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이명동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딴이름한소리에서 넘어옴)

음악에서 딴이름한소리 또는 이명동음(異名同音, Enharmonic)은 음의 이름은 다르나 똑같은 소리를 가진다는 뜻이다

정의[편집]

예를 들어, 12평균율 (서양 음악에서 음악 튜닝의 주된 시스템)에서 C♯과 D♭은 음높이가 같은 음, 즉 이명동음이다. 즉, 건반의 동일한 건반이므로 음높이가 동일하지만 하모니와 코드 진행에서 이름과 역할이 다르다.

즉, 두 음의 음이름이 다르지만 음높이가 같은 경우를 이명동음이라고 한다.

다만, 19평균율, 31평균율처럼 이명동음 관계가 12-TET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19평균율에는 C♯과 D♭이 서로 이명동음 관계가 아니며, C♯과 Ddouble flat이 서로 이명동음 관계다.

 { \new Staff \with{ \magnifyStaff #5/4 \omit TimeSignature } \relative c'' { \clef treble \time 5/4 cis2 des} }
예 : 12평균율에서 C♯과 D♭이 이명동음 관계

이명동조[편집]

이명동조(異名同調, Enharmonic key), 혹은 딴이름한소리 조이명동음과 마찬가지로 조성의 이름은 다르나 동일한 음을 내는 조성을 말한다. 이명동조 관계에 해당하는 각각의 으뜸음들이 서로 이명동음 관계다.[1]

다음의 음계는 서로가 이명동음 조성이다.

장조[편집]

단조[편집]

이론적인 조성[편집]

위는 12평균율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그 외의 다른 음률에선 딴이름한소리가 위와 전혀 다를 수 있다.

이명동음 조율[편집]

원칙적으로, 동일한 음을 의미하는 이명동음이라는 단어의 현대 음악 사용은 한 옥타브를 균등하게 나눈 평균율에서만 정확하다. 그러나 다른 음률(예 : 순정률)에서는 이명동음에 가깝게 인지되는 어떤 음들이라도 상당히 구별된다.

피타고라스[편집]

피타고라스 조율에서 모든 음정은 각각 3:2의 주파수 비율을 갖는 적절하게 조율된 완전 5도의 연속에서 생성된다. 시리즈의 첫 번째 음이 시리즈의 13번째 음인 A♭이면 G♯이 더 높다. A♭의 7옥타브(옥타브 = 1대 2의 비율, 7옥타브는 1대 27 = 128)보다 피타고라스 콤마라는 작은 간격으로 표시된다. 이 간격은 수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기타[편집]

  • 이명동조와 관련하여 가독성 혹은 적절한 표기 등을 고려해서 조표 형태의 ·단조 표기 시 일반적으로 내림표, 올림표가 총 7개 이상인 조성을 표기해오지 않았다. 즉 각각 표기가 간단한 이명동조인 올림표, 내림표 총 5개 이내의 조성으로 대체하는 것이었다. 다만, 19, 31평균율 처럼 이명동음 관계가 12평균율과 다른 음률에서는 내림표, 올림표 총 7개 이상의 조성, 그리고 이론적인 조성의 조표를 그대로 사용해야만 할 수 있다. 그 외에 내림표, 올림표가 총 7개 이상인 조성은 이명동조를 사용하지 않을 시 직접적인 조표 형태 대신 간헐적인 임시표 형태로 쓰이는 것이 대부분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예를 들어 12평균율에서 이명동조 관계인 내림라장조올림다장조의 각 으뜸음들인 D♭과 C♯이 서로 이명동음 관계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