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FIFA 클럽 월드컵
2010년 FIFA 클럽 월드컵 | |
---|---|
كأس العالم للأندية لكرة القدم 2010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12월 8일 ~ 12월 18일 |
참가팀 | 7개 클럽 (6개 대륙) |
경기장 | 2 (2개 도시)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통계 | |
총 경기 | 8경기 |
총 득점 | 27골 (경기당 3.38골) |
총 관중 | 200,251명 (경기당 25,031명) |
« 2009 2011 » |
2010년 FIFA 클럽 월드컵(영어: 2010 FIFA Club World Cup, 아랍어: كأس العالم للأندية لكرة القدم 2010)은 2010년 12월 8일부터 12월 18일까지 아랍에미리트에서 개최됐다. FIFA 클럽 월드컵은 이 대회로 7회째를 맞이했다.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가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출전 팀[편집]
팀명 | 소속 연맹 | 자격 | 출전 횟수 (이전 참가 대회) |
---|---|---|---|
준결승전 자동 진출 | |||
![]() |
남미 축구 연맹 | 2010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 2번째 출전 (2006년) |
![]() |
유럽 축구 연맹 | 2009-10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준준결승전 자동 진출 | |||
![]() |
아시아 축구 연맹 | 2010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 |
아프리카 축구 연맹 | 2010년 CAF 챔피언스리그 우승 | 2번째 출전 (2009년) |
![]()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 2009-10년 CONCACAF 챔피언스리그 우승 | 3번째 출전 (2007년, 2008년) |
준준결승전 진출팀 결정전 진출 | |||
![]()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 2009-10년 OFC 챔피언스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 |
개최국 | 2009-10년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아부다비 | |
---|---|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 셰이크 자예드 경기장 |
수용 인원: 42,056 | 수용 인원: 49,500 |
![]() |
![]() |
경기 결과[편집]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에 따라 승부를 결정한다.
- 플레이오프, 준준결승전, 준결승전, 결승전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연장전을 통해 승부를 결정한다. 연장전에서도 양 팀이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승부차기를 통해 승부를 결정한다.
- 5·6위전, 3·4위전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를 실시한다.
플레이오프 |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12월 8일 - 아부다비 | ||||||||||||||
![]() |
0 | 12월 11일 - 아부다비 | ||||||||||||
![]() |
3 | ![]() |
1 | |||||||||||
12월 16일 - 아부다비 | ||||||||||||||
![]() |
4 | |||||||||||||
![]() |
0 | |||||||||||||
![]() |
3 | |||||||||||||
12월 19일 - 아부다비 | ||||||||||||||
![]() |
3 | |||||||||||||
12월 10일 - 아부다비 | ||||||||||||||
![]() |
0 | |||||||||||||
![]() |
1 | |||||||||||||
12월 15일 - 아부다비 | ||||||||||||||
![]() |
0 | |||||||||||||
![]() |
2 | |||||||||||||
5위 결정전 | 3위 결정전 | |||||||||||||
![]() |
0 | |||||||||||||
![]() |
2 (2) | ![]() |
2 | |||||||||||
![]() |
2 (4) | ![]() |
4 | |||||||||||
12월 15일 - 아부다비 | 12월 19일 - 아부다비 |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4)을 따름.
플레이오프[편집]
2010년 12월 8일 20:00 | ||||||
알와흐다 ![]() |
3 – 0 | ![]() |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 23,895 심판: 대니얼 베넷 ![]() | |||
우구 ![]() 바이아누 ![]() 주마 ![]() |
||||||
준준결승전[편집]
2010년 12월 10일 20:00 | ||||||
TP 마젬베 ![]() |
1 – 0 | ![]() |
모하메드 빈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 17,960 심판: 니시무라 유이치 ![]() | |||
베디 ![]() |
||||||
2010년 12월 11일 20:00 | ||||||
알와흐다 ![]() |
1 – 4 | ![]() |
셰이크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 30,625 심판: 빅토르 우고 카리요 ![]() | |||
바이아누 ![]() |
몰리나 ![]() 오그네노브스키 ![]() 최성국 ![]() 조동건 ![]() | |||||
5·6위전[편집]
2010년 12월 15일 18:00 | ||||||
알와흐다 ![]() |
2 – 2 | ![]() |
셰이크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 10,908 심판: 대니얼 베넷 ![]() | |||
마타르 ![]() 카메스 ![]() |
크비타니치 ![]() ![]() | |||||
승부차기 | ||||||
크비타니치 ![]() 로페스 ![]() 무뇨스 무스타파 ![]() 루나 ![]() |
4 – 2 | ![]() ![]() ![]() ![]() |
||||
준결승전[편집]
2010년 12월 15일 20:00 | ||||||
TP 마젬베 ![]() |
2 – 0 | ![]() |
셰이크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 22,131 심판: 비외른 카위퍼르스 ![]() | |||
카방구 ![]() 칼루이투카 ![]() |
||||||
2010년 12월 16일 21:00 | ||||||
성남 일화 천마 ![]() |
0 – 3 | ![]() |
셰이크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 35,995 심판: 로베르토 모레노 ![]() | |||
스탄코비치 ![]() 사네티 ![]() 밀리토 ![]() | ||||||
3・4위전[편집]
2010년 12월 18일 18:00 | ||||||
인테르나시오나우 ![]() |
4 – 2 | ![]() |
셰이크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 16,563 심판: 마이클 헤스터 ![]() | |||
칭가 ![]() 알렉산드루 ![]() ![]() 달레산드로 ![]() |
몰리나 ![]() ![]() | |||||
결승전[편집]
2010년 12월 18일 21:00 | ||||||
TP 마젬베 ![]() |
0 – 3 | ![]() |
셰이크 자예드 경기장, 아부다비 관중: 42,174 심판: 니시무라 유이치 ![]() | |||
판데프 ![]() 에토 ![]() 비아비아니 ![]() | ||||||
우승 팀[편집]
2010년 FIFA 클럽 월드컵 우승 |
---|
![]() |
인테르나치오날레 1번째 우승 |
수상[편집]
골든볼 | 실버볼 | 브론즈볼 |
---|---|---|
![]() (인테르나치오날레) |
![]() (TP 마젬베) |
![]() (인테르나시오나우) |
페어플레이 팀 | ![]() |
---|
득점 선수[편집]
|
|
최종 순위[편집]
순위 | 팀 | 나라 | 소속 연맹 |
---|---|---|---|
1 | 인테르나치오날레 | ![]() |
유럽 축구 연맹 (UEFA) |
2 | TP 마젬베 | ![]()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
3 | 인테르나시오나우 | ![]() |
남미 축구 연맹 (CONMEBOL) |
4 | 성남 일화 천마 | ![]()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5 | 파추카 | ![]()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
6 | 알와흐다 | ![]() |
개최국 |
7 | 헤카리 유나이티드 | ![]()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OF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