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P-리보실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DP-리보스의 구조

ADP-리보실화(영어: ADP-ribosylation)는 단백질에 하나 이상의 ADP-리보스 부분을 참가하는 것이다.[1][2] ADP-리보실화는 세포 신호전달, DNA 복구, 유전자 발현의 조절세포 사멸을 포함한 다양한 세포 과정에 관여하는 가역적인 번역 후 변형 과정이다.[3][4] 부적절한 ADP-리보실화는 암의 일부 형태와 관련이 있다.[5] 또한 콜레라 독소, 디프테리아 독소 등과 같은 세균성 화합물의 독성과 관련이 있다.[6]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Belenky P, Bogan KL, Brenner C (2007). “NAD+ metabolism in health and disease” (PDF). 《Trends Biochem. Sci.》 32 (1): 12–9. doi:10.1016/j.tibs.2006.11.006. PMID 17161604. 
  2. Ziegler M (2000). “New functions of a long-known molecule. Emerging roles of NAD in cellular signaling”. 《Eur. J. Biochem.》 267 (6): 1550–64. doi:10.1046/j.1432-1327.2000.01187.x. PMID 10712584. 
  3. Berger F, Ramírez-Hernández MH, Ziegler M (2004). “The new life of a centenarian: signalling functions of NAD(P)”. 《Trends Biochem. Sci.》 29 (3): 111–8. doi:10.1016/j.tibs.2004.01.007. PMID 15003268. 
  4. Corda D, Di Girolamo M (2003). “NEW EMBO MEMBER'S REVIEW: Functional aspects of protein mono-ADP-ribosylation”. 《EMBO J.》 22 (9): 1953–8. doi:10.1093/emboj/cdg209. PMC 156081. PMID 12727863. 
  5. Scarpa ES, Fabrizio G, Di Girolamo M (2013). “. A role in intracellular mono-ADP-ribosylation in cancer biology”. 《FEBS Journal》 280 (15): 3551–3562. doi:10.1111/febs.12290. PMID 23590234. 
  6. Krueger, KM; Barbieri, JT (January 1995). “The family of bacterial ADP-ribosylating exotoxins.”.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8 (1): 34–47. doi:10.1128/CMR.8.1.34. PMC 172848. PMID 7704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