고 명령했을 때 나는 이 땅의 선언으로 진리와 정의를 확립했습니다. 국민복지를 높였습니다." 그런 다음 범죄에 대한 정당한 처벌에 관한 법률을 자세히 설명하고 백성이 준수해야 할 규칙을 제공합니다.<ref>Coogan, Michael D. ''Ancient Near Eastern 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pp. 87–90.</ref>

함무라비 왕 30년에 그는 림신 1세로부터 라르사를 정복하여 니푸르, 우르, 우루크, 이신 등 수익성이 좋은 도시 중심부를 장악했습니다. 함무라비는 남부 메소포타미아를 장악하고 바빌론을 자신의 제국의 중심으로 삼는 데 성공했기 때문에 바빌로니아 제1왕조의 가장 유명한 왕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 후 바빌론은 천년 넘게 메소포타미아를 지배하게 될 것입니다.<ref>{{cite book|title=Brotherhood of Kings|last1=Podany|first1=Amanda H.|date=2010|pages=65}}</ref>

=== 함무라비의 후계자 ===
함무라비의 뒤를 이은 왕들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거의 없습니다. Samsuiluna에서 Samsuditana까지의 왕은 통치 기간 동안 발생한 사건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Samsuiluna가 Rim-Sîn II를 물리치는 데 성공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빌론 정복 땅의 주요 부분을 잃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함무라비 통치 이후 남겨진 바빌로니아 영토의 핵심에 대한 실질적인 권위만 가지고 있었습니다. 삼수일루나를 계승한 왕들도 비슷한 혼란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ref>{{cite book|title=Ancient Near Eastern Cylinder Seals|last1=Moorey|first1=P.R.S|date=1978}}</ref>

바빌로니아 제1왕조는 제국이 영토와 돈을 잃고 큰 쇠퇴에 직면하면서 결국 멸망하게 되었습니다. 아나톨리아 밖으로 확장을 시도하던 히타이트의 공격은 결국 바빌론의 멸망으로 이어졌습니다. 카사이트 시대는 기원전 1570년부터 1154년까지 통치한 제1바빌로니아 왕조의 뒤를 잇는 시대입니다. 바빌론이 멸망할 때까지 카시트족은 이미 한 세기 반 동안 이 지역의 일부였으며 때로는 바빌론의 이익을 위해 때로는 반대하여 행동했습니다.<ref>{{cite book|title=Ancient Near Eastern Texts|last1=Coogan|first1=Micheal D.|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pages=87–90}}</ref><ref>van Koppen, Frans. "The Old to Middle Babylonian Transition: History and Chronology of the Mesopotamian Dark Age." Ägypten Und Levante / Egypt and the Levant, vol. 20, 2010, pp. 453–63</ref>

=== 천문학 ===
[[File:Cylinder_seal,ca._18th–17th_century_B.C._Babylonian.jpg|링크=https://en.wikipedia.org/wiki/File:Cylinder_seal,ca._18th%E2%80%9317th_century_B.C._Babylonian.jpg|섬네일|실린더 씰]]
태양은 고대 바빌로니아의 왕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샤마시는 함무라비 법전에 언급된 것처럼 태양, 정의, 점술의 신이었습니다. 본문에는 "하늘과 땅의 위대한 재판관이시며 모든 생물에게 정의로운 길을 제공하시는 샤마시 신, 내가 신뢰하는 주님이 그의 왕권을 뒤집기를 바랍니다."라고 적혀 있습니다.<ref>{{cite book|title=The Code of Hammurapi}}</ref> 샤마시는 함무라비에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졌으며, 샤마시가 신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처럼 땅에서도 정의의 법칙을 집행할 것이라는 개념을 표현했습니다.<ref>{{cite journal|title="I am the Sun of Babylon"; Solar Aspects of Royal Power in Old Babylonian Mesopotamia|last1=Charpin|first1=Dominique}}</ref>

무르실리스 1세(삼수디타나의 바빌론 통치 말기) 치하의 히타이트에 의한 바빌론의 몰락에 관한 텍스트는 정확한 바빌론 연대기에 중요한 쌍둥이 일식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한 쌍의 월식과 일식이 시마누(Sivan)월에 발생했습니다. 월식은 기원전 1659년 2월 9일에 일어났습니다. 오전 4시 43분에 시작해서 오전 6시 47분에 끝났다. 후자는 보이지 않아 기록을 만족하며, 이는 또한 달이 아직 일식 중임을 말해준다. 일식은 기원전 1659년 2월 23일에 일어났습니다. 오전 10시 26분에 시작해서 오전 11시 45분에 최대치, 오후 1시 4분에 끝났습니다.<ref name="huber">{{Cite journal|title=Astronomical dating of Babylon I and Ur III|journal=Monographic Journals of the Near East|last=Huber|first=Peter|year=1982|pages=41|bibcode=1982adbi.book.....H}}</ref>

암미사두카(Ammisaduqa)의 비너스 서판(즉, 점토판의 여러 고대 버전)도 잘 알려져 있으며 이에 관한 여러 책이 출판되었습니다. 해당 이벤트에 대해 여러 날짜가 제공되었지만 많은 오래된 자료집의 날짜가 오래되고 잘못된 것 같습니다. 더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금성 행성에 대한 상세한 관찰의 21년 기간은 이 왕의 통치와 일치할 수도 있고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의 이름은 언급되지 않고 오직 황금 왕좌의 해만 언급되기 때문입니다.<ref>{{Cite book|title=Babylonian Planetary Omens The Venus, the Tablet of Ammisaduqa|last=Reiner|first=Erica|author2=D. Pingree}}</ref>

거의 100년 전에 인쇄된 일부 출처를 포함하여 일부 출처에서는 원본 텍스트가 달에 의해 금성이 가려지는 것을 언급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해석일 수 있습니다.<ref>{{Cite book|title=Babylonian Planetary Omens The Venus, the Tablet of Ammisaduqa|last=Reiner|first=Erica|author2=D. Pingree}}</ref> 현대의 계산은 행성 관측의 통계적 확률에 근거하여 바빌론이 멸망한 해가 기원전 1659년임을 뒷받침합니다. 현재 받아들여지고 있는 중기 연대기는 천문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너무 낮은 수준이다.<ref>{{Cite book|title=Exploring Ancient Skies: An Encyclopedic Survey of Archaeoastronomy|last=Kelley|first=David H.|author2=E. F. Milone|year=2004|publisher=Springer|location=New York|isbn=0-387-95310-8|author3=Anthony F. Aveni}}</ref>

== 고대 아시리아 제국 ==
{{Main article|고대 아시리아}}
[[파일:Samsi Addu.PNG|섬네일|255x255픽셀|기원전 1721년 샴시아다드 1세가 사망할 당시 메소포타미아에서 아시리아 제국의 대략적인 영토를 보여주는 지도.]]

=== 푸주르-아슈르 1세 왕조 ===
푸주르-아슈르 1세(기원전 2025년경)는 군사 쿠데타로 키키아를 타도하고 아모리 족의 샴시아다드 1세에 의해 타도될 때까지 8세대(또는 216년) 동안 지속되는 아시리아 왕조를 세운 것으로 여겨집니다. 샬렘 아키(약 기원전 2025년 - 기원전 1995년)<ref name="Brinkman">{{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The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الفصل=Assyria|مؤلف=J. A. Brinkman|محرر=Bruce Manning Metzger, Michael David Coogan|ناشر=Oxford University Press|سنة=2001|صفحة=63}}</ref> 푸주르-아슈르 1세의 아들이자 후계자<ref name="Grayson2002">{{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Assyrian Rulers. Volume1: 1114 – 859 BC|مؤلف=Albert Kirk Grayson|ناشر=|سنة=2002|صفحات=14}}</ref> 그는 동시대 비문에서 입증된 최초의 독립 통치자입니다. 독일 고고학자 월터 안드레의 감독하에 독일이 앗시리아를 발굴하는 동안 발견된 설화석고 조각에 고대 앗시리아어로 쓰여진 고대의 이상한 문자의 조각에서, 이것은 그의 동시대의 비문 중 다음과 같이 기록된 유일한 예입니다. 앗시리아 신은 그에게 성전을 지으라고 요청했고, 그에게 '맥주통과 지역'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신전 지역'에 저장고가 세워졌습니다.<ref name="Grayson1972">{{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Assyrian Royal Inscriptions, Volume 1|مؤلف=Albert Kirk Grayson|ناشر=Otto Harrassowitz|سنة=1972|صفحات=6–8}}</ref> 그는 신흥 아시리아 상인 회사가 은과 교환하여 아시리아에서 직물과 주석을 거래하기 위해 아나톨리아로 진출하고 있던 기간 동안 통치했습니다.<ref name="Brinkman2">{{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The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الفصل=Assyria|مؤلف=J. A. Brinkman|محرر=Bruce Manning Metzger, Michael David Coogan|ناشر=Oxford University Press|سنة=2001|صفحة=63}}</ref> 샬름 아키와 그의 후계자들은 엔시뿐만 아니라 Ashur의 부섭정인 "아시-아크-아슈르" 라는 칭호를 지녔습니다.<ref name="Cifola">{{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Analysis of variants in the Assyrian royal titulary from the origins to Tiglath-Pileser III|مؤلف=Barbara Cifola|ناشر=Istituto universitario orientale|سنة=1995|صفحة=8}}</ref>

일루 슈마 (기원전 1945년 - 기원전 1906년),<ref name="Brinkman3">{{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The Oxford companion to the Bible|الفصل=Assyria|مؤلف=J. A. Brinkman|محرر=Bruce Manning Metzger, Michael David Coogan|ناشر=Oxford University Press|سنة=2001|صفحة=63}}</ref> 샬름 아키의 아들이자 후계자<ref name="Grayson20022">{{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Assyrian Rulers. Volume1: 1114 – 859 BC|مؤلف=Albert Kirk Grayson|ناشر=|سنة=2002|صفحات=14}}</ref>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아시리아의 왕좌에 올랐습니다. 이는 그가 우르(Ur) 시, 니푸르(Nippur) 시, 데이르(Deir) 시와 같은 수메르 도시 국가의 아카드인들을 위해 “구리를 세척”하고 “자유를 확립”했다고 주장하는 그의 책(여러 사본으로 존재)에서 알려져 있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사실을 그가 아모리인과 엘람인의 침략으로부터 동료 메소포타미아인을 구하기 위해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 군사 작전을 수행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받아들였습니다. 그의 건설 활동에는 성벽인 고대 이슈타르 신전을 건설하고, 도시를 토지로 나누고, 샘의 흐름을 성문 "Oshum"과 "Wirtam"으로 전환하는 것이 포함되었습니다.

에리슘 1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권력을 잡았으며, 앗시리아가 확장되고 경제가 발전하는 동안 오랜 기간 통치했으며, 사원을 비롯한 많은 건축 공사를 수행했습니다. 그 후 그는 도시의 요새를 강화하고 아시리아 식민지를 보존한 그의 형제 이코눔(Ikonum)에 의해 아시리아의 왕위를 계승했습니다. 사이에 통치했고, 그 후 그의 아들 사르곤 1세(기원전 1861년 – 기원전 1822년). 사르곤은 아시리아를 재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왕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습니다.<ref>{{استشهاد بكتاب|الأخير=Leick|الأول=Gwendolyn|عنوان=Who's Who in the Ancient Near East|سنة=2001|ناشر=Routledge|isbn=978-0-415-13231-2|صفحة=139}}</ref><ref name="Bromiley">{{استشهاد بكتاب|الأخير=Bromiley|الأول=Geoffrey|عنوان=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ناشر=William B Eerdmans|isbn=978-0-8028-3784-4|مسار=https://books.google.com/books?id=6OJvO2jMCr8C&pg=PA337&dq=%22sargon+of+akkad%22+%22sargon+I%22+confused&hl=en&ei=wE1ATf-ZOpeShAef18SxCA&sa=X&oi=book_result&ct=result&resnum=1&ved=0CC8Q6AEwAA#v=onepage&q=%22sargon%20of%20akkad%22%20%22sargon%20I%22%20confused&f=false|تاريخ=31 Dec 1996|طبعة=Revised|مسار أرشيف=https://web.archive.org/web/20171018032326/https://books.google.com/books?id=6OJvO2jMCr8C|تاريخ أرشيف=18 أكتوبر 2017}}</ref> 그런 다음 푸주르 아슈르 2세가 그의 아버지 사르곤 1세의 뒤를 이어 기원전 1822년부터 기원전 1814년까지 그의 아들 나람신(기원전 1814년부터 기원전 1760년)<ref>مختصر تاريخ العراق (تاريخ العراق القديم) 1-6 ج3 ، ص 51</ref>이 계승할 때까지 통치했습니다. 그가 물려받은 도시 국가인 아시리아는 고대 아시리아 제국의 활동이 한창일 때 무역 네트워크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칸쉬의 무역 중심지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파괴되었지만 무역은 다른 곳에서도 계속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ref name="oal">{{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The Old Assyrian List of Year Eponyns from Karum Kanish and its Chronological Implications|مؤلف=Klaas R. Veenhof|ناشر=Turkish History Society|سنة=2003}}</ref> 그 후 그는 그의 아들 에리슘 2세(Erishum II)가 계승했는데, 그는 기원전 1760년부터 기원전 1754년까지 통치하고 지도자 샴시-아다드 1세를 전복시켰습니다.<ref name="gelb">{{استشهاد بدورية محكمة|عنوان=Two Assyrian King Lists|مسار=https://archive.org/details/sim_journal-of-near-eastern-studies_1954-10_13_4/page/n5|مؤلف=I. J. Gelb|صحيفة=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المجلد=13|العدد=4|سنة=1954|صفحات=212–213}}</ref>

바빌로니아 왕 함무라비(기원전 1696년~기원전 1654년)는 마리(Mari), 라르사(Larsa), 에쉬눈나(Eshnunna)를 정복하고 결국 아시리아 왕국 무트아쉬쿠르(Mut-ashkur)를 정복했습니다.

=== 아다시 가족 ===
단명한 바빌로니아 제국은 함무라비의 죽음 이후 붕괴되기 시작했고, 바빌론은 함무라비의 후계자 삼수일루나(기원전 1750년~기원전 1712년) 치하에서 아시리아에 대한 통제권을 잃었습니다. 내전이 뒤따른 후, Asinum(앗시리아의 마지막 아모리인 통치자)은 BC 1732년경에 Asinum을 바빌론의 가신으로 여겼던 Bozur-Sin이라는 강력한 원주민 아시리아 중위에 의해 폐위되었습니다. 그 후 사건은 격동하기 시작했고 다섯 왕 사이에 아시리아 왕좌를 놓고 경쟁이 치열해졌으며, 이들 왕은 모두 짧은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통치했습니다.

마침내 기원전 1726년에 아다시(기원전 1726년~기원전 1701년)라는 왕이 등장하여 시민 불안을 진정시키고 아시리아의 상황을 안정시킬 수 있었습니다. 이는 바벨론 제국의 소멸과 함께 이루어졌습니다.

아다시(Adasi)는 아시리아 왕 목록에 의해 아시리아 왕위를 찬탈한 왕으로 확인된 일곱 왕 중 마지막 왕인 아시리아 왕으로, 바빌론을 통치하던 아모리인들이 아시리아에서 추방된 후 기원전 1718년부터 기원전 1699년까지 통치했습니다.  그는 아시리아를 안정시키고 내전으로부터 해방시킨 공로로 아시리아 왕 목록에 기록되어 있습니다.<ref name="جورج رو - العراق القديم">جورج رو - العراق القديم</ref> 아시리아 아다시아 왕조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ref>{{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Mesopotamia: The Old Assyrian Period|مسار=https://archive.org/details/mesopotamiaoldas05veen|مؤلف=K. R. Veenhof|ناشر=Vandenhoeck & Ruprecht|سنة=2008|صفحة=[https://archive.org/details/mesopotamiaoldas05veen/page/n11 24]}}</ref>
[[ملف:Carte_du_Mitanni.png|링크=https://ar.wikipedia.org/wiki/%D9%85%D9%84%D9%81:Carte_du_Mitanni.png|섬네일|256x256픽셀|기원전 1430년 미탄니 제국 영토 내의 도시 국가 아시리아(진한 보라색)와 미탄니 확장 지역(연한 보라색)을 보여주는 고대 근동 지도.]]
아시리아 왕국은 제국으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안전하게 유지되었으며, 아시리아 왕 나딘아히 1세(기원전 1430년~기원전 1415년)가 통치할 때까지 많은 왕들의 통치를 받았습니다. 미탄니 왕국이 아시리아를 침공하고 미탄니의 이익에 반하여 이집트 왕국과 동맹을 맺는 것을 막기 위해 수도를 약탈한 곳입니다.

15년간의 통치 끝에 엔릴 나시르 2세(Enlil Nasir II)는 그의 형제인 앗시리아 나딘 아히(Nadin Ahi)에 대항하여 쿠데타를 일으켜 왕국의 권력을 장악했고, 이어서 앗시리아에서 도시화를 발전시키고 성벽을 쌓은 왕과 통치자들이 뒤따랐습니다. 아시리아-나딘-아키 2세(기원전 1387년~기원전 1378년) 왕은 미탄 왕국과 히타이트 왕국에 도전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그의 뒤를 이어 중앙 아시리아 제국의 창시 황제이자 첫 번째 황제인 그의 형제 에리바아다드 1세가 뒤를 이었습니다.<ref name="britannica">{{استشهاد ويب|عنوان=Ashur-nadin-ahhe II (king of Assyria)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مسار=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Ashur-nadin-ahhe-II|ناشر=Britannica.com|مسار أرشيف=https://web.archive.org/web/20141211021925/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38417/Ashur-nadin-ahhe-II|تاريخ أرشيف=11 ديسمبر 2014}}</ref><ref name="pna">{{استشهاد بكتاب|عنوان=The Prosopography of the Neo-Assyrian Empire, Volume 1, Part I: A|الفصل=Aššur-nērārī II|مؤلف=A. Fuchs, K. Radner|محرر=K. Radner|ناشر=The Neo-Assyrian Text Corpus Project|سنة=1998|صفحة=208}}</ref><ref>{{استشهاد بدورية محكمة|عنوان=Two Assyrian King Lists|مؤلف=I. J.Gelb|صحيفة=Journal of Near Eastern Studies|المجلد=XIII|العدد=4|سنة=1954|صفحة=217|doi=10.1086/371224}}</ref>

== 오스만 제국 및 맘루크 왕조 ==

== 왕국 ==

== 시대 ==

== 통치 ==

== 칼리파국 ==


== 오스만 제국 및 맘루크 왕조 ==
== 오스만 제국 및 맘루크 왕조 ==

2023년 9월 24일 (일) 05:05 판

이라크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을 따라 위치한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가장 동쪽에 위치한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영토와 대부분 일치하는 서아시아의 국가이다. 현재의 이라크 국경은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 오스만 제국이 해체되고 분할된 이후 수립되었으며, 옛 빌라예트인 바그다드, 바스라, 모술은 영국 통치하에 놓였다. 1921년부터 1932년까지 영국의 위임통치령으로 존재했던 이라크 왕국은 1920년 영국의 지배에 대항한 이라크의 반란 실패 이후 창설되었으며 1922년 영국-이라크 조약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수메르는 신석기 시대인 기원전 6,000년에서 5,000년 사이에 생겨난 고대 수메르 땅으로, 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동안 메소포타미아 하부와 고대 근동의 여러 지역을 지배했던 지역 통치 왕조들의 연속인 아카드 제국, 신수메르 제국, 바빌로니아, 신아시리아 제국,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역사적인 중심지이기도 하다.[1]

고대 이라크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학, 문학, 과학, 수학, 법학, 철학, 문명의 요람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 자치의 시대는 기원전 539년까지 지속되었고, 메소포타미아의 대부분은 자신을 "바빌론의 왕"이라고 선언한 키루스 2세 보졸그가 이끄는 이웃한 아케메네스 제국에 의해 정복되었다. 바빌로니아 문명의 명목상 중심이었던 동명의 고대 도시는 아케메네스 4개의 수도 중 가장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

그 후 700년 동안, 현대 이라크를 형성하는 지역은 셀레우코스 제국, 파르티아 제국, 로마 제국의 지배하에 놓였고, 셀레우코스와 파르티아는 각각 셀레우키아크테시폰과 함께 새로운 제국 수도를 세웠다. 3세기경, 이 지역이 다시 페르시아(사산인)의 지배하에 놓이자, 남부 메소포타미아(오늘날의 예멘인 대부분)에서 온 유목민 아랍 부족들이 이주하여 정착하기 시작했고, 300년경 사산족과 동맹을 맺은 라흐미드 왕국이 탄생했다.[2] 사산 제국은 결국 7세기에 라시둔 칼리파국에 의해 정복되었고, 이라크는 636년 까디시야 전투 이후 이슬람의 지배하에 놓였다.[3] 쿠파는 그 직후 이전의 라흐미드 수도인 알히라와 가까운 곳에 세워졌고, 656년부터 661년 우마이야가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라시둔 왕조의 본거지가 되었다. 그 후 거의 1세기 동안, 우마이야 칼리파국다마스쿠스를 행정 수도로 사용하였다. 750년 아바스 칼리파국의 부흥과 함께, 이라크는 750년부터 752년까지 쿠파에서 칼리프 통치, 그 다음 10년 동안 안바르에서, 그리고 762년 건국 후 바그다드에서 다시 한번 칼리파국 통치 중심지가 되었다. 바그다드는 아바스 칼리파국의 수도로 존속할 예정이었고, 그 기간 동안 오늘날 이슬람 황금기라고 알려진 세계 문화 및 지적 중심지가 되었다. 9세기 바그다드의 급속한 성장과 번영은 10세기 부와이흐 왕조셀주크 왕조 침공으로 침체기를 거쳤지만, 1258년 몽골의 침공까지 중심적인 중요성으로 남아 있었다. 그 후, 이라크는 투르코-몽골 일카나테의 주가 되었고 중요성이 떨어졌다. 일 칸국의 붕괴 후, 이라크는 16세기에 오스만 제국에 흡수될 때까지 잘라이르 술탄국카라 코윤루에 의해 통치되었고, 간헐적으로 이란사파비 왕조맘루크 왕조의 지배하에 놓였다.

오스만 제국의 통치는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끝났으며, 그 후 대영 제국은 명목상 파이살 1세가 이끄는 자치적인 하심가와 함께 영국 위임통치령 메소포타미아를 통치했다. 이라크 왕국은 결국 1932년 영국-이라크 조약의 조건에 따라 완전한 독립을 인정받았다. 최고 위원 프랜시스 험프리스와 이라크 총리 누리 알사이드가 2년 전에 서명했다. 1958년 쿠데타가 일어나면서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사담 후세인은 1968년부터 2003년까지 이란-이라크 전쟁걸프 전쟁을 통치했다. 사담 후세인은 2003년 이라크 침공 이후 축출되었다. 이후 미국이 이라크를 점령한 이후, 이라크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내전으로 분열되었고, 2011년 상황은 악화되었다. 2015년까지 이라크는 사실상 분할되었고, 중부와 남부 지역은 정부가, 북서부는 쿠르드 자치 정부가, 서부 지역은 이슬람 국가(IS)가 통제했다. IS는 2017년 이라크에서 추방됐지만 이라크와 시리아 국경이 긴 탓에 대부분 서북부 농촌 지역에서 저강도 ISIL 반란이 계속되고 있다.[4]

선사 시대

샤니다르 동굴 안에서는 약 65,000년에서 35,000년 전의 성인 8명과 네안데르탈인 2명의 유해가 발견되었다.[5][6]

1957년부터 1961년까지 랄프 솔레키와 컬럼비아 대학교 연구진이 샤니다르 동굴을 발굴했고, 다양한 나이와 보존 상태, 완전성의 9개의 네안데르탈인 유골이 기원전 60,000년에서 80,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최근 멜린다 A. 제더에 의해 스미스소니언 연구소에서 발굴된 시체들을 조사하던 중 10번째 개체가 발견되었다. 이 유골은 네안데르탈인이 장례식을 치렀고, 죽은 사람을 꽃과 함께 묻었으며, 그들이 부상자와 노인을 돌봤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였다.

메소포타미아는 기원전 10,000년 경부터 신석기 혁명의 초기 발전지이다. 그것은 "바퀴의 발명, 최초의 곡물 작물의 심기, 필기체의 개발, 수학, 천문학, 농업을 포함한 인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발전의 일부에 영감을 주었다"고 확인되었다.[7]

수메르 문명

메소포타미아(이라크)의 수메르 문명은 세계 역사상 최초의 문명으로 간주됩니다. 기원전 6천년부터 기원전 2천년까지 이어집니다. 수메르인들은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 정착하여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자가 담긴 정착촌과 도시 도시를 건설했습니다.

우루크 시대 (기원전 4000년~3100년)

이 기간의 이름은 메소포타미아에서 도시 지역이 나타나기 시작한 수메르 도시 우루크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메소포타미아 남부 지역은 우루크 문명의 문화적 보물로, 주요 기념물과 국가기관의 발전과 함께 나타난 도시사회의 가장 중요한 흔적을 담고 있어 당시 문화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4천년 후반.

우루크 왕-사제
왕 겸 제사장과 그의 수행자가 신성한 무리를 먹이고 있습니다.우르크 시대, c.기원전 3200

우루크 시대의 수메르 도시들은 아마도 신권정치적이었을 것이며, 남성과 여성을 모두 포함하는 장로 회의의 지원을 받는 사제 겸 왕(엔시)이 이끄는 도시였을 가능성이 큽니다.[8] 후기 수메르 판테온은 이러한 정치적 구조를 모델로 삼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우루크는 세계에서 가장 도시화된 도시가 되었으며, 처음으로 인구가 50,000명을 넘었습니다.

고대 수메르 왕 목록에는 이 시대의 여러 주요 도시의 첫 번째 왕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목록의 첫 번째 이름 그룹은 대홍수 이전에 통치했다고 알려진 왕들의 이름입니다.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세계사상 최초의 왕으로 꼽히는 올룰림(alulim)왕이다.[9]

인류 역사상 최초의 문자 체계가 등장한 곳도 바로 이 지역이었습니다. 이는 선사 시대와 사후 시대를 구분하는 선을 긋는 발명품입니다. 그 문화는 당시 근동의 나머지 지역에 영향을 미쳤습니다.[10][11]

선사시대와 역사의 정점에 있는 우루크 시대는 여러 면에서 '혁명적'이고 기초적인 시대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그것이 낳은 많은 혁신은 메소포타미아의 역사와 실제로 세계의 역사에 전환점이 되었습니다.[12]

젬데트 나스르 시대 (기원전 3100년~2900년)

젬데트 나스르 시대의 유물인 챔피언과 황소가 담긴 컵

기원전 3100년경에는 농업에 종사하는 농민의 수가 크게 늘어나 도심이 성지가 되었으며, 이 시기는 기원전 2900년경에 끝났다. 젬데트 나스르와 같은 유적지에서 발굴된 중앙 건물, 행정 설형 문자판, 원통형 봉인 등을 보면 이 시기 정착촌이 고도로 조직화되어 있었고 중앙 행정부가 수공예 산업부터 식량 배급에 이르기까지 경제의 모든 측면을 규제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13]

이 시기에 발명된 육십진법은 나중에 수메르인으로부터 바빌로니아인에 의해 전수되었으며, 현대에도 이 체계는 각도 측정, 지리좌표, 전자항법, 시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4][15]

초기 왕조 시대

그러다가 기원전 2800년경에 이라크에서 왕조의 여명기가 시작되었습니다. 그것은 6세기 동안 지속되었는데, 이를 고대 수메르 시대 또는 도시 국가 시대라고도 하며, 이 시대는 세 시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키시 왕조

다른 전설적인 출처에서 알려진 목록에 있는 최초의 왕조 이름은 에타나(Etana)로, "하늘로 올라가 모든 외국을 통합한 목자"라고 불립니다. 그는 대략 기원전 3000년에 살았던 것으로 루 에 의해 추정되었습니다.[16]

고고학적 비문을 통해 역사적 존재가 독립적으로 입증된 목록에 있는 최초의 군주는 키시의 엔메바라게시(기원전 2600년경)로, 엘람을 물리치고 니푸르에 엔릴 신전을 세웠다고 전해진다. 엔메바라게시의 후계자인 아가는 그 도시의 다섯 번째 왕인 우루크의 길가메시와 싸웠다고 전해진다. 이때부터 한동안 우루크는 수메르에서 일종의 패권을 쥐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우루크 제1왕조

챙이 있는 모자와 긴 코트를 입은 "왕-사제"가 여신 이난나의 무리에게 먹이를 주는 모습을 보여주는 우루크의 원통 인장 인상. 두 마리의 숫양으로 상징되며 우르크 꽃병처럼 갈대 묶음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후기 우루크 시대, 기원전 3300~3000년..[17][18]

메시키앙가셔는 우루크의 첫 번째 왕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 뒤를[19]가 따랐습니다. 서사시 엔메르카르와 아라타의 영주[20]는 수메르 강 상류의 산이 많고 광물이 풍부한 나라인 아라타(Aratta)로 강을 건너 항해한 것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 뒤를 이어 단편적인 전설로도 알려진 루갈반다와 어부 두무지드가 뒤를 이었습니다.

이 왕조의 가장 유명한 군주는 길가메시 서사시의 영웅인 두무지드의 후계자 길가메시였으며, ​​여기서 그는 루갈반다의 아들이라고 불립니다. 이 문서의 고대 단편 사본은 아나톨리아의 하투사스, 이스라엘의 므깃도, 이집트의 텔 엘 아마르나와 같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우르 제1왕조

기원전 26세기 우르 제1왕조의 통치자 메스칼람두그의 황금 투구.

이 왕조는 기원전 26세기에 시작되었습니다.[21] 메스칼람두그(Meskalamdug)는 고고학적으로 기록된 최초의 우르 도시의 왕(lu=man, gal=big의 Lugal)입니다. 그는 그의 아들 Akalamdug가 계승했고, Akalamdug는 그의 아들 Mesh-Ane-pada가 계승했습니다. 메시-아네-파다(Mesh-Ane-pada)는 왕명부에 오른 최초의 우르 왕으로, 우르크의 루갈킬두를 물리쳤다고 합니다. 그는 또한 키쉬를 복종시킨 후 자신을 "키쉬의 왕"이라는 칭호를 취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칭호는 이후 한동안 저명한 왕조의 많은 왕들에 의해 사용되었습니다. Kish의 Mesilim 왕은 Lagash와 Adab의 비문에서 그가 그 도시에 사원을 세웠으며 그곳에서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기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또한 Lagash의 일부 초기 기념물에서 Lugal-sha-engur, Lagash의 ensi(대제사장 또는 총독)와 그들의 주요 라이벌인 이웃 마을 Umma의 엔시 사이의 국경 분쟁을 중재한 것으로 언급되어 있습니다. 우르의 메산네파다 통치 전, 도중, 후에 메실림의 위치는 불확실하다. 비문에 다른 동시 이름이 없고 왕 목록에 그가 없기 때문이다.

아완 왕조

기원전 2500년경 라가쉬의 왕 우르난셰(Ur-Nanshe)의 수메르 부조.

이 왕조는 기원전 2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엘람 왕조도 명확하게 언급되는 시기와 거의 같은 시기입니다.[22]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수메르의 동쪽 이웃인 엘람(Elam)은 아완(Awan) 시를 기반으로 짧은 기간 동안 수메르의 왕권을 유지했습니다.

우르 제2왕조

엔샤쿠샨나는 기원전 3000년 후반에 우루크의 왕으로 수메르 왕 목록에 이름이 올라 있으며, 그의 통치 기간은 60년으로 나와 있습니다. 그는 우루크에서 Lugal-kinishe-dudu에 의해 계승되었지만 패권은 잠시 Lagash의 Eannatum에게 넘어간 것 같습니다.

아다브 제국

이 기간 이후, 메소포타미아 지역은 아다브 출신의 수메르 정복자 루갈-아네-문두의 지배를 받아 우루크, 우르, 라가쉬를 통치하게 된 것 같습니다. 비문에 따르면 그는 아라비아 만에서 지중해까지 그리고 엘람을 포함한 자그로스 산맥까지 통치했습니다.[23] 그러나 그의 제국은 그의 죽음으로 무너졌다. 왕 목록은 상부 메소포타미아의 마리가 헤게모니를 차지할 다음 도시였음을 나타냅니다.

악샤크 왕조

Akshak 역시 Puzur-Nirah, Ishu-Il 및 Ishu-Il의 아들 Shu-Suen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통치자들과 함께 독립을 달성한 후 Kish의 제4 왕조에서 통치자들에게 패배했습니다.

라가쉬 제1왕조

이 왕조의 역사는 기원전 25세기이다. 엔헤갈은 우루크의 속국인 라가쉬의 최초의 통치자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의 후계자 Lugal-sha-engur는 마찬가지로 Mesilim의 지류였습니다. 우르의 메산네파다(Mesannepada)의 헤게모니에 이어 우르난셰(Ur-Nanshe)는 루갈샤엔구르(Lugal-sha-engur)의 뒤를 이어 라가쉬(Lagash)의 새로운 대제사장이 되었고 독립을 달성하여 스스로 왕이 되었습니다. 그는 우르를 물리치고 움마의 왕 파빌갈투크를 사로잡았습니다. 그가 닌기르수 사원에 부착한 건물의 폐허에서 왕과 그의 아들들의 테라코타 기초 부조가 발견되었으며, 이집트 작품을 연상시키는 오닉스 판과 오닉스로 만든 사자 머리도 발견되었습니다.[24] 한 비문에는 딜문(바레인)의 배들이 그에게 외국 땅에서 조공으로 나무를 가져왔다고 적혀 있습니다. 그의 아들 Akurgal이 계승했습니다.[24]

Ur-Nanshe의 손자 Eannatum은 Uruk(Enshakushana가 통치함), Ur, Nippur, Akshak 및 Larsa의 도시와 함께 수메르 지역 전체의 주인이 되었습니다. 그는 또한 Kish 왕국을 합병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죽음 이후 독립을 회복했다.[24] 움마는 공물이 되었습니다. 일정량의 곡물이 그 안에 있는 각 사람에게 부과되었으며, 그 곡물은 여신 니나와 신 닌기르수의 금고에 넣어져야 했습니다.[24] Eannatum의 캠페인은 수메르의 경계를 넘어 확장되었으며 Elam의 일부를 점령하고 페르시아만의 Az 도시를 점령하고 Mari까지 조공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그가 정복한 많은 영역에서는 종종 반란이 일어났습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Lagash와 다른 곳에서는 사원과 궁전이 수리되거나 세워졌습니다. 아마도 나중에 니니베(Niniveh)라는 이름을 갖게 된 니나(cit) 마을이 재건되었고 운하와 저수지가 발굴되었습니다. Eannatum은 그의 형제 En-anna-tum I에 의해 계승되었습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Umma는 Lagash를 성공적으로 공격하지 못한 Ur-Lumma 아래에서 다시 한번 독립을 주장했습니다. Ur-Lumma는 Lagash를 공격 한 사제 왕 Illi로 대체되었습니다.[24]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Entemena는 Lagash의 명성을 회복했습니다. Umma의 Illi는 그의 동맹인 Lugal-kinishe-dudu 또는 Enshakushana의 후계자이자 왕 목록에 있는 Uruk의 Lugal-ure의 도움으로 정복되었습니다. Lugal-kinishe-dudu는 Kish와 Ur도 통치한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당시 저명한 인물이었던 것 같습니다. 엔테메나가 그의 신에게 바친 은병은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있습니다.[24] 목 주위에는 산양과 사슴을 잡아먹는 사자의 프리즈가 예술적 기교로 새겨져 있고, 구형 부분에는 라가쉬(Lagash)의 독수리 문장이 장식되어 있습니다. 꽃병은 금세공인의 기술이 이미 달성한 높은 수준의 탁월함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24] Entemena가 바친 방해석 꽃병이 Nippur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엔테메나 이후, 일련의 약하고 부패한 사제 왕들이 라가쉬를 위해 증명되었습니다. 이들 중 마지막 우루카기나(Urukagina)는 사법, 사회, 경제 개혁으로 유명했으며, 아마도 존재했던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법전일 것입니다.[24]

우루크 제국

우루카기나(BC 2359~2335년경)는 무너졌고 그의 도시 라가시는 움마의 대제사장 루갈자게시에게 점령당했다. Lugal-zage-si는 또한 Uruk와 Ur을 점령하고 Uruk를 수도로 삼았습니다. 니푸르의 엔릴에게 바친 수백 개의 돌 꽃병에 새겨진 긴 비문에서 그는 자신의 왕국이 "하부 바다(페르시아 만)에서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를 따라 상해까지" 또는 지중해까지 확장되었다고 자랑합니다.[24] 그의 제국은 아카드의 사르곤에 의해 무너졌다.

아카드 제국

기원전 2350년경 아카드의 지도자인 아카드의 사르곤(Sargon of Akkad)의 지도하에 아카드인들에게 권력이 이양되었습니다. 사르곤은 수메르를 통일하고 이라크의 모든 도시에 대한 주권을 행사하고 아카드 시를 그의 왕국의 수도로 만들 수 있었습니다. 그는 바빌론, 북부 메소포타미아, 엘람, 시리아, 팔레스타인 및 아나톨리아 일부 지역에 영향력을 확장했으며, 그의 국가는 아라비아 만과 아와즈까지 확장되어 전 지역이 그의 통치를 받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역사상 최초로 알려진 제국이 설립되었습니다. 캐러밴 루트도 편성되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라크 중부의 수도인 아카드 시와 아나톨리아의 구리 광산을 연결하는 루트였으며, 구리는 군사 도구와 장비 제조에 중요했고, 아카드어가 수메르어를 대체했습니다.[25][26]

사르곤 (기원전 2371년-2316년)

사르곤은 56년 동안 통치하면서 백성에게 번영을 가져오고, 도처에 안전을 확립하고, 지식, 과학, 예술, 글쓰기를 전파했습니다. 설형문자와 아카드어로 쓰여진 점토판은 아나톨리아와 엘람의 먼 식민지에서 발견되었습니다. 그의 시대에는 미술이 진흥되었습니다. 이라크 박물관에는 니네베에서 발견된 실물 크기의 청동상의 머리가 있습니다. 아마도 이는 사르곤 자신을 표현한 것이며, 그의 손자 나람신을 표현한 것일 수도 있으며, 가장 귀중한 작품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약 1년(기원전 2284년) 사르곤이 죽은 뒤 그의 두 아들 리무쉬와 만슈투수가 뒤를 이었고, 그들 각자는 그의 손자 나람신이 권력을 잡을 때까지 광대한 제국의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27][28][29]

리무쉬(2315-2307)기원전

리무쉬는 아버지 사르곤의 막내아들로 아버지를 직접 계승하여 9년 동안 통치했는데, 이름의 의미는 (오리의 뱀) 또는 (아카드의 뱀)일 것이다. 그의 비문에서는 그는 상해(지중해)와 하해(아라비아 만)의 왕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아버지를 이어 권력을 이어받아 7년 동안 계속 통치했는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제국의 확장과 많은 국가와 민족이 포함되면서 많은 내부 혁명이 일어났고, 그 중 일부는 독립을 추구했습니다. 혁명과 불복종을 추구한 첫 번째 사람은 엘람의 왕 아발가마쉬였는데, 리무쉬 황제가 그의 움직임을 진압하고 그를 붙잡아 시파르에 있는 태양의 신전 앞으로 끌고 가서 엘람의 나머지 도시들을 두 번 정복했습니다.[30][31][32][33]

기원전 2300년경 적을 학살하는 아카드 군인들, 아마도 리무쉬(Rimush)의 승리 비석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됩니다.[34]

Rimush는 수메르인에 대해 폭력을 사용했지만 Uma 및 Kassalu와 같은 수메르 도시 내에서 반란이 발생했지만 수메르어와 Akkadian 언어를 국가 행정의 기초로 만들고 Enlil 신에게 수메르 사람들을 위해 수메르어로 새겨진 납상. 왕실 내에는 많은 분쟁이 있었고, 리무쉬가 수메르인과의 폭력 정책을 비난하는 사람들도 있었고, 분쟁이 격화되어 리무쉬가 암살당하고, 그의 동생 마니슈티슈가 그를 이어 권력을 잡았습니다.[35][36][33]

마니슈티쇼 (2306-2262)기원전

기원전 2276년 동생 리무쉬(Rimush)가 죽은 뒤 권력을 잡았지만, 왕위에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형의 통치 기간에 독립한 수메르 도시들과 그 직전에 독립한 엘람 도시들을 함락시키지는 못했다. 그는 아버지 사르곤 1세의 통치가 끝나고 기원전 2261년에 사망하여 권력을 잡았으며 그의 아들 나람 신(Naram Sin)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37][38]

마니슈티슈는 그의 형과는 정반대였으며, 수메르인과 엘람인과의 평화 정책을 따랐고 그 결과 확실한 안정과 예술적, 상업적, 문명적 르네상스의 결실을 거두었습니다. 그가 싸운 유일한 전투는 (바다 너머 도시의 여왕 32명)이 그에게 반역을 선언했을 때였기 때문에 군사 작전을 준비하여 그들을 다시 토벌시켰다. Manishtishu는 Sippar시에 세워진 섬록암 오벨리스크에서 농업 정책을 수립했으며 Kish와 Uma를 포함한 수메르 도시에서 많은 부동산과 광범위한 농경지를 구입했습니다. 경제적 성격에도 불구하고 그의 정복은 아라비아 만 지역에서 강력하게 활동했던 엘람에 맞서 아카드 통치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39]

마네스 시대의 아카드 제국은 수평으로는 이집트에서 인도까지, 수직으로는 크레타에서 아라비아 만과 아라비아 반도 북쪽까지 뻗어 있다는 점에서 알렉산더 시대의 마케도니아 제국에 해당하지만 역사가들은 마네스를 무시한다. , 그는 알렉산더의 정복보다 2천5백년 앞섰고 그들은 알렉산더 대왕이 한 일을 영광스럽게 합니다. 만스가 한 일은 글쓰기, 채광, 실린더 봉인, 지구라트를 포함하여 그의 나라의 문명을 다른 나라로 이전하는 것이었지만 (피라미드 이집트), 태양 숭배, 조각 예술, 댐과 운하 건설, 아마포 직조, 보석 예술, 저승에서 만족할 수 있는 것에 대한 봉헌물을 갖춘 무덤, 무기, 도구 농업, 건설 등 .. 이 모든 것들은 만스와 그 전후의 이라크 황제들에 의해 침략자들의 군대처럼 폭력, 파괴, 살상, 불태움에 대한 어떤 언급도 없이 세계 곳곳으로 운반되었습니다.[40]

나람신 (2291-2255)기원전

나람신 승전비,[41] 기원전 2260년 자그로스의 자장가에 대한 승리를 축하합니다. 신성의 상징인 뿔이 달린 투구를 쓰고 있으며, 자신의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해 다른 사람에 비해 크게 그려져 있다.[42] 기원전 12세기에 전쟁 전리품으로 시파르에서 수사로 가져왔습니다.
나람신 승리비에 있는 아카드 제국 군인들, 기원전 2250년경

나람신은 할아버지 사르곤의 통치 하에 있던 나라들을 재정복하여 다시 정복할 수 있었고, 거기에 자그로스 산맥의 룰루비 지역과 같은 산악 지역을 추가하고 엘람인들을 정복했습니다. 울퉁불퉁한 산악 지역에서 그의 군대의 선두에 있는 그를 상징하는 커다란 돌 오벨리스크에 정복이 이루어졌습니다. 오늘날 이 오벨리스크는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파리에서는 프랑스 사절단이 반세기 전 수사에서 그것을 발견했습니다. ], 이란의 엘람인의 수도인 나람 신은 광범위한 도시 작업을 수행하고, 국가에서 사회 생활을 조직했으며, 그의 할아버지 사르곤이 발표한 통일된 법률을 따랐으며, 비옥한 초승달 지역 전체에서 아카드어를 공식 언어로 만들었습니다. 37년 동안 통치한 후 그의 아들이 권력을 잡았습니다.[43][44][45]

차르 칼리 슈리(2230-2254)기원전[46]

Char-Kali-Shri는 광대한 제국을 보존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그의 노력은 헛수고였습니다. 많은 먼 지방이 중앙에서 분리되었고, 그의 시대와 그 이후에는 동부 산맥으로 알려진 수많은 주민들이 Kutians가 이사했습니다. 수메르인들은 또한 고대 도시에서 독립을 얻을 수 있는 내륙의 기회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1년 후 샤르-칼리-쉬리가 죽은 후, 약한 왕들이 권력을 잡았고(기원전 2198-2195년) 그들의 통치 기간 동안 대부분의 지방은 분리되었고 우루크와 같은 일부 수메르 도시들은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왕들이 확정되었을 때에도 그는 자신의 문제에 대해 혼란스러워서 누가 왕인지, 왕이 아닌 사람들을 알기가 어려워졌다고 언급합니다.  마침내 쿠티인들이 산악지대에서 기어나와 국토의 중앙으로 이주해 아카드와 수메르 땅을 정복하고 도시들을 파괴하자 공포와 공포가 전국에 퍼져 결국 멸망하게 되었다. 아카드 왕국은 약 2세기 동안 통치한 지 약 1년 후(기원전 2159년)의 왕국입니다.[47]

세 명의 약한 왕 (2192-2154)기원전

(이룰루, 두두, 초도롤)

이 세 왕은 아카드 제국의 마지막 숨결을 구성합니다. 그들의 쇠퇴는 38년 동안 계속되었고, 그 기간 동안 쿠티 부족은 아카드 도시들을 침공했고, 아카드 사람들의 지배를 받은 모든 도시와 민족은 분리되었습니다. Kutians가 국가를 점령했고 Akkad는 영구적으로 무너졌습니다.[48][49][50][51]

아카드인들이 그들의 도시 밖에서 저항하고 있는 동안 구티안들은 바빌로니아 도시를 점령했습니다.

아카드 왕조의 종말

아카드 제국은 건국 후 180년 이내에 아마도 기원전 22세기에 멸망하여 우르 제3왕조까지 눈에 띄는 제국의 권위가 없는 "암흑 시대"로 이어졌습니다.[52]

수메르 르네상스

여러 번 재건되고 확장된 우르의 지구라트는 우르 제3왕조에 의해 건립되었습니다.
수메르 도시 우루크의 왕자 우투헤칼이 구티 왕 티리간에게 승리를 기원하고 있다.

오토 하이칼의 혁명

대신에 아카드의 우위는 자그로스 산맥의 구티안 침략자들에 의해 찬탈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 왕들은 불확실한 기간(왕 목록의 일부 사본에 따르면 124년, 다른 사본에 따르면 25년) 동안 메소포타미아를 통치했습니다. 문맹이고 유목민이었던 그들의 통치는 농업이나 기록 보관에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그들이 추방될 무렵 이 지역은 극심한 기근과 폭등하는 곡물 가격으로 인해 불구가 되었습니다. 그들의 마지막 왕인 티리건은 우루크의 우투헨갈에게 쫓겨남.

우르 제3왕조 (기원전 2112년-기원전 2004년)

우투헨갈의 통치에 이어 우르남무(원래 장군)가 우르 제3왕조를 세웠습니다. 우르남무는 전투에서 라가쉬의 통치자를 격파하고 왕을 죽임으로써 전사-왕으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이 전투 이후 우르남무는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이라는 칭호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신수메르 제국에 대한 우르의 지배력은 유명한 우르남무 법전에 의해 강화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몇 세기 전 라가쉬의 우루카기나 법전 이후 메소포타미아에 대한 최초의 법전일 것입니다.

기원전 3천년의 마지막 세기에 우르의 왕들은 왕국 국경 주변에서 여러 차례 갈등을 벌인 것으로 믿어집니다. 이러한 갈등은 아카드 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집니다. 왕들이 군대를 어떻게 조직했는지에 대한 증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방어군이 왕국 중앙에 있었는지 아니면 왕국 밖에 있었는지 불분명합니다. 알려진 것은 왕조의 두 번째 통치자인 슐기가 어느 정도 확장과 정복을 달성했다는 것입니다. 그의 세 후계자들은 이러한 일을 계속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들의 정복은 빈도가 줄어들었습니다.[53]

우르 III 제국과 그 영향권을 보여주는 지도

우르 확장이 가장 절정에 이르렀을 때 그들은 아나톨리아 남동부(현대 터키)에서 페르시아 만의 이란 해안까지 영토를 차지했는데, 이는 왕조의 강력함을 입증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르 III 군대가 어떻게 보물을 탈취하고 많은 승리를 거둔 후 왕국으로 가져왔는지 설명하는 수백 개의 텍스트가 있습니다. 일부 문헌에서는 슐기 캠페인이 왕국에 가장 유익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우르의 왕과 사원은 주로 전쟁의 전리품으로 이익을 얻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54]

정치 조직

우르 3세 왕이 통치하는 땅은 각각 총독(엔시라고 함)이 통치하는 여러 속주로 나누어졌습니다. 특정 소란스러운 지역에서는 군 사령관이 통치에 더 많은 권한을 가졌습니다.

각 지방에는 발라(bala)라고 불리는 지방세를 모두 수도로 보내는 재분배 센터가 있었습니다. 세금은 농작물부터 가축, 토지까지 다양한 형태로 납부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정부는 사원에 자금을 지원하고 궁핍한 사람들에게 식량을 배급하는 등 필요에 따라 물품을 배분할 것입니다.

니푸르 시의 중요성

니푸르시는 우르 제3왕조의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습니다. 니푸르는 메소포타미아의 종교 중심지로 여겨진다. 모든 신들의 군주인 엔릴의 신전이 있는 곳이었습니다. 이곳은 엔릴 신이 왕의 이름을 말하고 왕을 그의 존재로 부르고 있던 곳이었습니다. 이는 모든 왕이 권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당성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도시는 또한 도시 근처에서 발견된 일부 명판에 따르면 사람들이 자주 논쟁을 벌이는 곳으로 여겨집니다. 정치적으로 니푸르가 얼마나 중요한 도시인지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 도시는 왕조나 군사력으로서의 지위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Nippur가 왕에게 실질적인 정치적, 군사적 이점을 전혀 주지 않았다는 사실은 일부 사람들에게 그것이 실제로 정복되지 않았음을 시사합니다. 도시 자체는 "국가 컬트 센터"로 더 많이 간주되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보았기 때문에 도시를 정복하면 메소포타미아 통치자들이 용납할 수 없는 정치적 위험을 안겨줄 것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또한 도시가 성지로 여겨졌기 때문에는 지역의 다른 많은 도시를 멸망시킨 수많은 갈등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습니다.

예술과 문학

수메르어는 문화권을 지배했으며 법률, 행정, ​​경제 문서의 언어였으며, 아카드어 확산의 징후는 다른 곳에서도 볼 수 있었습니다. 이 시기에 생겨난 새로운 도시에는 사실상 모두 아카드식 이름이 주어졌습니다. 문화는 또한 다양한 유형의 예술 형식을 통해 번성했습니다.

우르 3왕조의 마지막 왕 이비신 왕(기원전 2028년경~2004년)이 즉위하고 여신과 함께 즉위함.

수메르어 문서는 우르 III 시대에 대량 생산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기간을 설명하는 '부흥' 또는 '르네상스'라는 단어는 고고학적 증거가 이전 쇠퇴기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길가메시 우르크 서사시가 이 시기에 고전적인 수메르 형식으로 기록되었다고 믿습니다. 우르 3왕조는 우르크의 초기 왕들과 친족관계를 주장함으로써 그들과 유대관계를 구축하려고 시도했습니다.

예를 들어, 우르 3세 왕들은 종종 길가메시의 신성한 부모인 닌순과 루갈반다를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아마도 서사시 영웅과의 비교를 불러일으키기 위함이었을 것입니다.

"우르남무의 죽음"으로 알려진 이 시기의 또 다른 텍스트에는 우르남무가 "그의 형제 길가메시"에게 선물을 쏟아붓는 지하 세계 장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우르의 몰락 III

우르가 엘람인들에게 함락된 것을 기념하는 우르를 위한 애가.

신수메르인의 세력은 쇠퇴하고 있었습니다. 21세기에 이비신은 엘람으로 군사 작전을 시작했지만, 그 나라까지 침투하지는 못했습니다. 기원전 2004/1940년(각각 중기/단기 연대기)에 엘람인들은 수사 사람들과 동맹을 맺고 엘람인 시마시키 왕조의 왕인 킨다투가 이끄는 엘람인들이 우르를 포위할 수 있었고 우르를 약탈하고(초여름) 그들을 이끌었습니다. 입비신이 포로로 잡혀 우르 제3왕조가 멸망함. 이 승리 이후 엘람인들은 왕국을 멸망시키고 이후 21년 동안 군사 점령을 통해 통치했습니다.[55][56][57]

기원전 2047년 우르 제3왕조의 창시자인 즉위 왕 우르남무가 원통형 인장에 새겨져 있습니다. 그의 이름은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세로로 표시됩니다. (𒌨𒀭𒇉)
슐기왕의 원통 봉인
부품 표면 표시가 포함된 움마 시 부동산 계획. 우르 제3왕조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의 지도
현재 이라크 지도

우르 제3왕조가 무너지고 엘람인들이 그 나라에서 철수한 후 여러 도시에 여러 국가가 형성되었는데, 하나는 이신에, 다른 하나는 라르사에, 세 번째는 바빌론에 세워졌습니다. 우루크, 에슈눈나, 앗시리아가 독립하여 마리라는 도시에 독립 왕조가 통치하게 되었고, 이들 국가 간 권력 독점을 둘러싸고 치열한 갈등이 약 100년 동안 지속되다가 1900년 바빌론 도시의 승리로 끝났다. 나머지 왕자들을 제거하고 그들의 도시를 중동 전체를 통치하고 왕국으로 알려진 통일 왕국에 합병한 여섯 번째 왕 함무라비 시대.

함무라비 왕

샤마시(혹은 마르둑)로부터 왕실 휘장을 받는 것으로 묘사된 함무라비(서 있는 모습). 함무라비가 기도의 표시로 입을 막고 있는 모습[58] (함무라비 법전 비석 상단의 부조).
점토판에 관한 법칙
섬록암 비석에 관한 법칙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의 여섯 번째 아모리 왕으로 기원전 1792년부터 1750년까지 통치했습니다. 그의 아버지 신 무발리트는 건강 악화로 인해 퇴위했습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도시 국가인 라르사, 에슈눈나, 마리를 정복했습니다. 그는 아시리아 왕 이스메다간 1세를 축출하고 그의 아들 무트아쉬쿠르에게 조공을 바치도록 강요하여 거의 모든 메소포타미아를 바빌론의 지배하에 두었습니다. 이로써 그는 나라를 통일할 수 있었다.

함무라비 법전은 역사상 가장 오래된 법률 중 하나이자 근동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문헌 중 하나이자 고대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유물 중 하나이며 바빌로니아 최초 왕조의 것입니다.[59] 코드는 2.25미터(7피트 4½인치) 크기의 섬록암 비석에 설형 문자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꼭대기에는 태양신 샤마쉬로부터 왕권을 받는 바빌로니아 왕이 그려져 있습니다.

함무라비는 법전에 기록된 법을 제시하기 전에 "마르둑 신이 나에게 이 땅의 사람들이 적절한 행동을 하기 위해 올바른 길을 제공하라고 명령했을 때 나는 이 땅의 선언으로 진리와 정의를 확립했습니다. 국민복지를 높였습니다." 그런 다음 범죄에 대한 정당한 처벌에 관한 법률을 자세히 설명하고 백성이 준수해야 할 규칙을 제공합니다.[60]

함무라비 왕 30년에 그는 림신 1세로부터 라르사를 정복하여 니푸르, 우르, 우루크, 이신 등 수익성이 좋은 도시 중심부를 장악했습니다. 함무라비는 남부 메소포타미아를 장악하고 바빌론을 자신의 제국의 중심으로 삼는 데 성공했기 때문에 바빌로니아 제1왕조의 가장 유명한 왕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 후 바빌론은 천년 넘게 메소포타미아를 지배하게 될 것입니다.[61]

함무라비의 후계자

함무라비의 뒤를 이은 왕들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거의 없습니다. Samsuiluna에서 Samsuditana까지의 왕은 통치 기간 동안 발생한 사건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Samsuiluna가 Rim-Sîn II를 물리치는 데 성공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빌론 정복 땅의 주요 부분을 잃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함무라비 통치 이후 남겨진 바빌로니아 영토의 핵심에 대한 실질적인 권위만 가지고 있었습니다. 삼수일루나를 계승한 왕들도 비슷한 혼란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62]

바빌로니아 제1왕조는 제국이 영토와 돈을 잃고 큰 쇠퇴에 직면하면서 결국 멸망하게 되었습니다. 아나톨리아 밖으로 확장을 시도하던 히타이트의 공격은 결국 바빌론의 멸망으로 이어졌습니다. 카사이트 시대는 기원전 1570년부터 1154년까지 통치한 제1바빌로니아 왕조의 뒤를 잇는 시대입니다. 바빌론이 멸망할 때까지 카시트족은 이미 한 세기 반 동안 이 지역의 일부였으며 때로는 바빌론의 이익을 위해 때로는 반대하여 행동했습니다.[63][64]

천문학

실린더 씰

태양은 고대 바빌로니아의 왕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샤마시는 함무라비 법전에 언급된 것처럼 태양, 정의, 점술의 신이었습니다. 본문에는 "하늘과 땅의 위대한 재판관이시며 모든 생물에게 정의로운 길을 제공하시는 샤마시 신, 내가 신뢰하는 주님이 그의 왕권을 뒤집기를 바랍니다."라고 적혀 있습니다.[65] 샤마시는 함무라비에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졌으며, 샤마시가 신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처럼 땅에서도 정의의 법칙을 집행할 것이라는 개념을 표현했습니다.[66]

무르실리스 1세(삼수디타나의 바빌론 통치 말기) 치하의 히타이트에 의한 바빌론의 몰락에 관한 텍스트는 정확한 바빌론 연대기에 중요한 쌍둥이 일식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한 쌍의 월식과 일식이 시마누(Sivan)월에 발생했습니다. 월식은 기원전 1659년 2월 9일에 일어났습니다. 오전 4시 43분에 시작해서 오전 6시 47분에 끝났다. 후자는 보이지 않아 기록을 만족하며, 이는 또한 달이 아직 일식 중임을 말해준다. 일식은 기원전 1659년 2월 23일에 일어났습니다. 오전 10시 26분에 시작해서 오전 11시 45분에 최대치, 오후 1시 4분에 끝났습니다.[67]

암미사두카(Ammisaduqa)의 비너스 서판(즉, 점토판의 여러 고대 버전)도 잘 알려져 있으며 이에 관한 여러 책이 출판되었습니다. 해당 이벤트에 대해 여러 날짜가 제공되었지만 많은 오래된 자료집의 날짜가 오래되고 잘못된 것 같습니다. 더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금성 행성에 대한 상세한 관찰의 21년 기간은 이 왕의 통치와 일치할 수도 있고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의 이름은 언급되지 않고 오직 황금 왕좌의 해만 언급되기 때문입니다.[68]

거의 100년 전에 인쇄된 일부 출처를 포함하여 일부 출처에서는 원본 텍스트가 달에 의해 금성이 가려지는 것을 언급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해석일 수 있습니다.[69] 현대의 계산은 행성 관측의 통계적 확률에 근거하여 바빌론이 멸망한 해가 기원전 1659년임을 뒷받침합니다. 현재 받아들여지고 있는 중기 연대기는 천문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너무 낮은 수준이다.[70]

고대 아시리아 제국

기원전 1721년 샴시아다드 1세가 사망할 당시 메소포타미아에서 아시리아 제국의 대략적인 영토를 보여주는 지도.

푸주르-아슈르 1세 왕조

푸주르-아슈르 1세(기원전 2025년경)는 군사 쿠데타로 키키아를 타도하고 아모리 족의 샴시아다드 1세에 의해 타도될 때까지 8세대(또는 216년) 동안 지속되는 아시리아 왕조를 세운 것으로 여겨집니다. 샬렘 아키(약 기원전 2025년 - 기원전 1995년)[71] 푸주르-아슈르 1세의 아들이자 후계자[72] 그는 동시대 비문에서 입증된 최초의 독립 통치자입니다. 독일 고고학자 월터 안드레의 감독하에 독일이 앗시리아를 발굴하는 동안 발견된 설화석고 조각에 고대 앗시리아어로 쓰여진 고대의 이상한 문자의 조각에서, 이것은 그의 동시대의 비문 중 다음과 같이 기록된 유일한 예입니다. 앗시리아 신은 그에게 성전을 지으라고 요청했고, 그에게 '맥주통과 지역'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신전 지역'에 저장고가 세워졌습니다.[73] 그는 신흥 아시리아 상인 회사가 은과 교환하여 아시리아에서 직물과 주석을 거래하기 위해 아나톨리아로 진출하고 있던 기간 동안 통치했습니다.[74] 샬름 아키와 그의 후계자들은 엔시뿐만 아니라 Ashur의 부섭정인 "아시-아크-아슈르" 라는 칭호를 지녔습니다.[75]

일루 슈마 (기원전 1945년 - 기원전 1906년),[76] 샬름 아키의 아들이자 후계자[77]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아시리아의 왕좌에 올랐습니다. 이는 그가 우르(Ur) 시, 니푸르(Nippur) 시, 데이르(Deir) 시와 같은 수메르 도시 국가의 아카드인들을 위해 “구리를 세척”하고 “자유를 확립”했다고 주장하는 그의 책(여러 사본으로 존재)에서 알려져 있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사실을 그가 아모리인과 엘람인의 침략으로부터 동료 메소포타미아인을 구하기 위해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 군사 작전을 수행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받아들였습니다. 그의 건설 활동에는 성벽인 고대 이슈타르 신전을 건설하고, 도시를 토지로 나누고, 샘의 흐름을 성문 "Oshum"과 "Wirtam"으로 전환하는 것이 포함되었습니다.

에리슘 1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권력을 잡았으며, 앗시리아가 확장되고 경제가 발전하는 동안 오랜 기간 통치했으며, 사원을 비롯한 많은 건축 공사를 수행했습니다. 그 후 그는 도시의 요새를 강화하고 아시리아 식민지를 보존한 그의 형제 이코눔(Ikonum)에 의해 아시리아의 왕위를 계승했습니다. 사이에 통치했고, 그 후 그의 아들 사르곤 1세(기원전 1861년 – 기원전 1822년). 사르곤은 아시리아를 재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왕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습니다.[78][79] 그런 다음 푸주르 아슈르 2세가 그의 아버지 사르곤 1세의 뒤를 이어 기원전 1822년부터 기원전 1814년까지 그의 아들 나람신(기원전 1814년부터 기원전 1760년)[80]이 계승할 때까지 통치했습니다. 그가 물려받은 도시 국가인 아시리아는 고대 아시리아 제국의 활동이 한창일 때 무역 네트워크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칸쉬의 무역 중심지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파괴되었지만 무역은 다른 곳에서도 계속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81] 그 후 그는 그의 아들 에리슘 2세(Erishum II)가 계승했는데, 그는 기원전 1760년부터 기원전 1754년까지 통치하고 지도자 샴시-아다드 1세를 전복시켰습니다.[82]

바빌로니아 왕 함무라비(기원전 1696년~기원전 1654년)는 마리(Mari), 라르사(Larsa), 에쉬눈나(Eshnunna)를 정복하고 결국 아시리아 왕국 무트아쉬쿠르(Mut-ashkur)를 정복했습니다.

아다시 가족

단명한 바빌로니아 제국은 함무라비의 죽음 이후 붕괴되기 시작했고, 바빌론은 함무라비의 후계자 삼수일루나(기원전 1750년~기원전 1712년) 치하에서 아시리아에 대한 통제권을 잃었습니다. 내전이 뒤따른 후, Asinum(앗시리아의 마지막 아모리인 통치자)은 BC 1732년경에 Asinum을 바빌론의 가신으로 여겼던 Bozur-Sin이라는 강력한 원주민 아시리아 중위에 의해 폐위되었습니다. 그 후 사건은 격동하기 시작했고 다섯 왕 사이에 아시리아 왕좌를 놓고 경쟁이 치열해졌으며, 이들 왕은 모두 짧은 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통치했습니다.

마침내 기원전 1726년에 아다시(기원전 1726년~기원전 1701년)라는 왕이 등장하여 시민 불안을 진정시키고 아시리아의 상황을 안정시킬 수 있었습니다. 이는 바벨론 제국의 소멸과 함께 이루어졌습니다.

아다시(Adasi)는 아시리아 왕 목록에 의해 아시리아 왕위를 찬탈한 왕으로 확인된 일곱 왕 중 마지막 왕인 아시리아 왕으로, 바빌론을 통치하던 아모리인들이 아시리아에서 추방된 후 기원전 1718년부터 기원전 1699년까지 통치했습니다.  그는 아시리아를 안정시키고 내전으로부터 해방시킨 공로로 아시리아 왕 목록에 기록되어 있습니다.[83] 아시리아 아다시아 왕조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84] 링크=https://ar.wikipedia.org/wiki/%D9%85%D9%84%D9%81:Carte_du_Mitanni.png|섬네일|256x256픽셀|기원전 1430년 미탄니 제국 영토 내의 도시 국가 아시리아(진한 보라색)와 미탄니 확장 지역(연한 보라색)을 보여주는 고대 근동 지도. 아시리아 왕국은 제국으로부터 분리된 후에도 안전하게 유지되었으며, 아시리아 왕 나딘아히 1세(기원전 1430년~기원전 1415년)가 통치할 때까지 많은 왕들의 통치를 받았습니다. 미탄니 왕국이 아시리아를 침공하고 미탄니의 이익에 반하여 이집트 왕국과 동맹을 맺는 것을 막기 위해 수도를 약탈한 곳입니다.

15년간의 통치 끝에 엔릴 나시르 2세(Enlil Nasir II)는 그의 형제인 앗시리아 나딘 아히(Nadin Ahi)에 대항하여 쿠데타를 일으켜 왕국의 권력을 장악했고, 이어서 앗시리아에서 도시화를 발전시키고 성벽을 쌓은 왕과 통치자들이 뒤따랐습니다. 아시리아-나딘-아키 2세(기원전 1387년~기원전 1378년) 왕은 미탄 왕국과 히타이트 왕국에 도전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그의 뒤를 이어 중앙 아시리아 제국의 창시 황제이자 첫 번째 황제인 그의 형제 에리바아다드 1세가 뒤를 이었습니다.[85][86][87]

오스만 제국 및 맘루크 왕조

왕국

시대

통치

칼리파국

오스만 제국 및 맘루크 왕조

14세기 후반과 15세기 초반에 카라 코윤루는 현재 이라크라고 알려진 지역을 통치했다. 1466년, 아크 코윤루가 카라 코윤루를 물리치고 지배권을 장악했다. 후에, 흰 양떼는 한동안 메소포타미아를 지배한 사파비 왕조에게 패배했다. 16세기에 현재의 이라크 영토의 대부분은 바그다드의 파샬릭으로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 기간 (1533년~1918년) 동안, 현재의 이라크 영토는 경쟁 지역 제국들과 부족 동맹들 사이의 전투 지역이었다.

미국의 침공 및 여파 (2003년~현재)

2003년 미국 침공

2001년 미국 뉴욕워싱턴 D.C.에 대한 테러 공격이 사우디아라비아의 백만장자 오사마 빈 라덴에 의해 결성된 단체와 연관된 후, 미국의 외교 정책은 이라크의 바트 정부를 제거하도록 요구하기 시작했다. 워싱턴의 신보수주의 싱크탱크들은 수년간 바그다드의 정권 교체를 촉구하고 있다. 1998년 8월 14일, 빌 클린턴 대통령은 "이라크 정부는 실질적이고 용납할 수 없는 국제 의무를 위반하고 있다"고 선언한 공공법 105조 235호에 서명했다. 몇 달 후, 의회는 1998년 10월 31일 이라크 해방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이라크에서 사담 후세인이 이끄는 정권을 권력에서 제거하려는 노력을 지지하고 그 정권을 대체할 민주 정부의 출현을 촉진하는 것이 미국의 정책이 되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1998년 미국 하원에서 360 대 38, 미국 상원에서 99 대 0으로 통과되었다.

미국은 유엔이 이라크에 대해 군사 행동을 취할 것을 촉구했다.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는 사담 후세인이 16개의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를 반복적으로 위반했다고 말했다. 이라크 정부는 부시의 주장을 거부했다. 스웨덴 외교관 한스 블릭스가 이끄는 유엔 사찰단이 입국을 허가받았고, 그들의 최종 보고서는 이라크인들이 대량살상무기를 생산하는 능력이 1992년 유엔군과의 휴전 협정에 따라 이라크가 그들의 남은 무기 대부분을 해체했을 때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사담 후세인이 여전히 대량살상무기를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았다. 미국영국은 이라크가 대량살상무기를 은닉하고 있다고 비난했고 이 문제를 더 조사할 시간을 더 달라는 팀의 요청에 반대했다. 결의안 1441호는 2002년 11월 8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되었으며, 이라크는 이전 유엔 결의에서 제시한 "군축 의무를 준수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제공했으며, 그 의무가 이행되지 않을 경우 "심각한 결과"를 위협했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이라크에 대한 무력 사용을 허가하는 결의안을 발표하지 않았다.

2003년 3월, 미국과 영국은 다른 나라들로부터 군사적 지원을 받아 이라크를 침공했다.

각주

  1. “Baghdad's Treasure: Lost To The Ages”, 《Time》, 2003년 4월 28일, 2008년 3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4일에 확인함 
  2. Ramirez-Faria, Carlos (2007). 《Concis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Carlos Ramirez-Faria》. 33쪽. ISBN 9788126907755. 
  3. D. Gershon Lewental, "QĀDESIYA, BATTLE OF,"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available at http://www.iranicaonline.org/articles/qadesiya-battle (accessed on 21 July 2014).
  4. 《Timeline–Rise, fall and spread of the Islamic State》, 2020년 12월 14일에 확인함 
  5. Murray, Tim (2007). 《Milestones in Archaeology: A Chronological Encyclopedia》. 454쪽. ISBN 978-1576071861. 
  6. Edwards, Owen (2010). 《"The Skeletons of Shanidar Cave"》. Smithsonian. 
  7. Milton-Edwards, Beverley (May 2003). “Iraq, past, present and future: a thoroughly-modern mandate?”. 《History & Policy》. United Kingdom: History & Policy. 2014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9일에 확인함. 
  8. Jacobsen, Thorkild (Ed) (1939),"The Sumerian King List"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Assyriological Studies, No. 11., 1939)
  9. Jacobsen, Thorkild (Ed) (1939),"The Sumerian King List"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Assyriological Studies, No. 11., 1939)
  10. 틀:Harvard citation on the different economic activities of the archaic state and their supposed degree of 'complexity'.
  11. 틀:Harvard citation
  12. On the details and range of changes in this foundational period in Mesopotamia in relation to other civilizations, see especially the contributions in M. Lamberg-Karlovsky (ed.), The Breakout: The Origins of Civilization, Cambridge MA, 2000.
  13. 틀:استشهاد بهارفارد دون أقواس
  14. Powell, Marvin A. (2008). 〈Sexagesimal System〉.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1998–1999쪽. doi:10.1007/978-1-4020-4425-0_9055. ISBN 978-1-4020-4559-2. 
  15. Woods 2010, 39쪽
  16. Roux, Georges 1971, "Ancient Iraq", Penguin, Harmondsworth.
  17. 《Art of the First Cities: The Third Millennium B.C. from the Mediterranean to the Indus》.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3. 481쪽. ISBN 978-1-58839043-1. 
  18. “Vorderasiatisches Museum Berlin”. 《Repository》. Edition Topoi. 
  19. Identified by David Rohl with Nimrod the Hunter, mentioned in the Bible as founding Erech
  20. “Th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ETCSL》. UK: Oxford. 2018년 4월 23일에 확인함. 
  21.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228쪽. ISBN 9780521070515. 
  22. D. T. Potts, 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 보관됨 2022-11-23 - 웨이백 머신 Cambridge World Archa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ISBN 1107094690 p79
  23. Samuel Kramer, The Sumerians, 51-52.
  24. 본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5. من تاريخ العراق القديم 2 보관됨 2016-03-06 - 웨이백 머신
  26.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27.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28. Samuel Noah Kramer, The Sumerians, Chicago University Press, 1971, 틀:ردمك
  29. 틀:استشهاد
  30.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31.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32. 틀:استشهاد بدورية محكمة
  33.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34. “Musée du Louvre-Lens – Portail documentaire – Stèle de victoire du roi Rimush (?)”. 《ressources.louvrelens.fr》 (프랑스어). 
  35.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36.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37. 틀:استشهاد ويب
  38.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39. خزعل الماجدي. الحضارات السامية المُبكرة، ص 165.
  40. الماجدي، خزعل، نفس المصدر، ص 170
  41. Stele of Narâm-Sîn, king of Akkad, celebrating his victory against the Lullubi from Zagros. Limestone, c. 2250 BCE. Brought from Sippar to Susa among other spoils of war in the 12th century BCE. Now given dates for Naram-Suen of Akkad, reign 2190 – 2154 BC.
  42. Stiebing, H. William Jr. (2009).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Pearson Longman. 74쪽. ISBN 978-0-321-42297-2. 
  43.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44. 틀:استشهاد بدورية محكمة
  45.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46.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47. الماجدي، نفس المصدر، ص 178
  48. الماجدي، نفس المصدر، ص 179-180
  49. 틀:استشهاد ويب
  50.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51.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52. Zettler (2003), pp. 24–25. "Moreover, the Dynasty of Akkade's fall did not lead to social collapse, but the re-emergence of the normative political organization. The southern cities reasserted their independence, and if we know little about the period between the death of Sharkalisharri and the accession of Urnamma, it may be due more to accidents of discovery than because of widespread 'collapse.' The extensive French excavations at Tello produced relevant remains dating right through the period."
  53. Lafont, Bertrand. “The Army of the Kings of Ur: The Textual Evidence”. 《Cuneiform Digital Library Journal》. 
  54. Lafont, Bertrand. “The Army of the Kings of Ur: The Textual Evidence”. 《Cuneiform Digital Library Journal》. 
  55. 《Abram》 (PDF). Cary Cook. 2007. 1쪽. 
  56. Bryce, Trevor (2009). 《The Routledge Handbook of the Peoples and Places of Ancient Western Asia: The Near East from the Early Bronze Age to the fall of the Persian Empire》 (영어). Routledge. 221쪽. ISBN 9781134159079. 
  57. D. T. Potts (2015년 11월 12일). 《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3쪽. ISBN 978-1-107-09469-7. 
  58. Roux, Georges (1992년 8월 27일), 〈The Time of Confusion〉, 《Ancient Iraq》, Penguin Books, 266쪽, ISBN 9780141938257 
  59. Coogan, Michael D. 《Ancient Near Eastern 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87–90쪽. 
  60. Coogan, Michael D. Ancient Near Eastern 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pp. 87–90.
  61. Podany, Amanda H. (2010). 《Brotherhood of Kings》. 65쪽. 
  62. Moorey, P.R.S (1978). 《Ancient Near Eastern Cylinder Seals》. 
  63. Coogan, Micheal D. 《Ancient Near Eastern 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87–90쪽. 
  64. van Koppen, Frans. "The Old to Middle Babylonian Transition: History and Chronology of the Mesopotamian Dark Age." Ägypten Und Levante / Egypt and the Levant, vol. 20, 2010, pp. 453–63
  65. 《The Code of Hammurapi》. 
  66. Charpin, Dominique. “"I am the Sun of Babylon"; Solar Aspects of Royal Power in Old Babylonian Mesopotamia”. 
  67. Huber, Peter (1982). “Astronomical dating of Babylon I and Ur III”. 《Monographic Journals of the Near East》: 41. Bibcode:1982adbi.book.....H. 
  68. Reiner, Erica; D. Pingree. 《Babylonian Planetary Omens The Venus, the Tablet of Ammisaduqa》. 
  69. Reiner, Erica; D. Pingree. 《Babylonian Planetary Omens The Venus, the Tablet of Ammisaduqa》. 
  70. Kelley, David H.; E. F. Milone; Anthony F. Aveni (2004). 《Exploring Ancient Skies: An Encyclopedic Survey of Archaeoastronomy》. New York: Springer. ISBN 0-387-95310-8. 
  71.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72.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73.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74.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75.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76.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77.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78.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79.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80. مختصر تاريخ العراق (تاريخ العراق القديم) 1-6 ج3 ، ص 51
  81.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82. 틀:استشهاد بدورية محكمة
  83. جورج رو - العراق القديم
  84.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85. 틀:استشهاد ويب
  86. 틀:استشهاد بكتاب
  87. 틀:استشهاد بدورية محكمة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