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상수학에서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זייברג-Witten不變量, 영어: Seiberg–Witten invariant)은 4차원 매끄러운 다양체의 불변량의 하나로, 게이지 이론자기 홀극 모듈라이 공간의 성질을 나타낸다. 이는 도널드슨 불변량과 동치인 것으로 추측된다.

정의[편집]

4차원 콤팩트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 스핀C 구조 가 주어졌다고 하자.

수학적 정의[편집]

위의, 스핀C 구조 에 대한 스피너 벡터다발

을 정의하자. 은 각각 위의 복소수 2차원 벡터다발이다. 의 단면이라고 하고, 표준 선다발 위의 접속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자이베르그-위튼 방정식 에 대한 비선형 연립 편미분 방정식이며, 다음과 같다.

여기서 에 의한 공면 미분이며, 의 장세기

의 자기 쌍대 성분이며, 파울리 행렬이다.

자이베르그-위튼 방정식의 해는 자기 홀극이라고 하며, 자이베르그-위튼 방정식의 해의 모듈라이 공간의, 게이지 군의 작용에 대한 몫공간을 자기 홀극 모듈러스 공간(영어: monopole moduli space)이라고 한다.

다양체 단순형 다양체(영어: manifold of simple type)일 경우, 자기 홀극 모듈러스 공간은 0차원이며, 이 경우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은 모듈러스 공간의 점의 수를 부호를 붙여 센 것이다.

물리학적 정의[편집]

SU(2) 초대칭 게이지 이론에서, 낮은 에너지 극한을 취하면 U(1) 초대칭 양자 전기역학, 즉 U(1) 초대칭 게이지 이론 및 대전된 하이퍼 초다중항을 얻는다. 이 경우, 하이퍼 초다중항으로부터 새로 유도되는 장들은 다음과 같다.

기호 U(1) 전하 설명 뒤틀기 전 군 표현 SU(2)left×SU(2)right×SU(2)R×U(1)R 뒤튼 뒤 군 표현 SU(2)left×SU(2)right×U(1)R 뒤튼 뒤 설명
−1 반스페르미온 (0, 0, ½)0 (0,½)0
+1 페르미온 (½, 0, 0)−1 (½,0)−1
−1 반페르미온 (0, ½, 0)+1 (0,½)+1

이 경우 의 다중항을 이룬다. 은 방정식 에 대응한다.

성질[편집]

초대칭 게이지 이론재규격화군 이론을 통해 적외선 (=낮은 에너지) 극한을 가지며, 이 극한은 자이베르그-위튼 이론을 사용하여 완전히 계산할 수 있다. 위상 뒤틀기는 재규격화군 흐름과 가환하므로, 도널드슨 불변량을 자이베르그-위튼 이론을 통해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물리학적으로는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이 도널드슨 불변량과 동치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는 수학적으로 엄밀히 증명되지 않았다.

역사[편집]

1994년에 에드워드 위튼자이베르그-위튼 이론을 기반으로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을 도입하였으며, 이들의 크론하이머-므로카 기본류와의 관계를 제시하였다.[1][2]

참고 문헌[편집]

  1. Witten, Edward (1994). “Monopoles and Four-Manifolds”. 《Mathematical Research Letters》 (영어) 1 (6): 769-796. arXiv:hep-th/9411102. doi:10.4310/MRL.1994.v1.n6.a13. ISSN 1073-2780. 
  2. Moore, Gregory; Witten, Edward (1998). “Integration over the -plane in Donaldson theory”. 《Advances in Theoretical and Mathematical Physics》 (영어) 1 (2): 298-387. arXiv:hep-th/9709193. Bibcode:1997hep.th....9193M. ISSN 1095-0761. Zbl 0899.57021.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22) (도움말)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