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FIFA 클럽 월드컵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 | |
---|---|
FIFA クラブ ワールドカップ 2007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12월 7일 ~ 12월 16일 |
참가팀 | 7개 클럽 (6개 대륙) |
경기장 | 3 (3개 도시)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통계 | |
총 경기 | 7경기 |
총 득점 | 21골 (경기당 3골) |
총 관중 | 315,279명 (경기당 45,040명) |
« 2006 2008 » |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영어: 2007 FIFA Club World Cup, 일본어: FIFA クラブ ワールドカップ 2007)은 기존에 참가하던 각 대륙연맹 챔피언 외에 개최국인 일본축구협회 소속 클럽의 참가를 추가로 허용하면서, 모두 7개팀이 경기하게 되었다. 올해부터 신설된 플레이오프부터 3·4위전과 결승전까지 총 7경기를 치르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12월 7일 세파한 FC와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의 플레이오프로 시작했으며 12월 16일 결승전이 열렸다.
상금은 2006년 대회에 비해 100만 달러가 늘어난 총 1,600만 달러가 걸려 있는데, 우승 팀 500만 달러, 준우승 팀 400만 달러, 3위 팀 250만 달러, 4위 팀 200만 달러, 5, 6위 팀 각 100만 달러, 7위 팀 50만 달러이다.
출전 팀[편집]
이 대회부터 출전 팀 수가 기존의 6개에서 개최국 팀을 포함한 7개로 확대되었다. 다만, 같은 국가의 축구협회에 소속된 팀의 중복 참가는 불허하는 규정이 추가되었다. 만약 개최국의 축구협회에 소속된 팀이 대륙별 클럽 대항전에서 우승하는 경우 그 팀이 대륙별 클럽 대항전 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하는 것을 인정하는 대신 그 대륙별 클럽 대항전에서 개최국의 축구협회에 소속된 팀을 제외한 팀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팀이 개최국 대표로 참가하는 팀을 대신하여 참가하게 된다.
2007년 J리그 디비전 1에서 가시마 앤틀러스가 우승하여 본래대로라면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하여 뉴질랜드의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와 플레이오프에서 대결할 예정이었으나, 2007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우라와 레즈가 우승함에 따라 개최국 팀의 중복 참가 불허 규정이 적용되어 AFC 챔피언스리그 2007 준우승팀인 이란의 세파한이 대타로 참가하게 되었다.
팀명 | 소속 연맹 | 자격 | 출전 횟수 |
---|---|---|---|
준결승전 자동 진출 | |||
![]() |
남미 축구 연맹 | 200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 1번째 출전 |
![]() |
유럽 축구 연맹 | 2006-07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준준결승전 자동 진출 | |||
![]() |
아시아 축구 연맹 | 2007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 |
아프리카 축구 연맹 | 2007년 CAF 챔피언스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 2007년 CONCACAF 챔피언스컵 우승 | 1번째 출전 |
준준결승전 진출팀 결정전 진출 | |||
![]() |
아시아 축구 연맹[1] | 2007년 AFC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 1번째 출전 |
![]()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 2007년 OFC 챔피언스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경기 결과[편집]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JST/UTC+9)을 따름.
플레이오프 | 준준결승전 | 준결승 | 결승 | |||||||||||
12월 10일 - 도요타 | ||||||||||||||
![]() | 1 | |||||||||||||
12월 7일 - 도쿄 | ||||||||||||||
![]() | 3 | |||||||||||||
![]() | 3 | |||||||||||||
12월 13일 - 요코하마 | ||||||||||||||
![]() | 1 | |||||||||||||
![]() | 0 | |||||||||||||
![]() | 1 | |||||||||||||
12월 16일 - 요코하마 | ||||||||||||||
![]() | 4 | |||||||||||||
![]() | 2 | |||||||||||||
12월 9일 - 도쿄 | ||||||||||||||
![]() | 1 | |||||||||||||
![]() | 0 | |||||||||||||
12월 12일 - 도쿄 | ||||||||||||||
![]() | 0 | |||||||||||||
![]() | 1 | 3위 결정전 | ||||||||||||
12월 16일 - 요코하마 | ||||||||||||||
![]() | 2 (4) | |||||||||||||
![]() | 2 (2) | |||||||||||||
플레이오프[편집]
2007년 12월 7일 19:45 | ||||||
세파한 ![]() |
3 – 1 | ![]() |
국립경기장, 도쿄 관중: 24,788 심판: 마르코 안토니오 로드리게스 ![]() | |||
에마드 모하메드 ![]() ![]() 압둘 와하브 ![]() |
리포트 | 아길리 ![]() | ||||
준준결승전[편집]
2007년 12월 9일 14:45 | ||||||
에투알 뒤 사엘 ![]() |
1 – 0 | ![]() |
국립경기장, 도쿄 관중: 34,934 심판: 마크 실드 ![]() | |||
나리 ![]() |
리포트 | |||||
2007년 12월 10일 19:30 | ||||||
세파한 ![]() |
1 – 3 | ![]()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 관중: 33,263 심판: 코피 코지아 ![]() | |||
카리미 ![]() |
리포트 | 나가이 ![]() 와싱통 ![]() 아길리 ![]() | ||||
준결승전[편집]
2007년 12월 12일 19:30 | ||||||
에투알 뒤 사엘 ![]() |
0 – 1 | ![]() |
국립경기장, 도쿄 관중: 37,255 심판: 클라우스 보 라르센 ![]() | |||
리포트 | 카르도소 ![]() | |||||
2007년 12월 13일 19:30 | ||||||
우라와 레즈 ![]() |
0 – 1 | ![]() |
국제종합경기장, 요코하마 관중: 67,005 심판: 호르헤 라리온다 ![]() | |||
리포트 | 세이도르프 ![]() | |||||
3·4위전[편집]
2007년 12월 16일 16:00 | ||||||
에투알 뒤 사엘 ![]() |
2 – 2 | ![]() |
국제종합경기장, 요코하마 관중: 53,363 심판: 피터 오릴리 ![]() | |||
벤 프레지 ![]() 체르미티 ![]() |
와싱통 ![]() ![]() | |||||
승부차기 | ||||||
![]() ![]() ![]() ![]() |
2 – 4 | ![]() ![]() ![]() ![]() |
||||
결승전[편집]
2007년 12월 16일 19:30 | ||||||
보카 주니어스 ![]() |
2 – 4 | ![]() |
국제종합경기장, 요코하마 관중: 68,263 심판: 마르코 안토니오 로드리게스 ![]() | |||
팔라시오 ![]() 암브로시니 ![]() |
인차기 ![]() ![]() 네스타 ![]() 카카 ![]() | |||||
우승 팀[편집]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 우승 |
---|
![]() |
AC 밀란 1번째 우승 |
득점 선수[편집]
|
|
최종 순위[편집]
# | 팀 | 나라 | 대륙 |
---|---|---|---|
1 | AC 밀란 | ![]() |
UEFA |
2 | 보카 주니어스 | ![]() |
CONMEBOL |
3 | 우라와 레즈 | ![]() |
AFC |
4 | 에투알 뒤 사엘 | ![]() |
CAF |
5 | 세파한 | ![]() |
AFC |
6 | 파추카 | ![]() |
CONCACAF |
7 |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 | ![]() |
OFC |
토너먼트 수상[편집]
골든볼 | 실버볼 | 브론즈볼 |
---|---|---|
![]() (밀란) |
![]() (밀란) |
![]() (보카 주니어스) |
페어 플레이 팀 | ![]() |
---|
각주[편집]
- ↑ 우라와 레즈가 2007년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하면서 이 대회에서 비일본팀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이란의 세파한이 개최국에 배정된 자격으로 참가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