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 나트륨이뇨 펩티드

심방 나트륨이뇨 펩티드(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는 심방으로부터 분비되는 펩티드 호르몬이다. 혈중 소듐 이온 농도를 낮추고 동맥압을 줄여 체액과 순환계의 항상성 조절에 기여하며,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와 길항적 작용을 한다.
구조[편집]
심방 나트륨이뇨 펩티드(이하 ANP)는 28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단백질이며, 단백질 구조 중간에 1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고리를 가진다. 고리는 이황화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ANP는 같은 고리 구조를 갖는 뇌 나트륨이뇨 펩티드(BNP), C형 나트륨이뇨 펩티드(CNP)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능[편집]
ANP의 분비를 유도하는 요인은 혈중 NaCl의 증가, 세포외액 부피의 증가, 동맥압의 증가 등 전반적으로 체액이 증가되었을 때이다. 증가된 체액에 의해 심방의 평활근세포가 물리적으로 확장되는 정도가 커질 때 심방이 ANP를 분비한다(따라서, 혈중 소듐 이온의 증가는 직접적인 ANP 분비 자극원은 아니다[1]).
ANP가 분비되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신장 집합관에서 NaCl 재흡수억제
- 신장에서 레닌 분비 억제 : 이는 혈압을 증가시키고 소듐 이온과 물을 보존하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를 억제한다.
- 부신피질에서 알도스테론 분비 억제 : 소듐 이온과 물의 재흡수를 촉진하는 알도스테론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한다.
- 입수소동맥 이완 : 사구체 혈압을 높임으로써 여과율을 증가시킨다.
- 심장과 혈관에 대한 교감신경계의 활성 억제 : 심박출량 감소와 말초혈관 저항의 감소로 직접적으로 혈압을 낮춘다.
각주[편집]
- ↑ Widmaier, Eric P.; Hershel Raff; Kevin T. Strang (2008). 《Vander's Human Physiology, 11th Ed.》. McGraw-Hill. 291, 509–10쪽. ISBN 978-0-07-304962-5.
외부 링크[편집]
- 의학주제표목 (MeSH)의 Atrial+Natriuretic+Factor
- 인간 NPPA 게놈 위치와 NPPA 유전자의 상세한 설명은 UCSC 게놈 브라우저에 있습니다.
- 모든 구조 정보의 개요는 유니포트의 PDB로 볼 수 있습니다: P01160 (Natriuretic peptides A) - PDBe-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