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우생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安偶生 Elpin Aan | |
---|---|
작가 정보
| |
출생 | 1907년[1]![]() |
사망 | 1991년 2월 22일![]() | (84세)
국적 | ![]() |
종교 | 천주교(세례명: 베드로) |
필명 | 호(號)는 효당(梟棠) |
활동기간 | 1922년 ~ 1991년 |
장르 | 에스페란토 번역 |
부모 | 안공근(부) |
자녀 | 안기철(장남) 안기호(차남) 안기영(삼남) |
친지 | 안중근(백부) 안정근(중부) 안명근(종숙부) 안경근(종숙부) 안낙생(친아우) 안원생(사촌 형) 안봉생(6촌 남동생) 안춘생(6촌 남동생) 안미생(사촌 누이동생) 안진생(사촌 남동생) |
주요 작품
| |
영향
|
안우생(安偶生, 필명 에스페란토: Elpin Aan 엘핀 안, 1907–1991)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다. 안중근의 조카이며 안공근의 장남이다. 해방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거주하였다.
생애[편집]
1907년 안공근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22년 안우생 가족은 상하이로 이주하였다. 1939년경부터 한국의 독립 운동에 참여하였고, 1942년 9월부터 대한민국 임시 정부 편집부 과원으로 있었다.
안우생은 모국어인 한국어 이외에도 러시아어·중국어·영어·프랑스어·에스페란토를 구사하였고, 특히 ‘엘핀’(에스페란토: Elpin)이라는 필명으로 에스페란티스토로서 활동하였다. 루쉰의 《광인일기》 및 다른 작품들을 최초로써 에스페란토로 번역하였다.
해방 후, 백범 김구의 대회 담당 비서로 있었다. 김구가 암살된 후, 1949년 홍콩에 간 뒤 이후 자취를 감췄고, 월북한 것으로 추정된다.
1986년 4월 북조선 매체 《로동신문》에 〈민족대단합의 위대한 경륜 — 남북연석회의와 김구선생을 회고하면서〉라는 글을 발표하면서, 북조선에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안기철·안기호·안기영 세 아들을 두었다고 한다. 1991년 2월 평양에서 사망하였고, 평양 애국열사릉에 매장되었다.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안우생 - '에스페란토'로 항일을 노래하다
- 권혁철 (2010년 3월 25일).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 북한의 친척들: 조카 안우생 유족 20여명 평양 등 거주”. 한겨레.
- 안중근의 동생 안공근의 아들 안우생의 생애 <인물탐구> 김구 수행 남북연석 회의 참석, 이후 북한으로 이주 안중근평화신문 2009/01/01
- “Esperanto Kaj Elpin” ((비디오)). 유튜브.
- MBC 기획 다큐멘터리 《안중근, 분단을 넘다》 중 안우생 관련 부분
![]() |
이 글은 한국의 독립운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이 글은 작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