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너구리


![]() | |
---|---|
화석 범위: 플리오세–현대 | |
![]()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과: | 아메리카너구리과 |
속: | 아메리카너구리속 |
종: | 아메리카너구리 |
학명 | |
Procyon lotor | |
(Linnaeus, 1758) | |
라쿤의 분포 | |
![]() 라쿤의 분포지역 | |
보전상태 | |
|
아메리카너구리(문화어: 개곰, 학명: Procyon lotor), 완웅(중국어, 일본어:
천적은 퓨마, 재규어, 코요테, 늑대, 곰, 울버린, 대형 맹금류, 아메리카악어, 미시시피악어 등이다.
사냥[편집]
혼자 살거나 작은 가족 집단으로 생활하며, 각자 텃세권이 있다. 밤에 사냥하고 낮에는 보금자리에서 지낸다. 먹이는 게·가재·개구리·물고기·도토리·새알·옥수수·과실·견과류·씨·작은 설치류 등으로 다양하다. 먹이를 먹기 전에 먹이를 물에 씻어 먹는 습성이 있다. 주로 높은 속이 빈 나무나 바위틈, 땅굴 속에서 겨울을 보낸다. 수영 실력이 뛰어나다.
번식[편집]
1년에 1회씩 매년 1월에서 2월 사이에 걸쳐 짝짓기를 하며 짝짓기 후 약 9주가 지나면, 1~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약 20일이 지나면 새끼는 눈을 뜨는 것이 보통이기도 하나, 암컷은 조심스럽게 새끼를 돌보고 수컷이 가까이 오지 못하게 한다. 새끼는 보금자리에서 8~10주 동안 지낸 후에 어미가 먹이를 찾으러 갈 때 따라 나선다. 새끼와 어미는 1년 동안 같이 지낸다.
인간과의 공존[편집]


아메리카너구리(라쿤)는 뛰어난 적응력을 바탕으로, 인간이 남기는 음식물쓰레기를 먹으면서 점차 주택가로 생활권을 넓혀가고 있다. 도시에 살면서 주택가 근처에 서식하는 라쿤의 개체수는 1991년 워싱턴 D.C.에서 15% 정도로 추산되었는데, 2003년에 이르러러서는 43%까지 늘어나는 추세이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아메리카너구리과의 계통 분류이다.[1][2][3]
아메리카너구리과 |
| ||||||||||||||||||||||||||||||||||||||||||||||||||||||||||||||||||||||||
아메리카너구리가 모티브인 캐릭터[편집]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 ↑ K.-P. Koepfli, M. E. Gompper, E. Eizirik, C.-C. Ho, L. Linden, J. E. Maldonado, R. K. Wayne (2007). “Phylogeny of the Procyonidae (Mammalia: Carvnivora): Molecules, morphology and the Great American Interchang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3 (3): 1076–1095. doi:10.1016/j.ympev.2006.10.003. PMID 17174109.
- ↑ Helgen, K. M.; Pinto, M.; Kays, R.; Helgen, L.; Tsuchiya, M.; Quinn, A.; Wilson, D.; Maldonado, J. (2013년 8월 15일). “Taxonomic revision of the olingos (Bassaricyon),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the Olinguito”. 《ZooKeys》 324: 1–83. doi:10.3897/zookeys.324.5827.
- ↑ Eizirik, E.; Murphy, W. J.; Koepfli, K.-P.; Johnson, W. E.; Dragoo, J. W.; Wayne, R. K.; O’Brien, S. J. (2010년 2월 4일).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56 (1): 49–63. doi:10.1016/j.ympev.2010.01.033. PMID 20138220.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