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동
(칠곡읍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50.46 km2 | |
세대 | 80,719 가구 (2016.12.31.) | |
총인구 | 219,975 명 (2016.12.31.) | |
인구밀도 | 4,359 명/km2 | |
행정동 | 8개 | |
국회의원 | 김승수(북구 을) | |
| ||
상징 |
칠곡동(漆谷洞, 1982년 ~ 2003년)은 대구광역시 북구의 행정동(칠곡1~3동)이었다. 현재는 북구 관문동, 관음동, 구암동, 국우동, 동천동, 읍내동, 태전1동, 태전2동으로 분설되었다. 이 지역은 본래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이었는데, 1981년 7월 1일에 대구가 직할시로 승격하면서 편입되었다.
구 칠곡동은 대구 북구의 금호강 이북에 있는데, 이 중 무태조야동과 관문동의 동쪽 일부(법정동 : 노곡동)를 제외한 지역이다. 대구광역시 내에서는 칠곡동 일대를 금호강 이북에 있다고 해서 '강북' 지역(예. 대구강북경찰서)이라고도 한다. 현재 대구에서는 '칠곡'이 행정 구역명으로는 쓰이지 않으나, 칠곡택지개발지구(칠곡1~4지구), 칠곡중앙대로, 중앙고속도로 칠곡 나들목, 칠곡운암역, 칠곡지하차도, 대구칠곡초등학교, 칠곡중학교, 칠곡향교, 각종 상호의 지점 칠곡점 등의 명칭으로 남아 있다.
'칠곡'이란 지명은 예로부터 구 칠곡동 지역과 가산산성(架山山城) 일대(현 칠곡군 동명면 및 가산면 가산리)를 일컬었는데, 인동군과 병합한 현재의 경상북도 칠곡군과는 지리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난다.
역사[편집]
- 팔거리(八居里)
- 신라 경덕왕 : 팔리현(八里縣)
- 고려 : 팔거현(八居縣)
- 1018년 : 별호로 칠곡
- 조선 인조 : 칠곡도호부 (가산산성)
- 1819년(조선 순조) : 칠곡부의 관아를 현재 대구 칠곡지역인 옛 팔거현 자리로 옮겨옴에 따라 '칠곡(漆谷)'이 이 지역을 아우르는 명칭이 되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칠곡부가 칠곡군으로 개편되면서 칠곡부의 읍치가 있던 팔거현 자리를 '팔거면'이라 하고, 이곳에 군청을 설치했다.(대구부 칠곡군 퇴천면, 팔거면, 문주면)[1]
- 1896년 8월 4일 : 경상북도 칠곡군 퇴천면, 팔거면, 문주면[2]
- 1914년 4월 1일 : 부군면 폐합에 따라 인동군(현 구미시 인동동·진미동·양포동·공단동 일부·오태동·신장리[3] 및 칠곡군 북삼읍·석적읍·약목면·기산면·가산면 중 유학산 북쪽 지역)을 칠곡군과 병합하고 군청소재지는 경부선 철도가 지나는 왜관읍으로 옮겼으나, '칠곡'이라는 지명은 옛 팔거현 지역을 아우르는 명칭으로 그대로 남았다. 퇴천면, 팔거면, 문주면을 칠곡면으로 합면하였다.[4]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칠곡군 팔거면 송호동/동일리/노본리 일부, 읍내동/교동/아시동/안양동, 봉서동/주좌동/천서동/노본리 일부 칠곡면 동호동, 읍내동 일부, 학정동 칠곡군 퇴천면 신약동/계산동/고평리/양지동, 구명동/운암동/횡동, 완전리/국동/시지리/횡동 일부/사창리 일부, 이동/사창리 일부, 동대동/구명동/구천동/횡동 일부/운암동 일부, 서대동/고평리 일부/양지리 일부/구천동 일부 칠곡면 관음동, 구암동, 국우동, 도남동, 동천동, 읍내동 일부 칠곡군 문주면 문주동 일부/매남리/장태리 일부, 매남리/송천동 일부, 내사동/장사동/문주동 일부, 태전리/금편리/이매동/구명동/계산동/송천동 일부, 작원리/문주동 일부/장태리 일부 칠곡면 금호동, 매천동, 사수동, 태전동, 팔달동
- 1980년 12월 1일 :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5]
- 1981년 7월 1일 :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출장소[6]
- 1982년 9월 1일 : 칠곡1동, 칠곡2동을 설치하였다.
- 1983년 3월 15일 : 칠곡3동을 설치하였다.
- 1994년 7월 1일 : 칠곡1동에서 관음동을 분동하였다.
- 1995년 1월 1일 :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1동, 칠곡2동, 칠곡3동, 관음동[7]
- 1995년 3월 1일 : 칠곡1동에서 태전동을 분동하였다.
- 1997년 1월 1일 : 칠곡출장소를 강북출장소로 개칭하였다.[8]
- 1998년 10월 12일 : 강북출장소를 폐지하고, 노곡동을 칠곡2동에 합동하였다.[9]
- 2003년 3월 10일 : 칠곡1동을 태전2동과 구암동으로, 칠곡3동을 읍내동과 동천동으로 각각 분동하고, 태전동을 태전1동으로, 칠곡2동을 관문동으로 개칭하는 등 행정동의 이름을 법정동명과 일치시키면서 대구의 행정 구역에서는 '칠곡'이라는 명칭이 사라졌다.
행정 구역[편집]
법정동 | [10] | 1895년 ~ | 1914년 ~ | 1982년 ~ | 1994년 ~ | 1995년 ~ | 2003년 ~ | 2009년 ~ |
---|---|---|---|---|---|---|---|---|
사수동(泗水) | 내사동 장사동 |
대구부 칠곡군 문주면 →1896년 경상북도 칠곡군 문주면 |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면 →1980년 칠곡읍 →1981년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출장소 |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2동 |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2동[11] |
관문동[11] | ||
금호동(琴湖) | 문주동 | |||||||
팔달동(八達) | 작원리 장태리 | |||||||
매천동(梅川) | 매남리 송천동 | |||||||
태전동(太田) | 금편리 이매동 |
칠곡1동 | 칠곡1동 | 태전동 | 태전1동 | |||
칠곡1동 | 태전2동 | |||||||
구암동(鳩岩) | 구명동 운암동 횡동 |
대구부 칠곡군 퇴천면 →1896년 경상북도 칠곡군 퇴천면 |
구암동 | |||||
관음동(觀音) | 신약동 가산동 고평리 양지동 |
관음동 | ||||||
동천동(東川) | 동대동 구천동 |
칠곡출장소 →1983년 칠곡3동 |
동천동 | 동천동 | ||||
국우동(國優) | 완전리 국동 자지리 |
국우동 | ||||||
도남동(道南) | 니동 사창리 | |||||||
학정동(鶴亭) | 봉서동 주좌동 천서동 |
대구부 칠곡군 팔거면 →1896년 경상북도 칠곡군 팔거면 | ||||||
동호동(東湖) | 송호동 노본리 동일리 | |||||||
읍내동(邑內) | 서대동[12] 교동 아시동 안양동 |
읍내동 | ||||||
1895년 ~ | 1914년 ~ | 1982년 ~ | 1994년 ~ | 1995년 ~ | 2003년 ~ | 2009년 ~ |
교통[편집]
각주[편집]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1989년 1월 1일 칠곡군 가산면에서 선산군 장천면으로 이관.(대통령령 제12557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년 10월 21일)
- ↑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년 4월 13일)
- ↑ 법률 제4789호 (1994년 12월 20일)
- ↑ 구조례 제375호 (1996년 12월 30일)
- ↑ 구조례 제427호 (1998년 10월 12일)
- ↑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이전에 있었던 동명이다.
- ↑ 가 나 1998년부터 노곡동을 포함한다.
- ↑ 서대동은 퇴천면의 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