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이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7번째 줄: 17번째 줄: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주석}}
{{주석}}
* {{저널 인용|제목=K-Theory past and present|이름=Michael|성=Atiyah|저자고리=마이클 아티야|arxiv=math/0012213|bibcode=2000math.....12213A|날짜=2000-12|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K''-theory past and present|이름=Michael|성=Atiyah|저자고리=마이클 아티야|arxiv=math/0012213|bibcode=2000math.....12213A|날짜=2000-12|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18 lectures on K-Theory|이름=Ioannis P.|성=Zois|arxiv=1008.1346|bibcode=2010arXiv1008.1346Z|날짜=2010-08|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18 lectures on ''K''-Theory|이름=Ioannis P.|성=Zois|arxiv=1008.1346|bibcode=2010arXiv1008.1346Z|날짜=2010-08|언어고리=en}}
* {{책 인용|장=Algebraic v. topological K-theory: a friendly match|이름=Guillermo|성=Cortiñas
* {{책 인용|장=Algebraic v. topological ''K''-theory: a friendly match|이름=Guillermo|성=Cortiñas
|제목=Topics in algebraic and topological K-theory|기타=Springer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2008|쪽=103–165|doi=10.1007/978-3-642-15708-0_3|arxiv=0903.3983|bibcode=2009arXiv0903.3983C|isbn=978-3-642-15707-3|출판사=Springer|위치=Berlin|날짜=2011|언어고리=en}}
|제목=Topics in algebraic and topological ''K''-theory|기타=Springer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2008|쪽=103–165|doi=10.1007/978-3-642-15708-0_3|arxiv=0903.3983|bibcode=2009arXiv0903.3983C|isbn=978-3-642-15707-3|출판사=Springer|위치=Berlin|날짜=2011|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K-theory. An elementary introduction|이름=Max|성=Karoubi|arxiv=math/0602082|bibcode=2006math......2082K|날짜=2006-02|언어고리=en}}
* {{ 인용|제목=The K-book: an introduction to algebraic K-theory|이름=Charles A.|성=Weibel|isbn=978-0-8218-9132-2|출판사=American Mathematical Society|위치=Providence, Rhode Island|날짜=2013-05-18|기타=Graduate Studies in Mathematics 145|url=https://math.rutgers.edu/~weibel/Kbook.html|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K''-theory. An elementary introduction|이름=Max|성=Karoubi|arxiv=math/0602082|bibcode=2006math......2082K|날짜=2006-02|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An introduction to ''K''-theory and cyclic cohomology|arxiv=funct-an/9606001|bibcode=1996funct.an..6001B|이름=Jacek|성=Brodzki|날짜=1996|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K-theory for group C*-algebras|arxiv=0908.1066|이름=Paul F.|성=Baum|공저자=Rubén J. Sánchez-García|날짜=2009|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K''-theory in quantum field theory|arxiv=math-ph/0206031|이름=Daniel S.|성=Freed|날짜=2002|bibcode=2002math.ph...6031F|언어고리=en}}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2013년 5월 4일 (토) 13:03 판

수학에서, K이론(K理論, 영어: K-theory)는 위상공간 또는 스킴 위에 존재하는 벡터다발 또는 연접층을 다루는 분야다. 공간에 존재하는 이러한 다발 또는 층의 성질들로부터, 위상공간 또는 스킴의 구조를 알 수 있다.

정의

K이론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모두 어떤 기하학적 대상 위에, 그 위에 존재할 수 있는 벡터다발과 같은 구조들을 다룬다. 이러한 구조들은 (그로텐디크 군을 취하면) 자연스럽게 아벨 군을 이룬다. 이 군들을 K군(K群, 영어: K-group)이라고 하고, 과 같이 쓴다. 여기서 은 다루는 기하학적 대상이고, 은 대략 "다발의 차원"에 해당하는 정수인 지수다. 아벨 군범주로의 펑터를 이룬다.

K이론에는 위상 K이론, 대수 K이론(algebraic K-theory), 연산자 K이론(operator K-theory) 등이 있다. 위상 K이론위상공간 위에 존재하는 벡터다발들을 다룬다. 대수 K이론 위에 존재하는 특정한 호모토피 이론적 구조들을 다룬다. (이는 스킴 이론을 통해, 스킴 위에 존재하는 연접층으로 생각할 수 있다.) 연산자 K이론C* 대수 위에 존재하는 특정한 대수적 구조들을 다룬다. 이는 비가환 기하학을 통해, 비가환 공간 위에 존재하는 "벡터 다발"들로 생각할 수 있다.

역사

K이론은 알렉산더 그로텐디크가 1957년에 리만-로흐 정리를 확장한 그로텐디크-리만-로흐 정리(Grothendieck–Riemann–Roch theorem)를 발표하면서 도입한 것으로 여길 수 있다. "K"는 독일어: Klasse 클라세[*]의 약자로, 특성류(characteristic class)를 뜻한다. 그로텐디크가 창시한 이론은 대수 K이론에서의 에 해당한다.

마이클 아티야프리드리히 히르체브루흐가 1959년에 위상 K이론을 창시하였다.

1973년에 대니얼 퀼런이 고차 대수 K군(, , …)을 정의하였다.[1]

1997년에는 끈 이론D-막들이 K이론으로 분류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참고 문헌

  1. Quillen, Daniel (1973). “Algebraic K-theory, I: Higher K-theories (Proc. Conf., Battelle Memorial Inst., Seattle, Wash., 1972)”. Lecture Notes in Math 341. Berlin, New York: Springer-Verlag: 85–147. doi:10.1007/BFb0067053. ISBN 978-3-540-06434-3. MR 0338129.  |장=이 무시됨 (도움말)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