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사읍
다사읍 多斯邑 | |
---|---|
Dasa-eup | |
![]() | |
면적 | 36.66 km2 |
인구 | 89,660 명(2022년 3월) |
인구 밀도 | 2,446 명/km2 |
세대 | 30,307가구 |
법정리 | 이천리, 달천리, 박곡리, 방천리, 서재리, 세천리, 죽곡리, 매곡리, 부곡리, 문양리, 문산리 |
통·리·반 | 46행정리 551반 |
읍사무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로 7 |
웹사이트 | 다사읍 행정복지센터 |
다사읍(多斯邑)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읍이다. 1997년 11월 1일에 면에서 읍으로 승격되었고, 2005년 10월 18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개통으로 교통이 편리하다. 대실역이 있는 강창교 인근 죽곡리 일대는 죽곡신도시 건설로 다사읍의 새로운 번화가가 되었으며, 문양리에는 2호선의 문양차량사업소와 문양역이 있다. 달성군 지역 중 최초로 도시철도가 개통되어 현재 운행되는 지역이다.
읍사무소 소재지인 매곡리에는 공영차고지 종점 겸 천연가스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다. 대실역의 개업 후 개발한 죽곡신도시의 발전으로 2019년 4월 10일에 9만 명의 인구를 돌파한 거대 읍으로 성장하여 대구광역시에서 가장 비약적으로 발전한 곳 중 하나다. 생활권으로 보자면, 금호강(강창교) 너머 달서구 성서 지역과 마주 보고 있기 때문에 성서 생활권에 속한다.
역사[편집]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대구군 하동면, 하남면[1]
-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대구군 하동면, 하남면[2]
- 1910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하동면, 하남면[3]
-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 다사면[4]
- 1995년 3월 1일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면
- 1997년 11월 1일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 2001년 3월 19일 서재출장소 설치
행정 구역[편집]
- 서재출장소
- 매곡리(梅谷)(1~16)
- 문양리(汶陽)(1~2)
- 방천리(坊川)
- 세천리(世川)
- 부곡리(釜谷)
- 문산리(汶山)
- 서재리(鋤齋)(1~11)
- 죽곡리(竹谷)(1~15)
- 이천리(伊川)
- 달천리(達川)
- 박곡리(朴谷)
주요 시설[편집]
- 다사읍 행정복지센터
- 다사읍 행정복지센터 서재출장소
- 다사읍주민자치센터
- 보건지소
- 농촌지도소
- 다사읍예비군중대
- 달성경찰서 다사
- 대구강서소방서 다사소방파출소
-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매곡정수사업소
- 대구광역시 위생매립장
-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죽곡정수사업소
- 대구도시철도공사 문양차량사업소(문양역)
- 매곡리 시내버스공영차고지
- 방천리 시내버스공영차고지(경신교통 차고지 겸)
금융 기관[편집]
교육 기관[편집]
- 대실초등학교 (죽곡리)
- 죽곡초등학교 (죽곡리)
- 매곡초등학교 (매곡리)
- 왕선초등학교 (매곡리)
- 다사초등학교 (매곡리)
- 서재초등학교 (서재리)
- 달천분교 (폐교) : 다사읍 다사로 515 (달천리)
- 도림초등학교 (서재리)
- 서동초등학교 (서재리)
- 세천초등학교 (세천리)
- 다사중학교 (매곡리)
- 서재중학교 (서재리)
- 서동중학교 (서재리)
- 심인중학교 (죽곡리)
- 왕선중학교 (매곡리)
- 다사고등학교 (죽곡리)
- 심인고등학교 (죽곡리)
- 달성군립도서관
아파트[편집]
- 매곡리
- (주)삼정 죽곡 삼정그린코아 더 베스트 : 2018년 12월 입주.
- 서재리
- 동화주택 에코폴리스 동화아이위시 : 2015년 12월 입주.
- 세천리
- (주)삼정 북죽곡 삼정그린코아 더 베스트 : 2017년 2월 입주.
- 제일건설 북죽곡 제일풍경채 프라임 : 2017년 8월 입주.
- (주)한라 대구 세천 한라비발디 : 2016년 1월 입주.
- 죽곡리
- 대구도시공사 / 계룡건설산업 죽곡3단지 청아람 리슈빌 : 2012년 2월 입주.
- 대구도시공사 / 대우건설 죽곡 청아람 푸르지오 : 2012년 2월 입주.
- 대구도시공사 / 태왕E&C 죽곡5단지 청아람 : 2017년 10월 입주.
각주[편집]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년 10월 1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