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라단조
다른 언어 이름 | |
---|---|
영어 | d flat minor |
독일어 | des-moll |
프랑스어 | le bémol mineur |
이탈리아어 | le bemolle minore |
관계조 | |
나란한조 | 내림바장조(이론적) → 이명동조: 마장조 |
같은으뜸음조 | 내림라장조 |
딸림음조 | 내림가단조 |
버금딸림음조 | 내림사단조(이론적) → 이명동조: 올림바단조 |
이명동조 | 올림다단조 |
구성음 | |
D♭, E♭, F♭, G♭, A♭, B![]() |
내림라단조(-短調)는 내림라(D♭)를 으뜸음으로 하는 이론적인 조성으로, D♭, E♭, F♭, G♭, A♭, B, C♭의 음으로 구성된다. 조표에는 내림표 8개(겹내림표 1개, 내림표 6개)가 있다.
자연단음계, 화성단음계, 가락단음계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표기가 간단한 이명동음조인 올림다단조를 사용한다. 그러나, 19-TET과 31-TET처럼 C♯과 D♭이 서로 다른 음을 내는 음률에선 이 조성이 그대로 사용되기도 한다.
막스 레거의 Supplement to the Theory of Modulation 42~45쪽에 전조되는 형식으로 조표 형태로 사용됐다.
각주[편집]
![]() |
이 글은 음악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