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오차 방정식: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오차방정식의 판별식: I described how the Bring-Jerrard-Form of the quintic equations can be solved generally in terms of elliptic modular functions. I explained everything accurately and I also gave good references.
102번째 줄: 102번째 줄:
:<math> D= (-1)^{20\over 2} a_5^{-1} M </math>
:<math> D= (-1)^{20\over 2} a_5^{-1} M </math>
:<math> D= (-1)^{10} a_5^{-1} M </math>
:<math> D= (-1)^{10} a_5^{-1} M </math>

== 브링-제라드 형태 ==
오차 방정식이 오차 항, 선형 항 및 절대 항만 포함하는 경우 이 방정식은 브링-제라드 (Bring-Jerrard) 형식을<ref>{{웹 인용|url=https://mathworld.wolfram.com/|제목=Bring-Jerrard Quintic Form|성=Weisstein|이름=Eric W.|언어=en|확인날짜=2022-01-24}}</ref> 갖습니다. 십구 세기 후반에 John Stuart Glashan, George Paxton Young, Carl Runge는 [[초등함수]]를 사용하여 항상 풀 수 있는 매개변수화를 발견했습니다:

: <math>x^5 + \frac{5\mu^4(4\nu + 3)}{\nu^2 + 1}x = \frac{4\mu^5(2\nu + 1)(4\nu + 3)}{\nu^2 + 1}</math>

그리고 이것은 이 방정식의 일반적인 해입니다:

: <math>x = \frac{2\mu\sqrt{20\nu + 15}}{5\sqrt[4]{\nu^2 + 1}}\cosh\biggl\{\frac{1}{5}\text{arcosh}\biggl[\frac{125\sqrt[4]{\nu^2 + 1}(2\sqrt{\nu^2 + 1} + 2\nu - 1)}{(20\nu + 15)^{3/2}}\biggr]\biggr\} -</math>
: <math>- \frac{2\mu\sqrt{20\nu + 15}}{5\sqrt[4]{\nu^2 + 1}}\sinh\biggl\{\frac{1}{5}\text{arsinh}\biggl[\frac{125\sqrt[4]{\nu^2 + 1}(2\sqrt{\nu^2 + 1} - 2\nu + 1)}{(20\nu + 15)^{3/2}}\biggr]\biggr\}</math>

이것은 μ = 1 과 ν = 0에 대한 계산 예입니다:

: <math>x^5 + 15x = 12</math>
: <math>x = \tfrac{2}{5}\sqrt{15}\cosh[\tfrac{1}{5}\text{arcosh}(\tfrac{5}{9}\sqrt{15})] - \tfrac{2}{5}\sqrt{15}\sinh[\tfrac{1}{5}\text{arsinh}(\tfrac{5}{3}\sqrt{15})]</math>

매개변수를 변경하여 다음과 같은 방정식 및 해결책 쌍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math>x^5 + x = \frac{2}{5}y^{-5/4}\frac{(1 + y - y^2)\sqrt{2 + 2y^2}}{\sqrt[4]{10 + 15y - 10y^2}}</math>
: <math>x = \frac{2}{5}y^{-1/4}\sqrt[4]{10 + 15y - 10y^2}\cosh\biggl\{\frac{1}{5}\text{arcosh}\biggl[\frac{5\sqrt{5 + 5y^2}}{(1 + 2y)\sqrt{4 + 6y - 4y^2}}\biggr]\biggr\} -</math>
: <math>- \frac{2}{5}y^{-1/4}\sqrt[4]{10 + 15y - 10y^2}\sinh\biggl\{\frac{1}{5}\text{arsinh}\biggl[\frac{5y\sqrt{5 + 5y^2}}{(2 - y)\sqrt{4 + 6y - 4y^2}}\biggr]\biggr\}</math>

이 해결책 공식은 모든 [[실수]] 값 0 < y < 2에 대해 유효합니다.

== 모듈러 타원 함수를 통한 해결책 ==
다음에서 이 방정식을<ref>{{Cite journal|last=Brioschi|first=F.|date=1858-12-01|title=Sulla risoluzione delle equazioni del quinto grado: Hermite — Sur la résolution de l'Équation du cinquiéme degré Comptes rendus —. N. 11. Mars. 1858|url=https://zenodo.org/record/2401804|doi=10.1007/bf03197334}}</ref> 일반화합니다:

: <math>x^5 + x = w</math>
: <math>x = \frac{2}{5}y^{-1/4}\sqrt[4]{10 + 15y - 10y^2}\cosh\biggl\{\frac{1}{5}\text{arcosh}\biggl[\frac{5\sqrt{5 + 5y^2}}{(1 + 2y)\sqrt{4 + 6y - 4y^2}}\biggr]\biggr\} -</math>
: <math>- \frac{2}{5}y^{-1/4}\sqrt[4]{10 + 15y - 10y^2}\sinh\biggl\{\frac{1}{5}\text{arsinh}\biggl[\frac{5y\sqrt{5 + 5y^2}}{(2 - y)\sqrt{4 + 6y - 4y^2}}\biggr]\biggr\}</math>
: <math>y = \frac{5\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5}{4}\sqrt[4]{5}\,w)]^2\}^5\bigr\rangle^2}{2\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5}{4}\sqrt[4]{5}\,w)]^2\}\bigr\rangle^2} - \frac{1}{2}</math>

이 공식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의 방정식에서 다음 방정식이 생성됩니다:

: <math>w = \frac{2}{5}y^{-5/4}\frac{(1 + y - y^2)\sqrt{2 + 2y^2}}{\sqrt[4]{10 + 15y - 10y^2}}</math>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재정렬될 수 있습니다:

: <math>\bigl(\frac{2y^5 - y^6}{1 + 2y}\bigr)^{1/2} = \sqrt{\frac{3125}{256}w^4 + 1} - \frac{25}{16}\sqrt{5}\,w^2</math>
: <math>\bigl(\frac{2y^5 - y^6}{1 + 2y}\bigr)^{1/2} = \sin\bigl\{2\arcsin\bigl[\bigl(50\sqrt{5}\,w^2 + 32 + 2\sqrt{3125w^4 + 256}\bigr)^{-1/2}\bigl(\sqrt{\sqrt{3125w^4 + 256} + 16} + 5\sqrt[4]{5}\,w\bigr)\bigr]\bigr\}</math>
: <math>y = \frac{5\vartheta_{00}\bigl\{q\bigl[\bigl(50\sqrt{5}\,w^2 + 32 + 2\sqrt{3125w^4 + 256}\bigr)^{-1/2}\bigl(\sqrt{\sqrt{3125w^4 + 256} + 16} + 5\sqrt[4]{5}\,w\bigr)\bigr]^5\bigr\}^2}{2\vartheta_{00}\bigl\{q\bigl[\bigl(50\sqrt{5}\,w^2 + 32 + 2\sqrt{3125w^4 + 256}\bigr)^{-1/2}\bigl(\sqrt{\sqrt{3125w^4 + 256} + 16} + 5\sqrt[4]{5}\,w\bigr)\bigr]\bigr\}^2} - \frac{1}{2}</math><math>y = \frac{5\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5}{4}\sqrt[4]{5}\,w)]^2\}^5\bigr\rangle^2}{2\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5}{4}\sqrt[4]{5}\,w)]^2\}\bigr\rangle^2} - \frac{1}{2}</math>

그리스 기호는 테타 야코비 [[세타 함수|테타 함수]]를 나타냅니다:

: <math>\vartheta_{00}(z) = 1 + 2\sum_{k = 1}^{\infty} z^{k^2} </math>
: <math>\vartheta_{00}(z) = \prod_{k = 1}^{\infty} (1 - z^{2k})(1 + z^{2k - 1})^2</math>

[[놈 (수학)|놈 함수]]은 문자 q로 표시됩니다:

: <math>q(\varepsilon) = \exp[-\pi K(\sqrt{1 - \varepsilon^2}) K(\varepsilon)^{-1}] </math>

문자 K는 제1종 완전 [[타원 적분]]을 나타냅니다:

: <math>K(r) = \int_{0}^{\pi/2} \frac{1}{\sqrt{1-r^2\sin(\varphi)^2}} \mathrm{d}\varphi </math>

약어 ctlh 및 aclh로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함수가<ref>{{Cite journal|last=Deng|first=Ji-En|last2=Chen|first2=Chao-Ping|date=2014-01-24|title=Sharp Shafer-Fink type inequalities for Gauss lemniscate functions|url=https://doi.org/10.1186/1029-242X-2014-35|journal=Journal of Inequalities and Applications|volume=2014|issue=1|pages=35|doi=10.1186/1029-242X-2014-35|issn=1029-242X}}</ref> 표시됩니다:

: <math>\mathrm{sl}(\varphi) = \tan\biggl\langle 2\arctan\biggl\{\frac{4}{G}\sin\bigl(\frac{\varphi}{G}\bigr)\sum_{k = 1}^{\infty} \frac{\cosh[(2k-1)\pi]}{\cosh[(2k-1)\pi]^2 - \cos(\varphi/G)^2}\biggr\}\biggr\rangle</math>
: <math>\mathrm{cl}(\varphi) = \tan\biggl\langle 2\arctan\biggl\{\frac{4}{G}\cos\bigl(\frac{\varphi}{G}\bigr)\sum_{k = 1}^{\infty} \frac{\cosh[(2k-1)\pi]}{\cosh[(2k-1)\pi]^2 - \sin(\varphi/G)^2}\biggr\}\biggr\rangle</math>
: <math>[\text{sl}(\varphi)^2 + 1][\text{cl}(\varphi)^2 + 1] = 2 </math>
: <math>\text{ctlh}(\varrho) = \operatorname{cl}(\tfrac{1}{2}\sqrt{2}\varrho)\biggl[\frac{\operatorname{sl}(\tfrac{1}{2}\sqrt{2}\varrho)^2+1}{\operatorname{sl}(\tfrac{1}{2}\sqrt{2}\varrho)^2+\operatorname{cl}(\tfrac{1}{2}\sqrt{2}\varrho)^2}\biggr]^{1/2} </math>
: <math>\text{aclh}(s) = \frac{1}{2}\sqrt{2}\,\pi\,G - \int_{0}^{1} \frac{s}{\sqrt{s^4 t^4 + 1}} \,\mathrm{d}t </math>
: <math>G = \tfrac{1}{2}\sqrt{2\pi}\,\Gamma(\tfrac{3}{4})^{-2} </math>
: <math>
\text{ctlh}\bigl[\tfrac{1}{2}\mathrm{aclh}(s)\bigr]^2 = (2s^2 + 2 + 2\sqrt{s^4 + 1})^{-1/2}(\sqrt{\sqrt{s^4 + 1} + 1} + s)
</math>

문자 G는 [[가우스 상수]]를 나타냅니다.

== 로저스 라마누잔 연속 분수 ==
로저스 라마누잔 (Rogers Ramanujan) 연속 분수는<ref>{{웹 인용|url=https://mathworld.wolfram.com/|제목=Rogers-Ramanujan Continued Fraction|성=Weisstein|이름=Eric W.|언어=en|확인날짜=2022-01-24}}</ref>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 <math>R(z) = z^{1/5} \prod_{n = 1}^{\infty} \frac{(1-z^{5n-1})(1-z^{5n-4})}{(1-z^{5n-2})(1-z^{5n-3})}</math>
: <math>R(z) = \tan\biggl\{\frac{1}{2}\arctan\biggl[\frac{\vartheta_{00}(z^{1/2})^2}{2\vartheta_{00}(z^{5/2})^2} - \frac{1}{2}\biggr]\biggr\}^{2/5} \tan\biggl\{\frac{1}{2}\arccot\biggl[\frac{\vartheta_{00}(z^{1/2})^2}{2\vartheta_{00}(z^{5/2})^2} - \frac{1}{2}\biggr]\biggr\}^{1/5}</math>
: <math>R(z^2) = \tan\biggl\{\frac{1}{2}\arctan\biggl[\frac{\vartheta_{00}(z)^2}{2\vartheta_{00}(z^5)^2} - \frac{1}{2}\biggr]\biggr\}^{2/5} \tan\biggl\{\frac{1}{2}\arccot\biggl[\frac{\vartheta_{00}(z)^2}{2\vartheta_{00}(z^5)^2} - \frac{1}{2}\biggr]\biggr\}^{1/5}</math>
: <math>S(z) = \tan\biggl\{\frac{1}{2}\arctan\biggl[\frac{\vartheta_{00}(z)^2}{2\vartheta_{00}(z^5)^2} - \frac{1}{2}\biggr]\biggr\}^{1/5} \cot\biggl\{\frac{1}{2}\arccot\biggl[\frac{\vartheta_{00}(z)^2}{2\vartheta_{00}(z^5)^2} - \frac{1}{2}\biggr]\biggr\}^{2/5}</math>
: <math>S(z) = \frac{R(z^4)}{R(z^2)R(z)}</math>

이 공식을 기반으로 다음 공식 쌍을 만들 수 있습니다:

: <math>x^5 + x = w</math>
: <math>x = \frac{S\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5}{4}\sqrt[4]{5}\,w)]^2\}\bigr\rangle^2 - R\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5}{4}\sqrt[4]{5}\,w)]^2\}^2\bigr\rangle}{S\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5}{4}\sqrt[4]{5}\,w)]^2\}\bigr\rangle^2} \times</math>
: <math>\times \frac{1 - R\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5}{4}\sqrt[4]{5}\,w)]^2\}^2\bigr\rangle\,S\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5}{4}\sqrt[4]{5}\,w)]^2\}\bigr\rangle}{R\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5}{4}\sqrt[4]{5}\,w)]^2\}^2\bigr\rangle^2} \times</math>
: <math>\times \frac{\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5}{4}\sqrt[4]{5}\,w)]^2\}^5\bigr\rangle\,\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5}{4}\sqrt[4]{5}\,w)]^2\}^{1/5}\bigr\rangle^2 - 5\,\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5}{4}\sqrt[4]{5}\,w)]^2\}^5\bigr\rangle^3}{2\sqrt[4]{20}\,\text{sl}[\tfrac{1}{2}\sqrt{2}\,\text{aclh}(\tfrac{5}{4}\sqrt[4]{5}\,w)]\,\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5}{4}\sqrt[4]{5}\,w)]^2\}\bigr\rangle^3}</math>

첫 번째 계산 예:

: <math>x^5 + x = 3</math>
: <math>x = \frac{S\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15}{4}\sqrt[4]{5})]^2\}\bigr\rangle^2 - R\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15}{4}\sqrt[4]{5})]^2\}^2\bigr\rangle}{S\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15}{4}\sqrt[4]{5})]^2\}\bigr\rangle^2} \times</math>
: <math>\times \frac{1 - R\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15}{4}\sqrt[4]{5})]^2\}^2\bigr\rangle\,S\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15}{4}\sqrt[4]{5})]^2\}\bigr\rangle}{R\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15}{4}\sqrt[4]{5})]^2\}^2\bigr\rangle^2} \times</math>
: <math>\times \frac{\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15}{4}\sqrt[4]{5})]^2\}^5\bigr\rangle\,\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15}{4}\sqrt[4]{5})]^2\}^{1/5}\bigr\rangle^2 - 5\,\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15}{4}\sqrt[4]{5})]^2\}^5\bigr\rangle^3}{2\sqrt[4]{20}\,\text{sl}[\tfrac{1}{2}\sqrt{2}\,\text{aclh}(\tfrac{15}{4}\sqrt[4]{5})]\,\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15}{4}\sqrt[4]{5})]^2\}\bigr\rangle^3}</math><math>q\{\text{ctlh}[\tfrac{1}{2}\text{aclh}(\tfrac{15}{4}\sqrt[4]{5})]^2\} \approx 0.452374059450344348576600264284387826377845763909</math>
: <math>x \approx 1.132997565885065266721141634288532379816526027727</math>

두 번째 계산 예:

: <math>x^5 + x = 7</math>
: <math>x = \frac{S\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35}{4}\sqrt[4]{5})]^2\}\bigr\rangle^2 - R\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35}{4}\sqrt[4]{5})]^2\}^2\bigr\rangle}{S\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35}{4}\sqrt[4]{5})]^2\}\bigr\rangle^2} \times</math>
: <math>\times \frac{1 - R\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35}{4}\sqrt[4]{5})]^2\}^2\bigr\rangle\,S\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35}{4}\sqrt[4]{5})]^2\}\bigr\rangle}{R\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35}{4}\sqrt[4]{5})]^2\}^2\bigr\rangle^2} \times</math>
: <math>\times \frac{\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35}{4}\sqrt[4]{5})]^2\}^5\bigr\rangle\,\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35}{4}\sqrt[4]{5})]^2\}^{1/5}\bigr\rangle^2 - 5\,\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35}{4}\sqrt[4]{5})]^2\}^5\bigr\rangle^3}{2\sqrt[4]{20}\,\text{sl}[\tfrac{1}{2}\sqrt{2}\,\text{aclh}(\tfrac{35}{4}\sqrt[4]{5})]\,\vartheta_{00}\bigl\langle q\{\text{ctlh}[\tfrac{1}{2}\text{aclh}(\tfrac{35}{4}\sqrt[4]{5})]^2\}\bigr\rangle^3}</math><math>q\{\text{ctlh}[\tfrac{1}{2}\text{aclh}(\tfrac{35}{4}\sqrt[4]{5})]^2\} \approx 0.53609630892200161460073096549143569900990236</math>
: <math>x \approx 1.4108138510595771319852918753499397839215989</math>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2년 1월 25일 (화) 05:30 판

네 개의 임계점을 가지는 오차함수의 그래프

오차 방정식(Quintic equation)이란, 최고차항의 차수가 5인 다항 방정식을 뜻한다. 일반적인 형태는

와 같다. 여기에서 는 각각 계수라고 한다. 또한 는 상수항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차수가 홀수인 경우를 기수차라고 하고 짝수인 경우를 우수차라고 하기 때문에, 오차방정식은 기수차 방정식이다. 또한 차수가 소수인 방정식을 기약 방정식이라고 한다.

오차방정식의 근

갈루아아벨은 기하적인 면을 배제하고 계수만 가지고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했다. 반면에 일차, 이차, 삼차, 사차 방정식은 그러한 과정이 가능하다. 이 결과는 아벨-루피니 정리(Abel–Ruffini theorem)로 알려져 있으며 1924년에 최초로 출판되었다.[1] 종종 일반인들은 이 결과가 '5차 방정식을 항상 풀 수 없다' 또는 '5차 방정식은 해가 없다'로 오해하여 받아들이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대수학의 기본 정리(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에 의해 복소수 범위에서 5차방정식의 해는 항상 존재한다. 다만, 그 해를 유한번의 사칙연산과 거듭제곱근으로 표현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마치 자연수를 유한번 이용하여 원주율을 표현할 수 없는 것과 유사하다.

실제적인 문제에서 정확한 해석적 해는 종종 필요없을 때가 있다. 수치적인 근사치로 충분한 경우가 많으며 이를 위해 뉴턴의 방법, Laguerre의 방법, Jenkins-Traub 알고리즘 등 다양한 기법이 알려져 있다.

근과 계수와의 관계

오차방정식 의 다섯 근을 라고 하면, 다항 방정식에서 근과 계수와는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의 관계가 있다.

특히 각 항()에 따른 계수의 출현에 대한 조합개수는 조합경우의 수로 따져 볼 수 있다.

5차방정식에 존재하는 5개의 가상의 근을 라고 하면, 1개씩의 조합의 경우의 수는 ,

2개씩의 조합의 경우의 수는 ,

3개씩의 조합의 경우의 수는 ,

4개씩의 조합의 경우의 수는 ,

이다.

5개씩의 조합의 경우의 수는 ,

이다.

차고차항 압축 정리(취른하우스 변형)

다항 방정식에서 양변의 각 항들을 해당 방정식의 최고차항(차항)의 의 계수, 로 나눈 다음 의 형태로 치환하면 차고차항(최고차항의 바로 아랫차항)을 생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절차로 정리하는 것을 차고차항 압축 정리(zipping)이라 칭한다.

이 과정을 5차방정식에 적용시키면 다음과 같이 된다. 먼저, 최고차항의 계수로 양변을 나눈다.

그리고 y로 치환한다.

그러면, 방정식은

의 꼴로 정리된다. 여기서 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해법이 있는 특수 5차 방정식들

상반방정식 5차 방정식은 차수가 홀수(기수)이므로 우선, 조립제법이나 다항식 장제법으로 의 꼴과 4차 방정식으로 찻수를 낮추어 푼다.

예) : 이 식은 먼저 하나의 해는 무조건 임을 알아야 한다. 이 나올 수 있는 인수는 이므로 조립제법을 통해 남는 인수를 알아낸다. 조립제법을 이용하면 방정식은

가 되고 이 방정식은 짝수차 상반방정식이므로 짝수차의 해법을 이용하여 푼다.

이항방정식

의 꼴은 이항방정식으로 와 근의 계수 를 찾아 5개의 근을 구할 수 있다.

오차방정식의 판별식

오차 방정식의 판별식은 59개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베스터 행렬종결식을 사용한 소행렬식라플라스 전개로 5차방정식의 판별식 유도가 가능하다.

으로 계수를 예약했을때, 실베스터 행렬

브링-제라드 형태

오차 방정식이 오차 항, 선형 항 및 절대 항만 포함하는 경우 이 방정식은 브링-제라드 (Bring-Jerrard) 형식을[2] 갖습니다. 십구 세기 후반에 John Stuart Glashan, George Paxton Young, Carl Runge는 초등함수를 사용하여 항상 풀 수 있는 매개변수화를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이 방정식의 일반적인 해입니다:

이것은 μ = 1 과 ν = 0에 대한 계산 예입니다:

매개변수를 변경하여 다음과 같은 방정식 및 해결책 쌍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해결책 공식은 모든 실수 값 0 < y < 2에 대해 유효합니다.

모듈러 타원 함수를 통한 해결책

다음에서 이 방정식을[3] 일반화합니다:

이 공식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위의 방정식에서 다음 방정식이 생성됩니다: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재정렬될 수 있습니다:

그리스 기호는 테타 야코비 테타 함수를 나타냅니다:

놈 함수은 문자 q로 표시됩니다:

문자 K는 제1종 완전 타원 적분을 나타냅니다:

약어 ctlh 및 aclh로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함수가[4] 표시됩니다:

문자 G는 가우스 상수를 나타냅니다.

로저스 라마누잔 연속 분수

로저스 라마누잔 (Rogers Ramanujan) 연속 분수는[5]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이 공식을 기반으로 다음 공식 쌍을 만들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계산 예:

두 번째 계산 예:

같이 보기

각주

  1. 출처는 영문 위키피디아
  2. Weisstein, Eric W. “Bring-Jerrard Quintic Form” (영어). 2022년 1월 24일에 확인함. 
  3. Brioschi, F. (1858년 12월 1일). “Sulla risoluzione delle equazioni del quinto grado: Hermite — Sur la résolution de l'Équation du cinquiéme degré Comptes rendus —. N. 11. Mars. 1858”. doi:10.1007/bf03197334. 
  4. Deng, Ji-En; Chen, Chao-Ping (2014년 1월 24일). “Sharp Shafer-Fink type inequalities for Gauss lemniscate functions”. 《Journal of Inequalities and Applications》 2014 (1): 35. doi:10.1186/1029-242X-2014-35. ISSN 1029-242X. 
  5. Weisstein, Eric W. “Rogers-Ramanujan Continued Fraction” (영어). 2022년 1월 2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