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라단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림라단조
(이론적인 조성)
{ \new Staff \with{ \magnifyStaff #3/2 } << \time 2/16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 \clef treble \key des \minor s16 \clef bass \key des \minor s16 } >> }

{ \new Staff \with{ \magnifyStaff #3/2 } << \time 2/16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 \clef treble \set Staff.keyAlterations = #`((6 . ,FLAT)(2 . ,FLAT)(5 . ,FLAT)(1 . ,FLAT)(4 . ,FLAT)(0 . ,FLAT)(3 . ,FLAT)(6 . ,DOUBLE-FLAT)) s16  ^\markup "" } >> }
다른 언어 이름
영어d flat minor
독일어des-moll
프랑스어le bémol mineur
이탈리아어le bemolle minore
관계조
나란한조내림바장조(이론적)
→ 이명동조: 마장조
같은으뜸음조내림라장조
딸림음조내림가단조
버금딸림음조내림사단조(이론적)
→ 이명동조: 올림바단조
이명동조올림다단조
구성음
D, E, F, G, A, Bdouble flat, C

내림라단조(-短調)는 내림라(D)를 으뜸음으로 하는 이론적인 조성으로, D, E, F, G, A, Bdouble flat, C의 음으로 구성된다. 조표에는 내림표 8개(겹내림표 1개, 내림표 6개)가 있다.

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가락단음계는 다음과 같다.

  {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relative c' {
  \clef treble \key des \minor \time 7/4 des4^\markup { 자연단음계 } es fes ges aes beses ces des ces beses aes ges fes es des2
} }
 {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relative c' {
 \clef treble \key des \minor \time 7/4 des4^\markup { 화성단음계 } es fes ges aes beses c des c beses aes ges fes es des2
} }
 {
\override Score.TimeSignature #'stencil = ##f
\relative c' {
 \accidentalStyle modern \clef treble \key des \minor \time 7/4 des4^\markup { 가락단음계 } es fes ges aes bes! c des ces! beses! aes ges fes es des2
} }


일반적으로 표기가 간단한 이명동음조인 올림다단조를 사용한다. 그러나, 19-TET과 31-TET처럼 C과 D이 서로 다른 음을 내는 음률에선 이 조성이 그대로 사용되기도 한다.

막스 레거의 Supplement to the Theory of Modulation 42~45쪽에 전조되는 형식으로 조표 형태로 사용됐다.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