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표

내림표 또는 플랫(flat)은 음악의 기보법에서 음을 반음 내리는 것을 뜻하는 변화표이다. ♭로 표시한다. 조표나 임시표로서 쓰일 수 있다.[1]
조표[편집]
조표로 쓰일 때에는 음자리표의 오른쪽에 한 개 또는 여러 개를 써서 조를 나타낸다. 조표로서 내림표가 쓰이면 악보의 진행 중에 다른 조표가 나타나거나 제자리표로 고치지 않는 한 내림표가 계속 적용된다. 또한 옥타브 위아래의 같은 음에도 내림표가 적용된다.
임시표[편집]
임시표로 쓰일 때에는 음표 머리의 왼쪽에 쓴다. 임시표로서 쓰이면 그 마디 안에서 내림표 이후의 해당 음에 내림표가 적용된다. 옥타브 위아래의 같은 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겹내림표[편집]
겹내림표 또는 더블 플랫(Double Flat)은 음을 온음 내리는 것을 뜻하는 임시표이다. 로 표시한다.
18세기 이전에, 한 마디 내 같은 높이에서 겹내림표가 붙은 음을 반음만큼만 올릴 경우엔 제자리표와 내림표를 나란히(♮♭) 쓰는 경우, 혹은 아예 본래 음으로 되돌릴 경우엔 제자리표 두개가 나란히 붙은 겹제자리표(♮♮)가 쓰이는 원칙도 있었지만, 대략 19세기 이후부턴 더이상 불필요해졌으며 그냥 바로 내림표만(♭)을 쓰거나 한개의 제자리표(♮)를 쓰기도 해왔다.
세겹내림표 이상[편집]
세겹내림표 또는 트리플 플랫(triple flat)은 온음과 반음 내리는 것을 뜻하는 임시표이다. 로 표시한다.[2]
사용례는 극히 드물며, 니콜라이 로슬라베츠의 피아노 소나타 1번, 우스트볼스카야의 피아노 소나타 3번에서 쓰였다.
이론적으로는 네겹 이상의 내림표[3]도 있으나 실례는 전무하며, 웬만해선 쓰일 일도 없다.
반내림표[편집]
미분음 음악에서는 반음보다 좁은 음 간격을 사용하며, 이 때 반음의 절반을 내릴 때 사용한다.
반내림표 또는 하프 플랫(Half flat)은 또는 𝄳로 표기하며, 반음의 절반을 내린다.
3/2 내림표[편집]
3/2 내림표(A sharp-and-a-half)는 로 표기하며, 반음+반의 반음을 내린다.
컴퓨터 부호[편집]
컴퓨터에서 내림표 및 내림표의 여러 변형을 표현하는 문자 코드는 다음과 같다. 'B'(로마자 비)의 소문자인 'b'는 내림표와 비슷하지만 다른 것이다.
표시 | 한국어 이름 | 유니코드 이름 | 유니코드 | 문자 참조 | UTF-8 URL 인코딩 | 설명 | |
---|---|---|---|---|---|---|---|
10진 | 16진 | ||||||
♭ | 내림표 | MUSIC FLAT SIGN | U+266D
|
♭
|
♭
|
%E2%99%AD
|
|
𝄫 | 겹내림표 | MUSICAL SYMBOL DOUBLE FLAT | U+1D12B
|
𝄫
|
𝄫
|
%F0%9D%84%AB
|
표시되지 않으면 그림 ![]() |
𝄬 | MUSICAL SYMBOL FLAT UP | U+1D12C
|
𝄬
|
𝄬
|
%F0%9D%84%AC
|
표시되지 않으면 링크 참고. | |
𝄭 | MUSICAL SYMBOL FLAT DOWN | U+1D12D
|
𝄭
|
𝄭
|
%F0%9D%84%AD
|
표시되지 않으면 링크 참고. | |
𝄳 | MUSICAL SYMBOL QUARTER TONE FLAT | U+1D133
|
𝄳
|
𝄳
|
%F0%9D%84%B3
|
표시되지 않으면 링크 참고.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이 글은 음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