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칙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칙열에서 넘어옴)

가환대수학에서 정칙렬(正則列, 영어: regular sequence 레귤러 시퀀스[*])은 어떤 가군의 크기를 하나씩 ‘최대한’ 줄이는, 가환환 원소들의 열이다.[1]:123–152, Chapter 6 여기서 가군의 ‘크기를 줄인다’는 것은 가환환의 원소로 생성되는 부분 가군에 대한 몫가군을 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칙렬에서 임의의 성분 는 그 이전 성분들()로 생성되는 부분 가군 에 대한 몫가군 영인자가 아니다.

대수기하학적으로, 정칙렬은 여차원을 양의 정수 만큼씩 줄이는 ‘잘라내기’들로서 정의되는 부분 대수다양체에 해당한다.

정의[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가환환
  • 아이디얼
  • 가군 . 또한, 이라고 하자.

유한 원소열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정칙렬이라고 한다.[2]:419

  • 임의의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다. (즉, 영인자가 아니다.)

일부 문헌에서는 정칙렬의 정의에 이라는 조건을 추가한다. 이는 가군의 깊이의 개념을 정의하는 데 더 편리하지만, 이 조건은 국소화에 대하여 보존되지 못한다.

기하학적으로, 정칙렬의 원소는 가군의 소멸자 속의 일련의 부분 스킴들

에 대응된다. 특히, 만약 인 경우 이는 ‘방정식’을 하나씩 추가하여 얻어지는 부분 스킴들의 열

에 해당한다.

성질[편집]

-가군 속의 정칙렬 이 주어졌을 때, 임의의 가역원 에 대하여 역시 정칙렬이다.

국소화[편집]

-가군 속의 정칙렬 이 주어졌으며, 의 곱셈 모노이드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국소화 로 가는 표준 환 준동형 에 대하여, 원소열 역시 의 정칙렬이다.

증명:

가군의 국소화는 완전 함자이며, 따라서 단사 가군 준동형은 단사 가군 준동형으로 대응된다. 가 정칙렬이라는 것은

단사 함수라는 것인데, 이는 단사 함수

이므로 단사 함수이다.

(※만약 정칙렬의 정의에 이라는 조건을 추가한다면, 이 조건은 국소화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보존되지 못한다.)

순열[편집]

정칙렬의 순열은 일반적으로 정칙렬이 아니다.

다만, 뇌터 가환환 유한 생성 가군 에 대하여, 만약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면, 정칙렬 의 순열은 역시 정칙렬이다.[1]:126, Theorem 16.3

  • 아이디얼 근기 부분 집합이다.

깊이[편집]

뇌터 가환환 아이디얼 유한 생성 가군 이 주어졌을 때, 속에 포함된 -정칙렬의 최대 길이를 깊이라고 한다. 이 개념은 호몰로지 대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소 가환환에서, 극대 아이디얼에 포함된 정칙렬의 길이는 그 크룰 차원 이하이다. 이 상한을 포화시키는 (즉, 깊이와 차원이 일치하는) 국소 가환환코언-매콜리 국소환이라고 한다.

[편집]

길이 1의 정칙렬은 단순히 가군의 영인자가 아닌 임의의 원소이다.

정칙렬이 아닌 정칙렬 순열[편집]

를 스스로 위의 가군으로 간주하자. 이 경우,

는 정칙렬이다. 그러나 그 순열

는 정칙렬이 아니다.[1]:127, §16 구체적으로, 영인자가 아니지만, 영인자이다. 예를 들어

이다.

기하학적으로, 는 3차원 아핀 공간이며, 이 경우

으로 정의되는 평면이다. 그 속에서

축이며,

는 그 속의 원점이다.

반면,

평면과 평면의 합집합이다. 그 속에서

축과 평면의 합집합이므로, 이는 양의 여차원을 갖지 못한다.

각주[편집]

  1. Matsumura, Hideyuki (1989년 6월). 《Commutative ring theory》. Cambridge Studies in Advanced Mathematics (영어) 8. 번역 Reid, Miles 2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10.1017/CBO9781139171762. ISBN 978-0-521-36764-6. MR 1011461. 
  2. Eisenbud, David (1995). 《Commutative algebra with a view toward algebraic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50.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5350-1. ISBN 978-0-387-94269-8. ISSN 0072-5285. MR 1322960. Zbl 0819.13001.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