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노벨 평화상: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고급 모바일 편집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시각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 웹사이트 = [http://nobelprize.org Nobelprize.org]
| 웹사이트 = [http://nobelprize.org Nobelprize.org]
}}
}}
*
'''노벨 평화상'''( - 平和賞, {{llang|sv|Nobels fredspris}}, {{llang|no|Nobels fredspris}}, {{llang|en|Nobel Peace Prize}})은 스웨덴 출신의 기업가이자 발명가인 [[알프레드 노벨|노벨]]의 [[유언]]으로 만들어진 5가지 부문 중의 하나인 [[노벨상]]이다. (나머지 부문에는 [[노벨 화학상|화학]], [[노벨 물리학상|물리학]], [[노벨 생리학·의학상|생리학·의학]], [[노벨 문학상|문학]]이 있다. [[노벨 경제학상|경제학상]]은 [[1968년]] [[스웨덴 국립은행]]에 의해 신설되었다.) [[1901년]]부터 매년(몇몇 예외 존재) 국가간의 우호, 군비의 감축, 평화교섭 등에 큰 공헌이 있는 인물이나 단체에게 주어진다.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서 수상자가 노르웨이 노벨 위원회에 의해 결정되고, 수상식은 다른 부문과 달리 [[노르웨이]] [[오슬로]]에 있는 국회에서 열린다. [[1990년]]부터 매년 [[오슬로]] 시청에서 12월 10일에 수상한다. 예전에는 [[오슬로 대학교]] 법학부 아트리움 (1947-89), 노르웨이 노벨 협회 (1905-46), 노르웨이 의회 (1901-04) 등에서 수상했다. [[1914년]]부터 [[1918년]]까지는 [[제1차 세계 대전]], [[1939년]]부터 [[1943년]]까지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으며 이후 [[1966년]]과 [[1967년]]에도 수상자가 없어서 시상식을 하지 않았던 때가 있었다.

한편, 노벨 평화상은 정치적 특성 때문에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2010년]] 중국의 반체제 인사인 [[류샤오보]]가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사례와 같이 정치적 시국과 역행하여 수상 기준이 정해지는 경향이 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2/10/11/0200000000AKR20121011181200009.HTML?from=search <여전히 수감된 노벨평화상 수상자 류사오보>] 연합뉴스 2012년 10월 11일</ref>

== 선정 과정 ==
매년 10월 노벨위원회는 각국 전문가 1,000여명에 서한을 보내 평화상 수상 후보자 추천을 받는다. 서한을 받은 후보 추천위원은 다음해 2월 1일까지 추천 이유서를 첨부해 추천한다. 추천위원이 자신을 추천할 수는 없다. 후보자 명단은 공개하지 않는다. 노벨위원회는 전문가의 조언을 받고 후보 범위를 좁혀가며 선별작업을 벌인다. 최종 수상자는 노벨위원회 5인 전체 회의에서 결정하며 수상자의 신원은 발표 전까지 철저히 비밀에 부쳐진다.

수상자 심사는 물리학상, 화학상, 경제학상은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한림원), 생리·의학상은 스톡홀름에 있는 카롤린 의학연구소, 문학상은 스웨덴·프랑스·에스파냐의 세 아카데미, 평화상은 노르웨이 국회가 선출한 5인 위원회가 분담한다.

=== 후보자를 추천할 수 있는 자격 ===
* 노벨위원회 전·현직 위원 및 노벨연구소의 자문관
* 각국 의원 및 정부 각료, 국제 의회연맹 회원
* 국제 중재재판소 및 국제 사법재판소 재판관
* 국제 항구평화사무국 위원
* 국제법 연구소 연구위원
* 현직 법학, 정치학, 역사학, 철학 교수
* 노벨 평화상 역대 수상자


== 역대 수상자 ==
== 역대 수상자 ==

2022년 6월 14일 (화) 16:33 판

노벨 평화상
수상대상평화에 관한 큰 공헌을 한 사람
주최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노르웨이 노벨 위원회
장소오슬로
나라노르웨이의 기 노르웨이
첫 시상1901
웹사이트Nobelprize.org

역대 수상자

관련 기관

  • The Norwegian Nobel Institute 노르웨이 노벨 연구소

1904년 2월 1일 설립된 단체로서 노벨 위원회가 수상자 선정 과정에 있어서 행정, 장학, 투자적인 서포트를 하는 단체이다. 노르웨이 노벨 연구소의 집행위원장(Director)이 노벨위원회의 영구적 사무총장(secretary)이 된다.

  • Nobel Peace Prize- Research & Information (NPPRI) 노벨 평화상-연구 및 정보 기관

노벨 연구소로부터 독립적으로 구성된 연구 날개 단체로 주로 회의, 세미나, 컨퍼런스를 통해 사람들을 하나로 모으는 목표를 가진다. 노벨 관련 기관의 다양한 프로그램, 연례 교사 세미나, 노벨 심포지엄을 방문하는 것이 주된 업무이다. 노벨 평화상의 배경과 역사, 수상자 그리고 일반적인 체계를 알려주는 지원 역할을 한다.

  • The Nobel Peace Center 노벨 평화 센터

2005년 6월에 설립된 기관으로 노벨 평화상 수상자들을 기념하는 박물관이다.

  • The Nobel Foundation 노벨 재단

1900년에 노벨이 설립자인 사립 기관이다. 스톡홀름과 스웨덴에 재단의 본부가 위치해 있다.

기타

  • 인도마하트마 간디는 5번의 노벨 평화상 후보였다. 수상 예정이었던 그가 암살당함으로써 1948년의 수상자는 없게 되었다.
  • 독재자로 유명한 독일아돌프 히틀러, 소비에트 연방이오시프 스탈린, 이탈리아베니토 무솔리니 등도 노벨 평화상 후보였다. 독재로 유명한 인물들이 후보에 오른 이유에 대해서 미국 UCLA 로스쿨의 유진 볼로흐 교수는 로스앤젤레스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사회 과학 역사 철학 법학 교수나 한 국가의 입법부 의원이면 추천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런 일이 벌어졌었다고 지적했다. 히틀러를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한 인물도 스웨덴의 한 국회의원이었다.[1]
  • 1979년, 1985년대한민국함석헌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미국 퀘이커 세계 봉사회에 의해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됐다. AFSC1947년에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이래로, 노벨 평화상 후보추천규정에 따라, 해마다 후보를 추천해오고 있다.[2]
  • 1988년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이었던 전두환도 영국, 서독 의회에 의해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됐다.[3]
  • 1992년대한민국문익환 목사도 미국 친우 봉사회에 의해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됐다.[4]
  • 2012년, 2014년러시아 대통령인 블라디미르 푸틴도 러시아 사회 운동가 단체와 하원 국회의원중 일부에 의해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됐다.[5][6]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노벨 평화상 후보가 됐다는 소식에 2014년 5월 3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출입기자단 연례 만찬에서 "요즘에는 노벨상을 아무에게나 주잖아요."라고 말했다.[7] 그리고 5월 15일에 지난 2009년 당시 람 이매뉴얼 비서실장(현재 시카고 시장)이 미국 주재 노르웨이 대사에게 "새 대통령에게 아첨한다."고 말하며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게 노벨 평화상을 수여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강력히 비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당시 유엔 주재 노르웨이 대사를 지낸 모르텐 베틀란 외교관이 밝힌 것이다.[8]
  • 말랄라 유사프자이는 역대 노벨상 수상자 중 최연소 수상자이다.
  • 국제적십자위원회는 평화상을 단체 명의로 3회 받고, 창설자 장 앙리 뒤낭이 제1대 평화상을 받아서 노벨상 최다 수상 단체(총 4회)가 되었다.

논란

노벨 평화상의 수상 기준은 상당히 모호하며, 일반적으로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을 비롯한 서방 세계에 이점을 주는 인물에게만 수여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파리 평화 협정 당시 베트남 측에서 협상을 주도했던 베트남 공산당 서기국원 레득토가 1973년에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지정이 되었지만, 그는 “아직 베트남에 평화는 오지 않았다. 그리고 노벨상은 부르주아적 감성에 편중된 상에 불과하다.”라는 이유로 수상을 거절하였다.[9]

노벨 평화상은 냉전 시기 소위 소비에트 연방을 필두로 한 제2세계에 대항하는 정치적 인물에게 수여되는 경우가 잦았다. 오늘날 학자들은 노벨 평화상을 수상받은 것과 무관하게, 역사적으로 해당 인물이 평화 진전에 진정 힘을 보탰나를 따로 판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지적하고 있다.[10]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