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카어
보이기
(학가어에서 넘어옴)
사용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
---|---|
사용 지역 | 광둥성 동부, 푸젠성과 장시성이 맞닿아 있는 지역 |
언어 인구 | 29,937,959[1] |
문자 | 한자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 객가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없음[2] |
표준 | The Guangdong Provincial Education Department created an official romanisation of Meixian Hakka dialect in 1960, one of four languages receiving this status in Guangdong. It is called Kejiahua Pinyin Fang'an. |
언어 부호 | |
ISO 639-3 | hak 하카어
|
객가어(중국어 정체자: 客家話, 간체자: 客家话, 하카어 백화자: Hak-kâ-fa, 병음: Kèjiāhuà), 음역 하카어(Hakka)는 객가인들이 사용하는 중국어의 방언으로, 주로 광둥성 동부, 푸젠성 서부, 장시성 남부에서 쓰이지만, 해외의 중국인, 화교도 많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하카인은 여러 이민족의 지배를 피해 광둥성으로 남하하였고, 그 당시 중국어의 특징이 잘 보전되어 있다. 그래서 하카어의 한자 발음은 한국어나 일본어 한자 발음과 유사한 면이 있다. 객가어 사용자들이 여러군데 분포해있기 때문에, 주위 언어, 방언에서 영향을 받은 차용어가 많아 지역별로 약간 차이가 있다.
성모
[편집]메이현 방언을 기준으로 기술한다.
양순음 | 순치음 | 치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 | 무기음 | b /p/ | d /t/ | g /k/ | |||
유기음 | p /pʰ/ | t /tʰ/ | k /kʰ/ | ||||
파찰음 | 무기음 | z /ts/ | |||||
유기음 | c /tsʰ/ | ||||||
마찰음 | f /f/ | s /s/ | h /h/ | ||||
비음 | m /m/ | n /n/ | ng /ŋ/ | ||||
접근음 | v /ʋ/ | l /l/ | y /j/ |
경구개 파열음, 마찰음, 비음은 k, g, h, ng가 i 앞에 있을 때만 나타난다.
모음
[편집]수반 | 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ii /ɹ̩/ | i /i/ | u /u/ | |
중모음 | ê /e̞/ | e /ə/ | o /ɔ/ | |
저모음 | a /a/ |
운모
[편집]- 받침으로는 m, n, ng, b, d, g가 있다. 이 가운데 b, d, g는 불파음이다.
- ii, m, n, ng는 성절자음이 될 수 있다.
분류
[편집]투광둥어
[편집]쓰촨성, 충칭시 일대의 객가어는 투광둥어(중국어 간체자: 土广东话, 정체자: 土廣東話)로 불린다. 투광둥어 구사자는 청나라 초기 호광전사천이 일던 때 광둥성 일대에서 이민 온 사람들이며, 이들은 투광둥인(중국어 간체자: 土广东人, 정체자: 土廣東人)이라고 불린다.[3]
특징
[편집]어음의 특징은 많은 지역에서 성모 s와 sh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s로 발음한다. 또 옛 입성운미(入聲韻尾) -b[-p], -d[-t], -g[-k]를 보존하고 있으며, 북경어의 성조는 4개인 데 반해 객가어는 6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
단어
[편집]객가어 한자 | 발음 | 한국어 |
---|---|---|
人 | [ŋin˩] | 사람 |
碗 | [ʋɔn˧˩] | 그릇 |
狗 | [kɛu˧˩] | 개 |
牛 | [ŋiu˩] | 소 |
屋 | [ʋuk˩] | 집 |
嘴 | [tsɔi˥˧] | 입 |
𠊎 | [ŋai˩] | 나 |
渠[4] or 𠍲[5] | [ki˩] | 그 / 그녀 / 그것 |
객가어 한자 | 발음 | 한국어 |
---|---|---|
日頭 | [ŋit˩ tʰɛu˩] | 해 |
月光 | [ŋiɛt˥ kʷɔŋ˦] | 달빛 |
屋下 | [ʋuk˩ kʰa˦] | 집 |
屋家 | ||
電話 | [tʰiɛn˥ ʋa˥˧] | 전화 |
學堂 | [hɔk˥ tʰɔŋ˩] | 학당 |
筷子 | [kʰwai˥˧ tsi˧˩] | 젓가락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