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유세비우스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7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에우세비우스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7월 26일 (목) 23:51 (KST)[답변]

표제어에 대해[편집]

@Yoyoma88: 검색창 결과에서 '에우세비우스'가 더 많이 검색된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구글 큰따옴표 검색시 '유세비우스'가 4배가량 더 많이 이용됨을 확인한 후 옮겼습니다. ――사도바울 (💬🧾) 2022년 1월 16일 (일) 01:18 (KST)[답변]

응답 없이 기여를 이어나가시니 일단 원복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의는 언제든 환영합니다. ――사도바울 (💬🧾) 2022년 1월 17일 (월) 01:11 (KST)[답변]
@Yoyoma88: 여러 번 이동한 까닭에 제 권한으로 이동이 안되니 토론 요청 이전에 대화를 좀 더 이어나가면 좋겠습니다. (1) 어떤 방식으로 빈도를 평가하셨는지 불분명하나 구글 큰따옴표 검색법을 따릅시다. (2) 영어 of 를 제외한 접속사를 원어 발음으로 표기하는 총의가 없는 한 반대하며, 특히 이 경우 '가이사랴'라는 구분자를 추가할 필요가 적다 봅니다. 평행선이라 여겨지신다면 의견 요청 틀 부착을 환영합니다. ――사도바울 (💬🧾) 2022년 1월 17일 (월) 01:17 (KST)[답변]
영어 of 를 제외한 접속사를 원어 발음으로 표기하는 총의(위키프로젝트토론:유럽사/보존 1#영국 귀족들 표제어, 위키프로젝트토론:유럽사#필리프 도를레앙 vs. 필리프 도를레앙 공작)가 있었습니다. Yoyoma88 (토론) 2022년 1월 17일 (월) 22:52 (KST)[답변]
@Yoyoma88: 총의 소개 감사합니다. 논의의 순서를 편집의 순서에 맞추고 싶습니다. 첫째로 '에우세비우스'로의 이동에 대해서는 (1)로 갈음합니다. 둘째로 그리스어판 표제를 근거로 '가이사랴' 구분자를 추가하셨으나 현재 특별한 동명이의 문서가 없는 이상 불필요한 구분자로 봅니다. 셋째로 '투 가이사랴'라는 표현은 전혀 사용되지 않는 표현입니다. 해당 총의 소개해주신 것은 감사하나, 특별히 굳어진 표현이 없을 때 적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봅니다.
아무쪼록 세가지 의견 모두에 대해 고견 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밤이 깊었는데 안녕히 주무시고, 즐거운 한 주 되시길 바랍니다. ――사도바울 (💬🧾) 2022년 1월 18일 (화) 00:47 (KST)[답변]
두번째에서 교황 에우세비오en:Eusebius of Nicomedia, en:Eusebius of Vercelli, en:Eusebius of Myndus 등이 존재하네요. Yoyoma88 (토론) 2022년 1월 18일 (화) 22:30 (KST)[답변]
@Yoyoma88: 감사합니다. 영어판 Eusebius (disambiguous)의 존재는 저도 알고 있으나 첫째 경우를 제외하면 "현재" 특별한 동명이의 문서가 없다고 볼 수 있고, 첫째 역시 '에우세비오'로 '유세비우스' 혹은 '에우세비우스'와 한국어 표제가 달라 구분자를 설정할 당위가 적다는 것이 골자입니다.
첫째와 셋째에도 이의 있으시다면 편하게 남겨주세요. ――사도바울 (💬🧾) 2022년 1월 18일 (화) 23:05 (KST)[답변]
@Yoyoma88: 답변 남겨주시지 않으면 특별한 이의가 없으신 줄 알고 '유세비우스'로 이동 요청을 넣겠습니다. ――사도바울 (💬🧾) 2022년 1월 24일 (월) 13:19 (KST)[답변]

@올리브 가지: 안녕하세요 올리브 가지님! 평소에 좋은 기여 많이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근 이 문서의 내용을 '유세비우스'에서 '에우세비우스'로 변경하셨는데, 위의 토론에서 결정된대로 표제가 유세비우스로 정해진 만큼 이 부분 따라주시면 좋겠습니다. 물론 이견이 있으시면 이견을 말씀해주시면 너무나도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한 주 되세요:)― 사도바울 (💬ℹ️) 2023년 1월 17일 (화) 23:32 (KST)[답변]

@Sadopaul: 평소부터 기독교 관련 문서를 잘 정비해주신 사도 바울님께 매우 감사드립니다. 다만 해당 문서의 표기에 관해서는 이견이 있습니다. 유세비우스라는 인명은 전문기관인 국립국어원표준국어대사전이나 용례 찾기에서는 나오지 않는 표기로 나옵니다. 라틴어에서 Eusebius의 발음은 '에우세비우스'이며, 그리스어 발음은 에우세비오스(고대), 에브세비오스(중세-현대)입니다. 또 백과사전인 두산백과에서도 에우세비우스(어느 문서에는 에우세비오스라고 적혀있기도 합니다.)라는 인명표기를 쓰고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앞서 참고한 표준국어대사전과 용례 찾기, 몇개의 인명사전도 '에우세비우스'나 '에우세비오스'와 같은 표기를 쓰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원어적인 에우세비오스를 표기로 사용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것이 제 의견입니다. 또 여러번 번거롭게 해드린 것 같아 죄송하다는 말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Oliverius (συζήτηση) 2023년 1월 18일 (수) 14:43 (KST)[답변]
사려깊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위키백과:외래어의 한글 표기 지침에 의하면 널리 사용되는 표기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따라서 두 표제의 사용빈도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표기 외래어표기법 구글 검색결과 riss 네이버 지식백과 국회도서관 네이버 datalab
유세비우스 아님 17,800 (로스트아크 언급 제외) 81 51 22 매우 높음
에우세비우스 맞음 15,200 (오염도 높음) 34 74 (오염도 높음) 5 매우 낮음
여기서 에우세비우스 검색결과의 오염도가 높다고 한 것은 히에로니무스 를 언급할 때나, 교황 에우세비오를 언급할 때 에우세비우스로 언급한 사례가 유의미한 정도로 있는데 비해 이들을 검색결과에서 제외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전체적으로 유세비우스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으며, 이 인물이 가장 잘 알려진 저작 '교회사'와 연관지어 검색할 경우 유세비우스의 사용빈도가 5배 이상 더 높기 때문에 유세비우스의 통용 정도가 배타적으로 더 높다고 간주했습니다.
다른 기독교 프로젝트 사용자들의 의견도 들어보기 위해 @칼빈500, Logosblf, Tjtj999, Ellif: 님들도 핑 드립니다.― 사도바울 (💬ℹ️) 2023년 1월 18일 (수) 17:38 (KST)[답변]
제 생각으로는 히에로니무스나, 교황 에우세비우스를 언급할 때 사용되는 '에우세비우스'도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에 포함해야 한다고 봅니다. 이는 '에우세비우스'의 사용빈도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Oliverius (συζήτηση) 2023년 1월 18일 (수) 20:01 (KST)[답변]
또 해당 표제어 문제에 관해서는 유사한 예인, 20년에 있었던 장 칼뱅 문서의 표제어에 관한 총의도 참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Oliverius (συζήτηση) 2023년 1월 18일 (수) 20:23 (KST)[답변]
본 표제에서 다루는 대상 뿐 아니라 다른 대상을 부를 때 사용되는 번역까지 모두 고려한다면 '에우세비오'로 옮겨야 할 것이지만, 그렇다면 저로서는 더욱 동의하기가 어렵습니다^^; 장 칼뱅 처럼 다른 분들이 이동에 찬성하신다면 기꺼이 의견을 양보하겠습니다만, datalab에서 보시다시피 오염을 포함하더라도 '유세비우스'의 검색빈도가 최소 30배 이상 높은지라 이 주제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이 '에우세비우스'로 노출되는 표제를 찾기보다 '유세비우스'로 노출되는 표제를 찾는다고 보는지라 이 경우는 아직 의견을 고수하겠습니다. 다른 분들이 적극적으로 의견 남겨주시면 좋겠네요! ― 사도바울 (💬ℹ️) 2023년 1월 18일 (수) 22:25 (KST)[답변]

표제어에 대하여[편집]

@Yoyoma88: 귀하께서 바꾸신 표제어 '에우세비우스 투 가이사랴'로 바꾸셨는데, 에우세비오스(에우세비우스)는 그리스어로 Ευσέβιος της Καισαρείας이며, 이 뜻은 카이사레아(가이사랴)의 에우세비오스가 됩니다. της는 여성 정관사여서 남성 정관사인 τοῦ로 바꾸신 것 같지만 그리스어에서는 도시가 대부분 여성 명사입니다. 또한 덧붙여서 Εὐσέβιος τοῦ Παμϕίλου에서 Παμϕίλου라는 것은 에우세비오스의 스승 팜필리우스에게 많은 영향을 받아 팜필리우스의 아들이라고 고백했기 혹은 이름을 얻었기 때문일 것 입니다. --έλαιας κλάδος (토론) 2022년 1월 17일 (월) 15:1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