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바장조
내림바장조(-長調)는 내림바(F♭)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장음계이다. (이론적인 조성)
다른 언어 이름 | |
---|---|
영어 | F flat major |
독일어 | Fes-dur |
관계조 | |
나란한조 | 내림라단조(이론적) → 이명동조: 올림다단조 |
같은으뜸음조 | 내림바단조(이론적) → 이명동조: 마단조 |
딸림음조 | 내림다장조 |
버금딸림음조 | 겹내림나장조(이론적) → 이명동조: 가장조 |
이명동조 | 마장조 |
구성음 | |
F♭, G♭, A♭, B![]() |
조표에는 내림표가 총 8개(겹내림표 1개, 내림표 6개) 있는 이론적인 조성이다.
일반적으로 이명동조이자 표기가 간단한 마장조를 사용한다. 그러나 19-TET, 31-TET 혹은 순정률처럼 E와 F♭의 음높이가 서로 다른 음률에서는 이 조성을 그대로 사용해야만 할 수 있다.
이 조표가 쓰인 곡으로는 빅토르 에발트의 관악 5중주 제4번(Op. 8)의 3악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