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1 대 100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3.246.73.82 (토론)님의 2016년 10월 17일 (월) 18:00 판
1 대 100
1 VS 100
장르 연예 · 오락
방송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2TV
방송 기간 2007년 5월 1일 ~ 현재
방송 시간 매주 화요일 밤 8:55 ~ 10:00
방송 분량 60분
방송 횟수 456회 (2016년 10월 25일 기준)
원작 엔데몰 - 1 VS. 100
프로듀서 이황선
연출 양기선, 이선민, 손자연
각본 김형순, 이경하, 양혜윤, 최은숙, 반효실, 김지원
출연자 조충현(MC)
음성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데이터 방송 시청자 동시 문제 풀기 제공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KBS 1 대 100 홈페이지

비고:
KBS 홈페이지 인터넷 실시간 시청 및 다시보기 미지원(2015년 5월 26일 방송분부터는 4주간 다시보기 가능)
(DMB 채널 U-KBS HEART로 시청 가능)
해외 프로그램과 포맷 계약

1 대 100》(1 VS. 100)은 매주 화요일 밤 8시 55분에 KBS 2TV로 방송되는 퀴즈 프로그램이다.

개요

우리나라 《1 대 100》은 네덜란드의 TV 프로그램 제작 업체 엔데몰 사의 《1 VS. 100》의 프로그램 포맷을 구입해 방송하고 있다.[1] 현재 미국 NBC사 또한 엔데몰 사로부터 프로그램 포맷을 구입하여 《1 VS. 100》이라는 동명의 제목으로 프로그램을 2011년까지 방영했다. 방송 초기에는 이러한 사실이 잘 알려지지 않아, 《1 대 100》은 미국 NBC 방송국의 《1 VS. 100》과의 표절 시비가 일었다가 KBS 2TV에서 미리 판권을 구입해 놓고 방송을 시작했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면서[1] 표절 시비는 종결되었다.

방송 시간

※ 2015년 KBS 부분 개편에 따라 변경된 방송 시간은 2015년 1월 6일을 기준으로 한다.

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BS 2TV 2007년 5월 1일 ~ 2008년 3월 25일 매주 화요일 밤 8:50 ~ 9:55 (65분)
2009년 10월 20일 ~ 2010년 5월 4일
2012년 2월 28일 ~ 2012년 10월 2일
2008년 4월 1일 ~ 2009년 4월 14일 매주 화요일 밤 8:55 ~ 10:00 (65분)
2011년 11월 8일 ~ 2012년 2월 21일
2013년 8월 20일 ~ 2014년 10월 28일
2015년 1월 6일 ~ 현재
2009년 4월 21일 ~ 2009년 10월 13일 매주 화요일 밤 9:00 ~ 9:55 (55분)
2010년 5월 11일 ~ 2011년 11월 1일 매주 화요일 밤 8:50 ~ 9:50 (60분)
2014년 11월 4일 ~ 2014년 11월 11일
2012년 10월 16일 ~ 2013년 8월 13일 매주 화요일 밤 8:50 ~ 10:00 (70분)
2014년 11월 18일 ~ 2014년 12월 30일

역대 MC

현재 MC는 2016년 8월 30일을 기준으로 한다.

역대 진행자 방송 기간 진행 기간
1대 김용만 2007년 5월 1일 ~ 2008년 5월 13일 1년
2대 손범수 2008년 5월 20일 ~ 2012년 4월 24일 3년 11개월
3대 한석준 2012년 5월 1일 ~ 2014년 12월 30일 2년 7개월
4대 조우종 2015년 1월 6일 ~ 2016년 8월 23일 1년 7개월
5대 조충현 2016년 8월 30일 ~ 2개월

신청 방법

  1. 1대 100 홈페이지에 들어간 후 1인 참가하기 탭을 눌러 신청 후 정해진 시간에 예심 신청을 하고 온라인 예심에 들어간 후 방송 직후 예심을 봐서 통과를 하면 1인 또는 100인으로 참여가 가능하다. http://yesim.kbs.co.kr/ 에 들어가면 더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다.(예심에 참가하려면 KBS아이디가 있어야 한다.)
  2. 그룹으로 참가하게 되는 경우 그룹 참가하기 신청을 하면 된다.
  3. 상금이 걸려있는 퀴즈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만 20세 이상부터 참가 가능하다. (2015년 기준으로 최고 적립금은 2,447만원(52회), 최저 적립금은 9만원(11회)이다.)
  4. 최후의 1인이 되지 못했다면 녹화 후에도 재신청이 가능하며, 녹화 참가는 5개월 후에야 가능하다.
  5. 390회 방송분부터 최후의 1인들은 '최후의 1인 리턴즈' 그룹으로 참여할 수 있다.

진행 방식

  1. 1인 도전자와 100인이 총 12단계(기존 11단계)의 문제를 풀며 누적 상금은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초창기에는 문제를 풀기 전에 분야를 고르는 과정이 있었다.)
  2. 모든 문제는 3지선다 객관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100인의 오답자를 기준으로 각각의 단계마다 상금이 계산이 된다. 100인의 오답자(빨간색 불이 들어온다)는 다음 1인이 나올 때까지 문제를 풀 권한을 박탈 당하게 된다.[2]
  3. 문제를 맞힌 1인은 자기 의사와 상관 없이 계속 제시되는 문제를 풀어야 한다.(16회까지는 자기 의사에 따라 적립되어 있던 금액을 가져갈 수 있었으며, 1인이 떨어질 경우에는 남은 100인들이 적립된 상금을 나눠 갖는다.)
  4. 1인이 모든 100인을 물리치고 모든 문제를 맞혔을 경우, 남은 문제와 적립금에 상관없이 도전자 1인에게 5,0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5. 1인이 도중에 떨어질 시 적립된 최종 상금을 두고 남은 100명의 생존자들이 대결해서 최후의 1인이 나오거나 전멸할 때까지 대결을 벌인다.
  6. 만약 1인이 최종 문제까지 다 풀었는데도 100인 중에 1명이라도 생존해 있을 경우에는 승부가 날 때까지 연장전을 벌인다.[3]

거꾸로 문제

보통 낮은단계에서 많이 나오며 다른 문제와는 달리 보기부터 먼저 보여준다. 1인과 100인이 문제를 유추하는 시간을 가진 후에 문제를 출제하며 간혹 1인 또는 100인이 문제내용을 유사하게 맞히는 경우가 있다.

플러스 문제

106회(2009년 6월 2일)부터 신설. 4개의 문장이 주어질 때 네모에 들어갈 단어를 맞힌 후 문제를 풀며 맞힌 단어는 문제로 나갈 때 힌트가 된다. 4개의 네모를 단 하나도 못 채워도 문제를 풀 수 있는 자격은 주어지지만 그 경우에는 찍기나 찬스 등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

찬스

  • 도전자는 퀴즈를 푸는 도중 "100인의 답", "2인의 답", "1인의 답" 3개 찬스 중에서 두 개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한 문제에서 중복 사용도 가능하다.
  • 중간에 떨어질 경우 남은 찬스는 모두 소멸된다.(54회에서 59회까지는 1인이 찬스를 쓰지 못하고 떨어지면, 1인 승계자가 남은 찬스를 사용할 수 있다.)[4]

현재 진행형식 찬스

  • 100인의 답
이 찬스는 보통 1인이 4,5단계에서 많이 쓰며 100인이 고른 답의 분포를 보여준다. 보통 대다수가 고른 답이 맞을 확률이 높지만, 극소수가 고른 답이 맞을 때도 종종 있다.
  • 2인의 답
2인의 답은 각각 1명의 정답자와 오답자를 골라주기 때문에 정답확률을 50% 높여주는 찬스이다. 이때, 임의로 선택된 2인은 자신이 고른 답을 말한 다음 그 답을 고른 이유를 1인에게 말한다. 이 찬스는 다른 찬스와 비교해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 2인의 답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게임 도중 경우에 따라 2인의 답을 사용할 수 없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경우는 크게 2가지가 있다.
  • 탈락하지 않은 100인들 중에서 모두 1개의 답으로 만장일치되거나 정답을 고른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ex.13회 강연식, 34회 양성욱, 123회 김효진, 134회 김지선 편, 237회 김원효 편 참고). 이러한 경우 도전자 1인은 답이 한쪽으로 몰린다는 것 자체를 아는 것이 찬스가 될 수 있으므로 2인의 답을 제외한 다른 찬스를 사용해야 한다.
  • 1 대 1 대결(100인 생존자가 1명만 남았을 때)인 경우도 사용할 수 없다.(ex. 116회 박준규 편 참고)
  • 1인의 답/전화찬스
1인의 답은 1인 도전자가 생존한 100인 중에서 1명을 직접 지목하여, 1인 도전자가 지목한 사람의 답을 볼 수 있으며 지목 당한 사람은 그 답을 고른 이유를 1인에게 말한다. 이때 지목 당한 사람의 답의 정답여부는 알 수 없다.
  • 이전에는 1인이 선택한 100인 외의 다른 사람을 지정해 인터넷 전화로 답을 물어보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142회 천하무적 야구단 특집에 서포터의 답, 149회 전기의 날 특집 방송분에서 지인의 답으로 잠시 부활>

옛날 찬스

  • 나와 같은 답(2007년 5월 1일~2007년 6월 19일)

초창기 1대100의 찬스로 1인이 선택한 보기와 같은 사람들의 불이 들어오며 1인은 같은 답을 고른 사람에게 질문을 한 다음 자유롭게 답을 선택할 수 있다.

  • 다수의 답(2007년 5월 1일~2008년 4월 14일)

초창기 1대100의 찬스로서 다수의 답을 선택한 보기에 빨간 불이 들어오며(정답 분포도는 없었음), 만약에 많이 고른 답이 2개 이상 똑같을 때는 허용이 되지 않는다. 후에 100명의 답으로 형식이 바뀌었다.

  • 우승자의 답(5000만원의 답)(2007년 6월 12일~2008년 1월 22일)
  • 옛날에 존재했던 찬스로서 1대 우승자 정영진, 2대 우승자 이욱륜, 3대 우승자 김준겸 씨가 전화로 1인에게 도움을 주었던 찬스였으며 가끔 전혀 도움이 안 될 때도 있었다.
  • 현재는 존재하지 않지만 특집때마다 가끔 나오는 찬스다.
  • 1주년 특집(51,52회)에서는 스튜디오에 있는 1~4대 우승자 가운데서 한 명을 지목해서 답을 들을 수 있었다.

특집에서 사용된 찬스

  • 2010년 2월 2일 140회(강한남자 특집) 방송분에서는 100명의 답을 남자들의 답, 2명의 답을 두 남자의 답으로 이름을 살짝 바꾸었으며 우승자의 답이 남보원의 답(개그맨 황현희(9대 우승자)에게 전화로 답을 얻는 찬스)으로 잠시 부활 하기도 하였다.
  • 2010년 2월 15일 (천하무적 야구단 특집) 방송분에서는 100명의 답을 최강예심의 답(예심 통과자의 정답분포확인)과 천하무적의 답(천하무적 야구단의 선수단과 관련 스태프의 정답분포확인)으로 분리하였고 2명의 답을 라이벌의 답(천하무적 야구단 1명, 예심통과자 1명 선택)으로 변형했으며 서포터의 답에서는 배우 오지호에게 전화로 답을 얻는 찬스로 변형 하였다.
  • 200회 특집(2011년 5월 10일)에는 엄태웅에게 전화찬스가 가능했다.
  • 2011년 12월 20일 227회(크리스마스 특집) 방송분에 전화 대신 14명의 우승자 중 1명(9대 우승자 황현희)이 직접 정답을 말해주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 2012년 9월 25일 264회 (개그콘서트 특집) 방송분에 1인의 답 대신 직접 100인으로 가 있는 황현희 씨나 박지선 씨 가운데서 한 명에게 답을 물어볼 수 있다. 이 둘이 먼저 떨어져도 사용 가능하다.
  • 2013년 7월 2일 300회 방송분에 1인의 답 대신 지인에게 전화를 걸어서 답을 물어볼 수 있는 형식으로 부활되었으며, 3인 출연자들이 각각 한 명씩 지목해서 답을 들어볼 수 있는 3인의 답도 임시 신설되었다.
  • 2013년 9월 17일 추석특집 방송분에서 가족들에게 답을 물어볼 수 있는 형식으로 부활되었다.

라스트 맨 스탠딩

《1 대 100》은 16회까지 도전자 1인이 상금을 의사에 따라 가져갈 수 있었다가(단,12~14회는 제외) 17회부터는 〈라스트 맨 스탠딩(Last Man Standing)이라는 규칙을 적용했다. 기존 방식과는 크게 차이가 없으나, 도전자 1인은 계속 의사와 상관없이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점, 기존 도전자 1인 탈락시 살아남은 100인이 상금을 나누어 가졌던 것이 살아남은 100명의 경쟁을 벌이는 점이 크게 바뀌었다.[5]

1인 승계 형식

54회부터 59회까지는 1인 승계제 형식으로 1인 출연자가 도중에 떨어질 경우에는 남은 생존자 100인 가운데서 한 명을 추첨해서 그 한 명이 1인의 자리에서 문제를 푸는 형식이다. 만약에 찬스가 남아 있다면 찬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승계자 1인이 도중 떨어지면 다시 추첨으로 한 명을 선정한다.(만약에 2명이 남을 경우에는 라스트맨 스탠딩 형식으로 대체)

더블 찬스

  • 38회부터 42회까지는 1인이 떨어진 뒤 살아남은 100인의 대결 끝에 승리한 최후의 1인 상금이 1000만원 미만일 경우에는 더블찬스 문제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며 성공여부에 따라 상금을 2배로 가져갈 수 있는지가 결정된다.
  • 100회 특집때 한시적으로 다시 사용되었으며, 이 때는 더블찬스에 실패해도 적립된 상금의 절반은 가져갈 수 있다.
  • 200회 특집 때는 사전 문제를 5개 중 3문제 이상 맞힐 경우 우승상금과 적립금을 2배로 획득할 수 있게 해 주었다.
  • 2011년 크리스마스 특집 때는 김제동 편에서 3단계 이후 깜짝 3문제를 출제했으며 100인의 여성이 가장 많이 고른 보기를 맞히는 형식으로 진행했다.(방식 : 1문제 정답 2배, 2문제 4배, 모두 맞히면 8배, 3단계까지의 적립금만 해당.)
  • 2012년 개그콘서트 특집 때는 크리스마스 특집과 동일하게 3단계 이후 보너스 3문제를 출제했으며 100인이 모두 정답을 맞혀야 적립금을 두 배로 늘릴 수 있었다.

단계별 상금 지급 액수

단계/상금액수 1~80회 81~105회 106~132회
165~288회
133~164회 289회~현재
1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2 50,000 30,000 30,000 50,000 20,000
3 100,000 50,000 50,000 70,000 30,000
4 150,000 100,000 70,000 100,000 50,000
5 200,000 150,000 100,000 150,000 70,000
6 250,000 200,000 150,000 200,000 100,000
7 300,000 250,000 200,000 250,000 150,000
8 350,000 300,000 250,000 300,000 200,000
9 400,000 400,000 300,000 350,000 250,000
10 450,000 500,000 400,000 400,000 300,000
11 500,000 500,000 450,000 400,000
12 500,000 500,000
단계 외 연장전
최고 상금(우승) 5,000만원

1인 우승자 목록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역대 이름 직업 회차 방송일 참고 링크 비고 / 참고 사항
1대 정영진 UCC 프로그램 진행자 6회 2007년 6월 5일 《1 대 100》
홈페이지[6]
《1 대 100》에서 100인 중 22번으로 출연[7],
첫 번째 우승자, 8단계 차다혜
(현 KBS 아나운서, 당시 여대생)와의
1:1 대결에서 우승
2대 이옥륜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18회 2007년 8월 28일 두 번째 출연

8단계 1:1 대결에서 우승,
이옥륜은 1번째 출연한 8회에서 6단계까지 진출했으며,
18회에 1인으로 재출연해 우승했다.

3대 김준겸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2학년 (당시 휴학)
28회 2007년 11월 13일 《1 대 100》 최연소 우승자
(8단계 1:3 상황에서 우승)
4대 신은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중국어과
(당시 입학 예정)
40회 2008년 2월 12일 《1 대 100》 최초의 여성 우승자, 현재까지 유일한 일반인 여성 우승자

10단계 1:2 상황에서 우승

5대 김경목 취업준비생 52회 2008년 5월 6일 두 번째 출연[8]

9단계 1:4 상황에서 우승
<<1 대 100 왕중왕전 우승자>>

6대 이재욱 서울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석유가스
공학 연구실 석사과정
63회 2008년 7월 22일 월드 미스 유니버시티 특집 우승자
8단계 1:1 상황에서 우승
7대 박지선 KBS
공채 22기 개그우먼,
고려대학교
교육학 학사
101회 2009년 4월 28일 《1 대 100》 100회 특집 우승자

8단계 1:2 상황에서 우승
연예인 최초 1인 우승자이자 1인과 100인에서 모두 우승
더블 찬스 실패로 우승상금의 절반만 획득

8대 박상흠 KT 기업고객부문,
고려대학교
전기공학과
93학번
123회 2009년 10월 6일 박상흠 블로그 참고 9단계 1:1 대결에서 우승,
50% 사회 기부 약속
9대 황현희 KBS 19기
공채 개그맨
136회 2010년 1월 5일 7단계 1:10 상황에서 우승
박지선 이후 연예인 겸 개그맨으로서의 두 번째 우승자
연예인 최초로 최고 상금인 5000만원 획득
10대 전태관 봄여름가을겨울
드러머
149회 2010년 4월 6일 8단계 1:4 상황에서 우승
가수 최초의 우승자
11대 김태경 마케팅 전문가 159회 2010년 6월 15일 8단계 1:4 상황에서 우승, 현재 일반인 마지막 5000만원 우승자
12대 강수정 KBS 28기
공채 아나운서,
현 프리랜서 방송인
175회 2010년 11월 9일 9단계 1:3 상황에서 우승

4번째 연예인 우승자, 역대 3번째 여성우승자

13대 피터
바돌로뮤
한옥지킴이 183회 2011년 1월 11일 7단계 1:6 상황에서 우승

최초의 외국인 우승자
(현재 우승자 중 최고령자)
역대 5000만원 최단 공백기(8주)

14대 장진영 변호사 202회 2011년 5월 24일 9단계 1:3 상황에서 우승
15대 이창명 개그맨 233회 2012년 2월 7일 9단계 1:1 대결에서 우승
박지선, 황현희 이후 세 번째 연예인 겸 개그맨 우승자
16대 서수민 개그콘서트 PD 264회 2012년 9월 25일 8단계 1:2 상황에서 우승
역대 네 번째 여성우승자
17대 유민상 개그맨 311회 2013년 9월 24일 7단계 1:2 상황에서 우승
박지선, 황현희, 이창명 이후 네 번째 연예인 겸 개그맨 우승자, 역대 두번째 최저적립금 우승(517만원)
18대 성혁 배우 361회 2014년 11월 4일 7단계 1:1 상황에서 우승, 역대 최저적립금 우승(471만원)
19대 한혜연 스타일리스트 424회 2016년 2월 23일 8단계 1:4 상황에서 우승
역대 다섯 번째 여성 우승자이자 역대 5000만원 최장 공백기(477일, 63회)

최후의 1인(완소 퀴즈왕)

  • 마지막까지 생존한 100인은 최후의 1인이 되며, 1인 도전자가 탈락하기 전까지 누적된 상금을 획득한다.
  • 16회까지는 1인 도전자가 탈락했을 시점에 100인 중에서 2명 이상이 남아있으면 상금을 나누어 가졌기 때문에 도전자 1인과 남은 100인 중에서 최후의 1인을 제외한 모두가 탈락해야만 최후의 1인이 될 수 있었다.
  • 최후의 1인은 상금 획득 이후에는 특집이나 최후의 1인 리턴즈 그룹으로 재출연할 수 있다.

연예인 최후의 1인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방송일 회차 이름 직업 참고 링크 비고 / 참고 사항
2008년 8월 26일 67회 전반전 박지선(김태훈 편) 개그우먼 - 8단계에서 3명 중 최후의 1인 결정

769만원 획득

2009년 6월 2일 106회 전반전 송준근(남성진 편) 개그맨 - 10단계에서 2명 중 최후의 1인 결정

1,085만원 획득
역대 연예인 완소 퀴즈왕 최다 상금 수령자

2009년 6월 23일 109회 후반전 유승찬(홍석태 편) 가수 - 9단계에서 2명 중 최후의 1인 결정

493만원 획득

2009년 12월 8일 133회 후반전 장동혁(이지운 편) 개그맨 - 7단계에서 6명 중 최후의 1인 결정

173만원 획득

2010년 7월 6일 161회 전반전 화요비(박정숙 편) 가수 - 7단계에서 4명 중 최후의 1인 결정

539만원 획득

2010년 11월 30일 177회 전반전 김영웅(최정원 편) 뮤지컬배우 - 7단계 1대2 상황에서 승리

맘마미아 팀으로 참가
698만원 획득

2010년 12월 7일 178회 전반전 박상민(하하 편) 가수 - 8단계에서 3명 중 최후의 1인 결정

281만원 획득

2011년 1월 11일 183회 전반전 조빈(변진섭 편) 가수(노라조) - 6단계에서 3명 중 최후의 1인 결정

408만원 획득

2011년 8월 16일 213회 후반전 김정렬(박사임 편) 개그맨 - 6단계 1대3 상황에서 승리

667만원 획득

2011년 8월 23일 214회 전반전 홍인규(황영조 편) 개그맨 - 7단계에서 승리

330만원 획득

2011년 10월 18일 219회 전반전 조수원(은정 편) 개그맨 - 9단계에서 승리

250만원 획득

2011년 11월 1일 221회 전반전 이상훈(임백천 편) 개그맨 - 8단계에서 승리

262만원 획득

2012년 1월 24일 스타퀴즈왕 박현빈 가수 - 스타퀴즈왕 우승

3000만원 획득

2012년 7월 3일 254회 후반전 김형인(한병덕 편) 개그맨 - 7단계에서 승리

229만원 획득

2012년 7월 24일 257회 후반전 따루 살미넨(한준희 편) 방송인 - 7단계에서 승리

289만원 획득
사상 첫 외국인 연예인 완소 퀴즈왕

2012년 11월 27일 270회 전반전 바람(남경주 편) 가수(빅스타) - 8단계에서 승리

210만원 획득
사상 첫 아이돌 연예인 완소 퀴즈왕

2013년 7월 23일 303회 후반전 이재훈 (이창훈 편) 개그맨 - 8단계에서 승리

400만원 획득

2013년 9월 17일 310회 전반전 신재은 (송도순 편) 방송인 - 9단계에서 승리

386만원 획득

2013년 12월 17일 321회 전반전 장수원 (이성미 편) 가수 - 6단계 1대3상황에서 승리

500만원 획득

2014년 8월 19일 351회 후반전 정해철 (남재현 편) 개그맨 - 7단계에서 우승

54만원 획득
역대 연예인 완소 퀴즈왕 최저 상금 수령자
1대4상황에서 승리

특집 방송 목록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방송 날짜 방송 회차 특별 에피소드 제목 기타 / 참고 사항 관련 링크
2007년 7월 17일 12회 미스코리아 100인 출연 <1편> 가수 J, KBS 기자 김가림 출연 미스코리아 특별 에피소드 1편 [9]
2007년 7월 24일 13회 미스코리아 100인 출연 <2편> 가수 J, KBS 기자 김가림 출연 미스코리아 특별 에피소드 2편 [10]
2007년 7월 31일 14회 여름 특집 대학생 보디빌더 100인 출연 대학생 보디빌더들이 상의를 탈의한 상태로 1인과 퀴즈대결을 함 여름 특집 대학생 보디빌더 [11]
2007년 9월 18일 21회 추석 특집 - 《2 대 100》 《1 대 100》의 1인이 2인으로 출연하여 진행. 추석 특집 《2 대 100》 [12]
2007년 10월 16일 24회 부산 특집 부산 시민이 1인과 100인 자격으로 출연,
《1 대 100》 최초 지역 특집
부산 특집 [13]
2007년 10월 30일 26회 광주 특집 광주 시민이 1인과 100인 자격으로 출연,
2번째 지역특집
광주 특집 [14]
2007년 11월 20일 29회 대구 특집 대구 시민이 1인과 100인 자격으로 출연,
3번째 지역특집
대구 특집 [15]
2007년 12월 4일 31회 의대생[16] 특집
《1 대 의대생 100》
연예인 김구라 출연,
의대생이 100인의 자격으로 출연
의대생 특집 [17]
2008년 1월 1일 35회 대전 특집 대전 시민이 1인과 100인 자격으로 출연,
4번째 지역특집
대전 특집 [18]
2008년 1월 8일 36회 고시합격자 특집
《1 대 고시합격자 100》<1편>
행정고시, 사법고시 합격자 각 50명씩 총 100명이 100인 자격으로 출연 고시합격자 특집 [19]
2008년 1월 15일 37회 고시합격자 특집
《1 대 고시합격자 100》<2편>
행정고시, 사법고시 합격자 각 50명씩 총 100명이 100인 자격으로 출연,
연예인 이유진 출연
고시합격자 특집 [20]
2008년 1월 22일, 1월 29일 38회, 39회 2008년 KBS 신입사원 특집
《1 대 KBS 신입사원 100》
KBS 신입사원 91명과 기존 사원 9명으로 총 100명이 100인 자격으로 출연 KBS 신입사원 특집 [21], 더블찬스 제도 도입
2008년 2월 12일 40회 2008년 무자년 특집
《1 대 쥐띠 100》
태어난 해가 쥐띠(1960년, 1972년, 1984년 등)인 사람 100인 출연 무자년 특집 [22]
2008년 4월 29일 51회 1 대 100 탄생 1주년 특집
《1 대 100 왕중왕전》<1편>
이민호<30회에서 14단계(연장3단계)까지 진출> 왕중왕전 1편 [23]
2008년 5월 6일 52회 1 대 100 탄생 1주년 특집
《1 대 100 왕중왕전》<2편>
김경목(26회 출연) 왕중왕전 2편 [24]
2009년 1월 20일 88회 1 대 초등학생100
《방학특집, 초등학생을 이겨라!》
1인 : 김병만, 진보라

전국의 초등학생들중 예심을 거친 100명이 출연. 이 회차 한정으로 우승 상금을 3000만원으로 줄였다.(단, 단계별 적립금은 유지했다)

방학특집, 초등학생을 이겨라! [25]
2009년 3월 3일 93회 2009 공사창립특집
1인 : 이혁재, 박현주(PD 지망생)

100인 : KBS<한국어 아나운서>, KBS<한국어진흥연구원>, KBS<스포츠 해설위원>, <KBSi>직원, KBS<기자>와<예능피디>, KBS<21기 공채 신인탤런트>와 <23기 공채 개그맨>, KBS 대표 <리포터>와 KBS 공채출신 <성우>, KBS<기상 캐스터>, KBS <35기 신입사원>

공사창립특집 [26]
2009년 4월 21일, 28일 100,101회 100회특집
1인 : 김준, 박지선 100인 : 1대100 상금획득자

100명의 답(분포도보기) 등장, 더블찬스 일시부활, 우승자 출제문제 등장

100회 특집 [27]
2009년 6월 30일 110회 아내 특집 - 최후의 아내
1인 : 김국진, 김현학 100인 : 직업군인, 생필품 모니터 & 교육교재 편집부, 주부야구단&주부 모델, 주부 퀴즈왕 아내 특집 [28]
2009년 7월 14일, 21일 112,113회 절대퀴즈왕 특집
1대100(박용민)[29], 퀴즈 대한민국(29대 퀴즈영웅 권오식), 도전 골든벨(15대 골든벨 이창순), 우리말 겨루기(16대 우리말 달인 박제경), 장학퀴즈 등 각종 퀴즈 프로그램 우승자 출연<()는 1인 출연자> 절대퀴즈왕 [30]
2010년 2월 16일 142회 천하무적 야구단 특집
1인 : 김성수, 이하늘

100인 : 천하무적야구단 관련 38명, 예심통과자 62명

천하무적야구단 특집 [31]
2010년 3월 2일 144회 2010공사창립특집
1인 : 황수경, 이명한

100인 : KBS 대표 아나운서, KBS 대표 기상캐스터, 연예인 퀴즈군단 등 여러 그룹, KBS와 인연있는 출연자들 등

공사창립특집 [32]
2010년 7월 6일 161회 산업안전보건 특집
1인 : 박정숙, 강성규(산업안전보건공단 대표(연구원장))

100인 : 산업안전보건공단 관련 40명, 예심통과자 55명, 김진, 화요비, 오나미, 김정민, 김재욱

산업안전보건 특집 [33]
2011년 2월 15일 188회 남녀특집
1인 : 박영진, 김영희(두분토론)

100인 : 남성 도전자 : <살림 잘하는 남편들> <마른 남자들> <남자 간호사 모임> <무뚝뚝한 경상도 사나이들> <새내기 공처가·애처가들>

여성 도전자 : <축산학과 여학생들> <20년차 주부들> <여자경찰들> <여자인권보장위원회> <꽃미남 좋아하는 아줌마들> <곰신클럽>

45명의 예심통과자, 연예인 퀴즈군단

남녀특집 [34]
2011년 3월 1일 190회 2011공사창립특집
1인 : 이정, 곽정환

100인 : KBS 및 KBS의 각종 프로그램과 관련 깊은 도전자들, 예심통과자, 연예인 퀴즈군단

공사창립특집 [35]
2011년 4월 12일 196회 대학 등록금 마련특집
1인 : 김소정(슈퍼스타 K 시즌2 TOP11)[36] , 김윤석(대학생)

적립금은 300만원에서 시작, 단계별 적립금과 우승상금(5000만원)은 그대로 유지

대학 등록금 마련특집
2011년 5월 10일 200회 200회 특집
1인 : 김종민[37] 은지원 (2대100 특집)

전화찬스 일시적으로 부활(엄태웅)
사전퀴즈 - 저단계 대거탈락, 5000만원 획득문제, 찬스 쓰고도 100인과 전원 탈락한 문제들, 인기 검색어 1위 문제를 포함한 5문제 중 3문제 성공시 적립금과 우승상금 2배로(우승시 1억원)(단계별 적립금은 그대로)
100인 출연자는 역대 최후의1인 상금 획득자&아깝게 탈락한 도전자들
연예인 퀴즈군단 중 최후의 1인도 참가(장동혁, 화요비, 송준근 등)

200회 특집
2011년 10월 25일 220회 사회초년생 특집
1인 : 나영석, 메이비

100인 : <연예인 퀴즈 군단> <KBS 신입사원> <요리사> <스턴트맨> <초등학교 교사>

<광고인> <변호사> <소방관> <증권사 애널리스트> <호텔리어>

<작사,작곡가> <의사> <사회복지사> <신춘문예 당선자>

사회초년생 특집
2011년 12월 20일 227회 크리스마스 특집-김제동과 100명의 女子
1인 : 김제동

100인 : <연예인 퀴즈 군단> <지금은 기마시대> <재테크의 여왕! 골드미스> <등산 동호회! 오르막 내리막> <역대 미스코리아 수상자> <제복의 여신> 66명의 예심통과자 /보너스 퀴즈 3문제 출제, 1인이 맞힐 때마다 3단계까지의 상금이 2배로 증가한다.

크리스마스 특집-김제동과 100명의 女子
2012년 1월 24일 특집편 설날특집 스타퀴즈왕
100명의 연예인들이 서로 대결한다.

방송시간은 7시20분부터 90분간 방송. 전원탈락할 경우 기존과는 달리 재대결을 한다.

설날특집(손범수, 박은영 아나운서 진행)
2012년 2월 28일 236회 대학 등록금 마련특집 2탄 1인 : 케이윌, 이홍기 100인 : <연예인 퀴즈 군단> <전국 14개 대학교 70명 학생> <대학생 예심 고득점자> <최후의 1인에서 떨어진 대학생>[38]
2012년 9월 25일 264회 개그콘서트 특집
1인: 서수민 PD

100인: 개그콘서트 100인 개그맨

보너스 퀴즈 3문제 출제, 100인 출연자가 모두 정답을 맞혀야 상금이 2배로 늘어난다.(3단계까지의 적립금만 해당)
2013년 7월 2일 300회 300회 특집 3:100
3인 : 안녕하세요 팀(신동엽, 이영자, 컬투).[39] 100인 : <역대 최후의 1인> , <5000만원 획득자> , <퀴즈대회 우승자>, <1단계 탈락자>, <브레인 팀>, <연예인 1인 팀> 각각 6명 씩 출연, 나머지는 예심고득점자로 구성

사전 3문제 출제(전원 통과 문제, 대거 탈락 문제, 5000만원 문제로 구성), 10,50,100만원으로 구성, 4단계 이후의 보너스 퀴즈는 100인이 선택한 1인이 문제를 맞히면 100인 전원에게 한돈 세트 증정

2013년 9월 17일 310회 추석특집 1인 : 김창숙, 송도순 100인 : 일반인 시어머니와 며느리 추석특집[40]
2013년 12월 24일 322회 성탄특집 1인 : 김범수(가수), 이은결 100인 : 100인 여성도전자(싱글녀 도전자들, 68명의 예심고득점자) 성탄특집(8시 30분부터 90분 간 특집방송)
2014년 5월 6일 336회 아빠특집 1인 : 김지선, 손병호, 100인 : 예심고득점자 아빠 아빠특집
2014년 5월 13일 337회 의사특집 1인 : 최종원, 변우민 , 100인 : 예심고득점자 한의사 건강특집
2014년 6월 17일 342회 2014 브라질월드컵 특집 1인 : 바로(가수 B1A4), 이영표 2014 브라질월드컵 특집
2015년 1월 13일 370회 직장인특집 1인 : 박성광, 김영식 직장인특집
2015년 5월 19일, 5월 26일 388회, 389회 부부특집 1인 팀 : 김소현 & 손준호, 장윤정 & 도경완 부부특집
2015년 8월 11일 400회 400회 셰프 특집 1인 팀 : 이연복 & 레이먼 킴 400회 셰프 특집

편성 변경

2008년

  • 8월 12일 : 2008 베이징 올림픽 중계방송

2009년

  • 1월 27일 : 설특집 가요계 톱스타 총 집합 쉘 위 댄스
  • 9월 29일 : 2009년 프로야구 준플레이오프 두산vs 롯데 중계방송

2010년

  • 6월 29일 : 남아공 월드컵 선수단 환영 국민 대축제 방송
  • 9월 7일 : 추석특집 방송
  • 9월 21일 : 추석 특집 빅스타 X파일 편성
  • 10월 12일 : 축구 국가대표 평가전 방송
  • 10월 19일 :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4차전 중계방송
  • 11월 23일 : 광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

2011년

2012년

2013년

  • 6월 11일 :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예선 한국VS우즈베키스탄 중계방송
  • 9월 10일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평가전 한국VS크로아티아 중계방송
  • 10월 8일 : 2013년 프로야구 준플레이오프 1차전 중계방송
  • 12월 3일 : 파일럿 프로그램 근무 중 이상무 방송
  • 12월 31일 : 2013 KBS 연기대상 방송

2014년

2015년

2016년

같이 보기

각주

  1. 2007.05.02 스타뉴스 <KBS '1대100' "美퀴즈쇼 표절아냐"..포맷구입> (2007.10.16 접속 확인)
  2. 예외적으로 116회 부부특집에서는 특정한 문제에서 두 명 중 한 사람이라도 문제를 맞혔으면, 탈락한 한 사람이 다시 부활하는 제도가 임시 도입되었다.
  3. 만약 1인이 떨어지고 남긴 적립금이 지나치게 적을 경우, 그 1인 방송분은 통편집되고 예비 1인(100인 중 1번)으로 대체한다.
  4. 21회 방송분 추석특집 <2대 100>에서는 한 번 찬스만이 허용됐다.
  5. 조이뉴스 2007.08.20 <KBS 퀴즈쇼 '1대100' 진행방식 변경>(2007.10.30 접속 확인)
  6. 《1 대 100》 홈페이지 '완소 퀴즈왕' 게시판 3번 게시물 (2007.10.16 접속 확인)
  7. 정영진은 100인중 22번에 출연하여 찬스인 '2인의 답'이나 '나와 같은 답'(당시에는 나와 같은 답이 있었다)에서 도전자 1인에게 자신이 말한 답이 정답인 것처럼 유혹해 '악마의 유혹'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8. 김경목은 첫번째로 출연한 26회(광주 특집)에서 8단계 1대1 대결 상황에서 찬스를 2개 모두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같이 떨어진 뒤 52회에서 다시 1인으로 재출연해 우승했다.
  9. 《1 대 100》 12회 방송 내용보기 (2007.10.16 접속 확인)
  10. 《1 대 100》 13회 방송 내용보기 (2007.10.16 접속 확인)
  11. 《1 대 100》 14회 방송 내용보기 (2007.10.16 접속 확인)
  12. 《1 대 100》 21회 방송 내용보기 (2007.10.16 접속 확인)
  13. 《1 대 100》 24회 방송 내용보기 (2007.11.14 접속 확인)
  14. 《1 대 100》 26회 방송 내용 보기 (2007.12.01 접속 확인)
  15. 《1 대 100》 29회 방송 내용 보기 (2007.12.07 접속 확인)
  16. 의대생대학교대학원에서 의사가 되기 위한 교육과정을 밟고 있는 학생을 뜻한다.
  17. 《1 대 100》 31회 방송 내용 보기 (2007.12.04 접속 확인)
  18. 《1 대 100》 35회 방송 내용 보기 (2008.1.11 접속 확인)
  19. 《1 대 100》 36회 방송 내용 보기 (2008.1.11 접속 확인)
  20. 《1 대 100》 37회 방송 내용 보기 (2008.1.11 접속 확인)
  21. 《1 대 100》 38회 방송 내용 보기 (2008.1.19 접속 확인)
  22. 《1 대 100》 40회 방송 내용 보기 (2008.1.19 접속 확인)
  23. 《1 대 100》 51회 방송 내용 보기 (2008.5.6 접속 확인)
  24. 《1 대 100》 52회 방송 내용 보기 (2008.5.6 접속 확인)
  25. 《1 대 100》 88회 방송 내용 보기 (2009.1.18 접속 확인)
  26. 《1 대 100》 93회 방송 내용 보기 (2009.3.3 접속 확인)
  27. 《1 대 100》 100회 방송 내용 보기 (2009.4.21 접속 확인)
  28. 《1대 100》 110회 방송 내용 보기
  29. 박용민은 첫 번째 1인 도전(61,62회)에서 11단계 1대3 전원 탈락 상황에서 5000만원 획득에 실패했고, 2번째 도전(112회)에서는 8단계 1대 3 상황까지 진출했다.
  30. 《1 대 100》 112회 방송 내용 보기 (2009.7.14 접속 확인)
  31. 《1 대 100》 142회 방송 내용 보기 (2010.2.16 접속 확인)
  32. 《1 대 100》 144회 방송 내용 보기 (2010.3.2 접속 확인)
  33. 《1 대 100》 161회 방송 내용 보기 (2010.7.6 접속 확인)
  34. 《1 대 100》 188회 방송 내용 보기 (2011.2.15 접속 확인)
  35. 《1 대 100》 190회 방송 내용 보기 (2011.5.10 접속 확인)
  36. 김소정은 가수가 아닌 일반 대학생 신분으로 나갔으며, 지상파 첫 출연이다.
  37. 김종민은 첫 번째 출연한 148회, 2번째 출연한 200회에서는 은지원과 팀으로 1인 도전을 해서 7단계까지 진출했다. 그 뒤 356회에서 1인으로 출연해 6단계까지 진출했다.
  38. 기존과는 달리 추가 적립금은 없었다.
  39. 여기서 컬투는 정찬우, 김태균을 1인으로 취급했다.
  40. 다큐멘터리 3일 9월 8일 신관공개홀편에서 잠시 언급되었다.
KBS 2TV의 화요일 프로그램
이전 1 대 100 다음
KBS 글로벌 24 월화드라마
우리집에 사는 남자
오후 8시 30분 오후 8시 55분 오후 10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