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천문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stronomy Portal
여기는 위키백과 천문학 포털입니다 · 천문학 · 위키프로젝트 천문학 · 분류:천문학

천문학이란

천문학(天文學)은 항성, 행성, 혜성, 은하계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다. 우주의 진화, 물리학, 화학, 운석, 천체의 운동, 형성과 발전(진화) 등을 그 대상으로 한다.

천문학자 케플러.
천문학자 케플러.

천문학은 자연과학 가운데 비교적 일찍 시작된 학문으로, 천체를 관측하여 방위를 알고 항해의 원리에 이용하는 등의 목적으로 크게 발전되어 왔다.

은하의 충돌.
은하의 충돌.

17세기를 전후하여 발명된 망원경으로 천문학은 '더 멀리' 볼 수 있게 되었고, 20세기에 이르는 시기에 발전된 역학, 전자기학상대성이론과 같은 현대 물리학의 업적은 천문학과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면서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인간은 지구를 벗어나 우주 공간에서 우주를 관찰·탐험하는 경지에 이르렀다. 20세기에 접어들어 천문학은 천체물리학이라는 특수 연구 분야의 발전에 힘입어 천체에 관한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알찬 글

페가수스자리 IK
페가수스자리 IK

페가수스자리 IK(IK Pegasi) 또는 HR 8210페가수스자리에 있는 쌍성이다. 페가수스자리 IK는 맨눈으로 보일 정도로 밝으며, 태양계에서 150 광년 거리에 있다.

페가수스자리 IK A는 A형 주계열성이며, 광도가 맥동하는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이다. 동반성인 페가수스자리 IK B는 무거운 백색 왜성, 즉 항성 진화의 끝에 다다라서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더 이상 생산해 낼 수 없는 항성이다. 두 별이 서로를 공전하는 주기는 21.7일이며, 둘 사이의 평균 거리는 3,100만 킬로미터(0.21 AU)로 태양수성 사이 거리보다 가깝다.

페가수스자리 IK B는 초신성이 될 가능성이 있는 항성들 가운데 태양계에서 가장 가깝다. IK A가 적색 거성으로 진화하기 시작할 때 쯤이면, IK A의 반지름이 커지고 IK A의 팽창된 기체 외피층이 IK B에 강착될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되면 IK B는 찬드라세카르 한계인 1.44 M에 도달하여 폭발이 일어나 Ia형 초신성이 될 것이다.

이주의 천체

해왕성(海王星; Neptune)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 가장 바깥에 있는 행성이다. 해왕은 바다의 왕이라는 한자어로, 포세이돈(그리스 신화) 또는 넵투누스(로마 신화명)를 번역한 것이다. 표면은 천왕성과 마찬가지로 언 메탄으로 되어있는데, 탁한 청록색의 천왕성과 달리 밝고 맑은 푸른빛을 띤다.

해왕성의 위성은 현재까지 13개가 발견되었다. 이 중 가장 유명한 위성은 트리톤으로, 1846년 윌리엄 라셀에 의해 발견되었다. 두 번째 위성은 트리톤 발견 후 100년이 조금 더 지난 1946년 제러드 카이퍼가 발견하였고, 네레이드라는 이름을 붙였다. 나머지 위성은 보이저 2호가 해왕성을 탐사하던 중 발견되었다.

해왕성은 어두운 행성 고리를 가지고 있다. 1989년 보이저 2호가 해왕성을 탐사하면서 해왕성은 매우 가늘고 어두운 고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주의 천문학자

케플러( Johannes Kepler; 1571년 12월 27일 ~ 1630년 11월 15일 )는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점성학자, 수학자로 과학혁명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가 발견한 행성운동법칙, 즉 케플러의 법칙으로 유명하다. 최초의 이론 천문물리학자라 불리기도 하며 칼 세이건은 그를 최후의 과학적 점성학자라 부른 바 있다.

후에 아이작 뉴턴은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 케플러의 법칙을 설명하는 이론적 발판을 마련하였다.

한편, 케플러는 똑똑했지만 조금 이상한 사람이었는데, 무심코 자기 어머니가 마녀라고 했다가 어머니가 종교재판에 끌려가자 뒤늦게 어머니를 구해냈지만, 옥고로 인해 어머니는 얼마 뒤 죽고 말았다.

천문학 관련 새 소식

오늘의 그림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