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베트남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InternetArchiveBot(토론)의 29028603판 편집을 되돌림: 봇 오작동. 분류는 깨진 링크가 아님.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0 개의 출처 구조, 1 개의 링크를 깨진 것으로 표시) #IABot (v2.0.8
태그: 수동 되돌리기 되돌려진 기여
326번째 줄: 326번째 줄:
{{전거 통제}}
{{전거 통제}}


[[분류:베트남어| ]]
[[분류:베트남어| ]]{{깨진 링크|url=http://naver.nanet.go.kr/SearchDetailView.do?cn=MONO1200518250 }}
[[분류:라오스의 언어]]
[[분류:라오스의 언어]]
[[분류:베트남의 언어]]
[[분류:베트남의 언어]]

2021년 4월 27일 (화) 22:29 판

베트남어
tiếng Việt(IPA: tǐəŋ vìəˀt)
사용 국가 베트남
사용 지역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반도
언어 인구 모국어: 92,477,857 명(2013년)
전체: 97,000,000 명 이상
어순 주어-서술어-목적어 (SVO)
명사-형용사 전치사 사용
순위 11위
문자 로마자 (쯔꾸옥응으)
한자, 쯔놈 (역사적)
언어 계통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파[주해 1]
  비에트므엉어군
   베트남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베트남의 기 베트남
표준 없음
언어 부호
ISO 639-1 vi
ISO 639-2 vie
ISO 639-3 vie 베트남어

베트남어(베트남어: tiếng Việt / 㗂越,띠엥비엣, 영어: Vietnamese language, 문화어: 윁남어) 또는 월남어(越南語)는 베트남의 총 인구 중 약 87%를 차지하는 킨족의 모국어이자 베트남의 공용어이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서 유래하였으나 중국어로부터 음운이나 어휘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베트남의 소수 민족 사이에서도 공용어로 쓰이며 중국이나 이웃 나라의 킨족과, 미국, 프랑스 등지에 사는 재외 베트남인들이 쓰고 있다. 캄보디아에서는 크메르어와 사촌 관계를 가진 언어이자, 소수 언어로서 주로 국경 지역에서 쓰는 편이다.

언어학적 특징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몬크메르어파에는 베트남어 외에도 크메르어, 문다어, 카시어, 므엉어 등이 있다.[1] 최근에는 몬파에 속하는 언어들 가운데에서도 친연관계가 깊은 베트남 북부 고원지대에 살고 있는 므족의 언어인 므엉어, 베트남 중부 통로 주 악센트에서 사용되는 응우온어 등함 오리군으로 분류하기도 한다.[2]

베트남어의 표준어와 방언을 엄밀하게 구분하기는 어려우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 방언(표준어), 후에를 중심으로 한 중부 방언, 호찌민 시를 중심으로 한 남부 방언으로 나뉠 수 있다. 북부 방언은 6성조를 사용하고 음절 끝자음을 분명히 발음하지만, 중부와 남부 방언은 5성조를 사용한다. 베트남어의 표준음은 하노이의 북부 방언을 기초로 하고 있다.[3]

베트남어는 단음절이 하나의 단어가 되며 어미의 변화가 없는 고립어로 주어 동사 목적어 순의 어순을 갖는다. 또한 수식어가 피수식어의 뒤에 놓인다.[3] 예: 다른나라는 대개 금성홍기라고 부르지만 자국은 기홍성금(Cờ đỏ sao vàng,기 붉 별 금)의 순이다. 즉, 금성홍기는 '금성이 있는 홍기'로, 금성이 수식어. 금성은 '금색 별' 즉 금이 수식어. 홍기도 역시 '붉은 기' 결국 처음부터 끝까지 거꾸로다.

음운

자음

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무성음 p [p] t [t] tr [c~ʈʂ] ch [c~tɕ] c/k/q [k]
유기음   th [tʰ] kh [x~kʰ]
마찰음 무성음 ph [f] x [s] s [s~ʂ] h [h]
유성음 v [v] d [z~j] gi [z~j] r [z~ɹ] g/gh [ɣ]
비강음 m [m] n [n] nh [ɲ] ng/ngh [ŋ]
접근음 u/o [w] l [l] y/i [j]
내파음 b [ɓ] đ [ɗ]
북부(하노이)와 남부(호치민/사이공)의 자음 발음이 상이한데, 대표적으로 남부에선 <s>, <r>, <tr>을 [ʂ], [ɹ], [ʈʂ]로 발음하지만, 북부 표준어에선 [s], [z], [c]로 발음한다. 또한, 남부에선 <d>, <gi>, <ge>를 [j]로 자주 발음한다.

모음

베트남어는 비교적 모음이 많다. 아래는 하노이 베트남어의 모음 다이어그램이다.[주해 2]

  전설 중설 후설
고모음 i [i] ư [ɨ] u [u]
상중모음 ê [e] â [ə] / ơ [əː] ô [o]
중하모음 e [ɛ] o [ɔ]
저모음 ă [a] / a [aː]

성조

베트남어에는 6개의 성조(베트남어: thanh điệu)가 있다. 베트남어는 단음절이 단어를 이루는 고립어이기 때문에 같은 발음이라도 성조에 따라 의미가 다르다.

  1. ma : 명사 혼령
  2.  : 부사 그러나, ~이지만, ~하기 위해서
  3.  : 명사 어머니
  4. mả  : 명사 무덤
  5.  : 명사 모양
  6. mạ : 명사 모(벼의 어린 싹)

문자

쯔놈으로 쓰인 문장. 오렌지색 글자는 순월(純越)어소(고유어)이며, 초록색 글자는 한월(漢越)어소이다. →“내 어머니는 매주일 사원에서 늘 채식하신다.”

12세기부터 20세기까지 한월어(漢越語)와 순월어(純越語)가 혼재된 월남어를 중국한자와 월남한자로 병용표기하는 문자체계인 쯔놈(베트남어: chữ Nôm)이 널리 이용되었다. 그러나, 현대 베트남어는 로마자성조를 표시하여 기록하는 꾸옥응으를 사용한다. 꾸옥응으는 17세기 프랑스 선교사 알렉상드르 드 로드가 정리한 로마자 기반의 표기법에서 비롯한 것으로, 20세기 초 프랑스 식민지 시절 《꾸옥응으》(베트남어: Quốc Ngữ / 國語 국어)로 정리되었다.

꾸옥응으의 알파벳 자모는 아래의 표와 같다.

현대 베트남어의 알파벳
대문자 A Ă Â B C D Đ E Ê G H I K L M N O Ô Ơ P Q R S T U Ư V X Y
소문자 a ă â b c d đ e ê g h i k l m n o ô ơ p q r s t u ư v x y

모음에 붙는 기호는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실제 표기에서는 이 기호들 위에 성조의 표시가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 “mắc”(병을 앓다)와 같이 쓰인다. 베트남어는 단음절 마다 띄어쓰고 문장의 처음과 고유명사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문법

베트남어는 고립어로 격이나 성, 수량에 따른 어미변화를 하지 않으며, 조사도 사용하지 않는다. 어순은 주어 동사 목적어 순의 SVO이다.[3] 시제의 변화나 의문등을 표시하기 위해 시제 부사, 의문 부사를 사용하고, 장소 등을 나타내기 위해 전치사를 사용한다. 부사는 동사 앞에 놓이고 일반명사는 분류사 뒤에 놓이며 수식어는 피수식어 뒤에 놓인다.

Con

(껀)

chó

(쩌)

này

(나이)

chẳng

(짱)

bao giờ

(바오 저)

sủa

(수어)

cả.

(까)

동물을 나타내는 분류사 이(것) 부정 부사 언제(나) 짖다 전부
이 개는 결코 짖지 않는다.
Khi

(키)

chết

(쩻)

một

(못)

người

(응어이)

không còn

(콤 껀)

hiện hữu

(히엔 흐우)

nữa

(느어)

때를 나타내는 부사절 접속사 죽다 한 (영어의 부정관사와 비슷) 사람 더는 ~하지 않다 (뒤에 nữa와 호응) 존재하다
죽으면, 사람은 더는 존재하지 않는다.

나라 표기

나라 이름 베트남어 표기 음역
인도 Ấn Độ 언도
이집트 Ai Cập 아이껍
폴란드 Ba Lan 바란
오스트리아 Áo 아오
벨기에 Bỉ
포르투갈 Bồ Đào Nha 보다오냐
덴마크 Đan Mạch 단마익
독일 Đức
네덜란드 Hà Lan 하란
그리스 Hy Lạp 히랍
라오스 Lào 라오
리투아니아 Litva 릿바
노르웨이 Na Uy 나위
러시아 Nga 응아
핀란드 Phần Lan 펀란
체코 Séc
키프로스 Síp
스페인 Tây Ban Nha 떠이반냐
터키 Thổ Nhĩ Kỳ 토니끼
스웨덴 Thụy Điển 투이디엔
스위스 Thụy Sĩ 투이시
중국 Trung Quốc 쭘꾸옥
오스트레일리아 Úc
이탈리아 Ý

10만명 이상이 베트남어를 사용하는 국가 지역 (사용자수 순)

  • 베트남의 기 베트남 (약 9200만 명)
  • 미국의 기 미국 (약 220만 명의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약 40만 명의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 프랑스의 기 프랑스 (약 30만 명의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 캐나다의 기 캐나다 (약 25만 명의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 대만의 기 대만 (약 23만 명의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 라오스의 기 라오스 (약 15만 명의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 캄보디아의 기 캄보디아 (약 15만 명의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 독일의 기 독일 (약 13만 명의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약 11만 명의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출제된다.)
  •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약 10만 명의 베트남 디아스포라가 사용하며, 공식 언어는 아니다.)

같이 보기

주해

  1. 위와 같은 분류에 대해서 논란은 있으나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2. 베트남어 모음 다이어그램에는 이설이 있는데 톰슨(1965년)은 아래와 같이 분류하였다.
    전설 중설 후설
    비원순모음 원순모음
    폐모음 i [i] ư [ɯ] u [u]
    반폐모음 ê [e] ơ [ɤ] ô [o]
    반개모음 e [ɛ] â [ʌ] o [ɔ]
    개모음 a [a] ă [ɐ]

각주

  1. Sidwell, Paul, and Roger Blench. 2011. "The Austroasiatic Urheimat: the Southeastern Riverine Hypothesis.", Parts IV Origins and diversification: the case of Austroasiatic groups Enfield, N.J. (ed.) Dynamics of Human Diversity, 317-345.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2. "Mon–Khmer languages: The Vietic branch". SEAlang Projects. Retrieved November 8, 2006.
  3. 김기태, 〈베트남어 개설〉, 《기초 베트남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ISBN 978-89-7464-022-4

외부 링크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