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리에 A

세리에 A | |
---|---|
![]() | |
대륙 | UEFA |
협회 | FIGC |
국가 | ![]() |
주최 기관 | 레가 세리에 A |
리그 등급 | 1부 |
개최 주기 | 매년 |
시즌 시작 | 8월 |
시즌 종료 | 5월 |
선수단 | 20개 구단 |
하위 리그 | 세리에 B |
대륙 대회 |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리그 UEFA 유로파콘퍼런스리그 |
국내 대회 | 코파 이탈리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웹사이트 | legaseriea.it |
역사 | |
설립 | 1898년 |
역대 시즌 수 | 120회 |
최다 우승 | 유벤투스 (36회) |
최근 우승 | 인테르 (2020-21) |
![]() | |
![]() 스쿠데토 트리콜로레 |
세리에 A(이탈리아어: Serie A 세리에 아[*])는 이탈리아의 남자 축구 리그 중 최상위 프로 리그이며, 스폰서십으로 세리에 A TIM이 공식 명칭이다. 레가 나치오날레 프로페시오니스티 세리에 A에서 주관한다.[1]
FIGC 공인 하에 1898년 대회가 첫 대회로 인정되었으며, 현재의 전국 단일 조로 구성된 리그방식은 1929년부터 시행했다. 가장 많이 우승한 구단은 36번을 우승한 유벤투스이며, 인테르는 리그 구성이 단일 조로 개편된 이래로 강등의 역사가 없는 모든 시즌에 참가한 구단이다.
세리에 A의 UEFA 계수 순위는 유럽 클럽 대항전 진출권 수를 결정짓는데, 2020-21시즌 후, UEFA 계수에서 3위를 기록했다. 이는 잉글랜드의 프리미어리그와 스페인의 라리가 다음이다.[2] 2020년 세리에 A는 IFFHS에서 매년 선정하는 올해의 세계 리그 순위에서 1위에 선정됐다.[3]
구성 및 규정[편집]
1929-30 시즌은 세리에 A 역사의 중요한 분기점으로 평가받는데, 이는 이전까지는 아마추어 리그였으며, 지역단위의 조로 구성된 리그를 전국 단일 조로 통합된 리그가 시작됐기 때문이다.[4] 순위와 대진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보다 공정한 방법인 리그전으로 순위를 정하게 됐다. 리그의 구단 수 구성을 16개 혹은 18개 사이에서 바뀌고 바뀌는 과정들은 있어왔지만 이를 제외한 다른 규정의 개정은 없었고, 참가 구단 수는 2004-05 시즌부터 20개 구단으로 확장되기에 이른다.[5] 승점에 관해서는 승리를 거둘시 3점이 부여되며(1994-95 시즌 전까지는 2점 이었다.[6]), 무승부에는 1점, 패배에는 승점이 주어지지 않는다. 최종 순위 결정 시 동일 승점의 다수 구단이 있는경우 아래의 순위결정 기준이 적용된다. 적용 순서대로 상대 전적 승점, 상대 전적 득실차, 종합 골 득실차, 종합 득점 수, 제비 순이다. 과거 2005년 이전가지는 플레이오프 경기를 별도로 가지는게 관행이었다.
38 라운드까지 종료된 후 1위 구단은 스쿠데토와 더불어 이탈리아 챔피언 타이틀을 얻게되며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 자격을 받는다. 리그 2~4위 구단들은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진출 자격을 부여받으며, 리그 5위 구단과 코파 이탈리아 우승 구단은 UEFA 유로파리그 조별리그 진줄 자격을 받고, 6위 구단은 UEFA 유로파콘퍼런스리그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받는다. 만약 코파 이탈리아 우승 구단이 리그 순위 5위권 이내에 있다면, 5, 6위 구단이 유로파리그로, 7위 구단이 유로파콘퍼런스리그로 진출할 수 있게된다. 리그 하위 3개 구단은 세리에 B로 강등되며, 세리에 B에서 승격하는 구단들로 빈 자리를 채우게 된다.
트로피 및 상징물[편집]
우승 구단은 그 다음 시즌 동안 자신의 유니폼에 그 전 시즌 우승을 상징하는 스쿠데토를 붙일 수 있는데, 스쿠데토는 이탈리아 삼색기가 그려진 방패 모양의 배지이며, 1924-25 시즌에 그 전 시즌에 우승한 제노아가 처음으로 착용됐다. 1960-61 시즌부터 우승 구단은 공식 세리에 A 트로피인 코파 캄피오니 디탈리아 우승 트로피 또한 수여 받는다.
1958년, 움베르토 아녤리의 아이디어로 이탈리아 최상위 축구 리그에서 10번 우승이라는 대업을 이룬 구단에게 특별한 별을 수여하기로 결정했다. 황금색의 오각별 모양의 배지는 유니폼에 부착되는데, 보통 구단 로고와 함께 있는 걸 볼 수 있다.[7] 유벤투스가 1957-58 시즌으로 10번째 스쿠데토의 업적을 이룩하며 이 황금별을 가져갔는데, 이로서 유벤투스는 세계 최초로 우승 기념 배지가 부착된 유니폼을 입는 구단이 됐다.[8] 50년 대에 유벤투스가 황금별을 가져간 이후로 60년 대에는 인테르가, 70년대에는 밀란이 10번째 우승을 거두며 황금별을 가져갔다. 유벤투스는 이탈리아 축구계에 있어 유일하게 20, 30번의 세리에 A 우승으로 2개 이상의 별을 부착하는 구단이다.
현재 세리에 A에서 황금 별을 받은 구단.
역사[편집]
1898년에 시작된 세리에 A는 초창기 약 20년 동안은 아마추어 구단들로 이루어져 있었고 대중의 관심이 낮았으며,[9] 이 기간동안 첫 번째 이탈리아 챔피언이 된 제노아와 프로 베르첼리가 대부분의 우승을 차지했다.[10] 이탈리아 축구 연맹(FIGC)은 리그 원년인 1898년에 조직되어 리그를 주최 및 주관했다. 1921년 축구리그 개혁을 주장한 비토리오 포초가 새로운 리그를 만들자는 '포초 계획'을 세웠고, '포초 계획' 측과 FIGC간의 협정이 불발되며 이탈리아에 2개의 리그가 공존하는 상황이 생겼다. 신생 리그의 1921-22 시즌은 이탈리아 축구 동맹(CCI)이 주관하여 세리에 A 역사상 유일하게 FIGC가 주관하지 않은 시즌이 됐다. 이듬해 '콜롬보 타협'을 통해 FIGC가 '포초 계획'을 수용하며 재결합에 성공을 한다.[11]
1920년대 말까지 이탈리아 축구 리그는 리그전으로 진행되는 여러개의 지역단위 조와 각 조의 승자들이 참가하는 토너먼트의 구성이었다. 하지만, 1929-30 시즌부터 '세리에 A'라는 새로운 이름과 함께, 지역단위 조의 구성을 폐지하고(1909-10시즌에 한번 시행됐던) 통합된 단일 리그전의 구성으로 개편을 하여 오늘날까지 내려오고 있다. 1930년대의 시작은 이탈리아 축구 역사에서도 그리고 사회 전반에 걸쳐 크나큰 분기점이 됐다. 최다 우승 구단 유벤투스, 국제 대회 트로피 수집가 밀란, 강등의 역사가 없는 인테르 구단을 부르는 소위 '트레 그란디'(빅 3)의 새 시대가 열렸다.[12] 수 많은 팬들이 생겨났고 미디어의 주목을 받으며 사이클링을 대신하여 명실공히 축구를 이탈리아 인기 스포츠로 만들었다.[9]
전간기와 제2차 세계 대전 전후시기에 한해서 밀라노-토리노(밀란, 인테르와 유벤투스)라는 이탈리아 축구의 패권은 볼로냐와 또다른 토리노 구단인 토리노에 의해 심심치않게 무너졌다. 이후 수십년동안 볼로냐, 토리노와 더불어 피오렌티나, 라치오, 로마, 나폴리가 간헐적으로 스쿠데토를 들어올리긴 했으나, 연패로 이어지는 일은 없었다. 로마는 1941-42시즌에 최초로 북부지방에 쏠려있던 헤게모니를 무너뜨리고 우승을 거둔 최초의 중남부 구단이라는 역사를 만들어냈다.[13] 이보다 더 드문 위업을 남긴 구단으로는 카살레, 노베세(상기된 FIGC와 CCI의 분열로 강팀 및 인기 구단들이 CCI로 유출된 FIGC 1921-22 시즌에서 거둔 우승)가 20세기 전반에, 후반에는 칼리아리, 베로나, 삼프도리아가 있다.
잉글랜드에서 열린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의 조별예선 탈락 후 레가 나치오날레 프로페시오니스티는 해외 리그에서 외국인 선수를 영입하는 것을 전면 금지한다.[14] 1981-82시즌에 이르러 이탈리아 축구의 순위가 역대 최하인 12위까지 떨어지고 벨기에, 소련, 동독, 체코슬로바키아와 같은 제2등급 리그로 분류되는 수모를 겪는다.[15] 1980년대 초반에 이르러 위의 금지법은 서서히 완화되기 시작한다.
역설적이게도 세리에 A는 첨단 기술이 접목된 훈련 시스템과 외국인 선수 시장 재개방으로 리그 수준이 질적으로 향상되어[16] 1980, 90년대에 명성에서나 업적에서도 최고를 찍게된다.[17] 당시 세리에 A 팀은 유럽 클럽 대항전에 꾸준히 좋은 성적들을 남겼다. 특히 1989-90시즌에는 이탈리아 축구 구단이 3개의 주요 UEFA 클럽 대항전을 모두 석권하는 역사적인 대업을 이룬 때였다. 당시 이탈리아 리그는 수 년동안 UEFA 계수에서 1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18]
2000년대 후반 세리에 A는 여전히 유럽 주요 리그로 남아있지만 안개 속에 있는 상태다.[19] 이는 배팅, 팬 및 관중의 감소,[20] 구단의 불안정한 재정 상태,[19][21] 기술적 부분의 저하 등이 이유로 꼽힌다.
세리에 A 참가 구단[편집]
2021-22 시즌 참가 구단[편집]
총 20개의 구단이 참가하고 있으며, 이 중 3개 구단인 엠폴리(1위), 살레르니타나(2위), 베네치아(5위, 승격 플레이오프 승자)가 세리에 B에서 승격했다.
세리에 A 참가 시즌 횟수[편집]
1929-30시즌부터 2021-22시즌까지 총 90회의 세리에 A 리그전 형식의 시즌 중 67개의 구단이 세리에 A에 참가했다.(굵은 글씨의 팀들은 현재 세리에 A에 속한 구단들이다.)
- 90 시즌: 인테르
- 89 시즌: 유벤투스, 로마
- 88 시즌: 밀란
- 84 시즌: 피오렌티나
- 79 시즌: 라치오
- 78 시즌: 토리노
- 76 시즌: 나폴리
- 75 시즌: 볼로냐
- 65 시즌: 삼프도리아
- 61 시즌: 아탈란타
- 55 시즌: 제노아
- 49 시즌: 우디네세
- 42 시즌: 칼리아리
- 31 시즌: 베로나
- 30 시즌: 바리, 비첸차
- 29 시즌: 팔레르모
- 27 시즌: 파르마
- 26 시즌: 트리에스티나
- 23 시즌: 브레시아
- 19 시즌: SPAL
- 18 시즌: 리보르노
- 17 시즌: 카타니아, 키에보
- 16 시즌: 레체, 아스콜리, 파도바
- 14 시즌: 엠폴리
- 13 시즌: 노바라, 모데나, 베네치아, 알레산드리아, 체세나, 코모, 페루자
- 12 시즌: 프로 파트리아
- 11 시즌: 포자
- 10 시즌: 아벨리노
- 9 시즌: 레지나, 사수올로, 시에나
- 8 시즌: 루케세, 삼피에르다레네세, 피아첸차
- 7 시즌: 만토바, 바레세, 카탄차로, 크레모네세, 피사, 페스카라
- 6 시즌: 프로 베르첼리
- 5 시즌: 메시나
- 4 시즌: 카살레
- 3 시즌: 레냐노, 레자나, 레코, 살레르니타나, 크로토네
- 2 시즌: 베네벤토, 스페치아, 안코나, 테르나나, 프로시노네
- 1 시즌: 카르피, 트레비소, 피스토이에세
역대 우승 구단[편집]
이하는 1898년부터 지금까지 이탈리아 최상위 프로 리그 우승구단이며 총 16개 구단이 우승을 했으며, 1929-30시즌부터 리그전으로 바뀐 이래로 "이탈리아 챔피언" 타이틀은 단 12개 구단이 가져갔다.
연대기순 우승 구단[편집]
- 1898: 제노아 (1회)
- 1899: 제노아 (2회)
- 1900: 제노아 (3회)
- 1901: 밀란 (1회)
- 1902: 제노아 (4회)
- 1903: 제노아 (5회)
- 1904: 제노아 (6회)
- 1905: 유벤투스 (1회)
- 1906: 밀란 (2회)
- 1907: 밀란 (3회)
- 1908: 프로 베르첼리 (1회)
- 1909: 프로 베르첼리 (2회)
- 1909-10: 인테르 (1회)
- 1910-11: 프로 베르첼리 (3회)
- 1911-12: 프로 베르첼리 (4회)
- 1912-13: 프로 베르첼리 (5회)
- 1913-14: 카살레 (1회)
- 1914-15: 제노아 (7회)
- 1915에서 1919까지: 비공인 리그
- 1919-: 인테르 (2회)
- 1920-21: 프로 베르첼리 (6회)
- 1921-22 FIGC: 노베세 (1회)
- 1921-22 CCI: 프로 베르첼리 (7회)
- 1922-23: 제노아 (8회)
- 1923-24: 제노아 (9회)
- 1924-25: 볼로냐 (1회)
- 1925-26: 유벤투스 (2회)
- 1926-27: 토리노 우승 박탈
- 1927-28: 토리노 (1회)
- 1928-29: 볼로냐 (2회)
- 1929-30: 암브로시아나 (3회)
- 1930-31: 유벤투스 (3회)
- 1931-32: 유벤투스 (4회)
- 1932-33: 유벤투스 (5회)
- 1933-34: 유벤투스 (6회)
- 1934-35: 유벤투스 (7회)
- 1935-36: 볼로냐 (3회)
- 1936-37: 볼로냐 (4회)
- 1937-38: 암브로시아나-인테르 (4회)
- 1938-39: 볼로냐 (5회)
- 1939-40: 암브로시아나-인테르 (5회)
- 1940-41: 볼로냐 (6회)
- 1941-42: 로마 (1회)
- 1942-43: 토리노 (2회)
- 1943부터 1945까지: 비공인 리그
- 1945-46: 토리노 (3회)
- 1946-47: 토리노 (4회)
- 1947-48: 토리노 (5회)
- 1948-49: 토리노 (6회)
- 1949-50: 유벤투스 (8회)
- 1950-51: 밀란 (4회)
- 1951-52: 유벤투스 (9회)
- 1952-53: 인테르 (6회)
- 1953-54: 인테르 (7회)
- 1954-55: 밀란 (5회)
- 1955-56: 피오렌티나 (1회)
- 1956-57: 밀란 (6회)
- 1957-58: 유벤투스 (10회)
- 1958-59: 밀란 (7회)
- 1959-60: 유벤투스 (11회)
- 1960-61: 유벤투스 (12)
- 1961-62: 밀란 (8회)
- 1962-63: 인테르 (8회)
- 1963-64: 볼로냐 (7회)
- 1964-65: 인테르 (9회)
- 1965-66: 인테르 (10회)
- 1966-67: 유벤투스 (13회)
- 1967-68: 밀란 (9회)
- 1968-69: 피오렌티나 (2회)
- 1969-70: 칼리아리 (1회)
- 1970-71: 인테르 (11회)
- 1971-72: 유벤투스 (14회)
- 1972-73: 유벤투스 (15회)
- 1973-74: 라치오 (1회)
- 1974-75: 유벤투스 (16회)
- 1975-76: 토리노 (7회)
- 1976-77: 유벤투스 (17회)
- 1977-78: 유벤투스 (18회)
- 1978-79: 밀란 (10회)
- 1979-80: 인테르 (12회)
- 1980-81: 유벤투스 (19회)
- 1981-82: 유벤투스 (20회)
- 1982-83: 로마 (2회)
- 1983-84: 유벤투스 (21회)
- 1984-85: 베로나 (1회)
- 1985-86: 유벤투스 (22회)
- 1986-87: 나폴리 (1회)
- 1987-88: 밀란 (11회)
- 1988-89: 인테르 (13회)
- 1989-90: 나폴리 (2회)
- 1990-91: 삼프도리아 (1회)
- 1991-92: 밀란 (12회)
- 1992-93: 밀란 (13회)
- 1993-94: 밀란 (14회)
- 1994-95: 유벤투스 (23회)
- 1995-96: 밀란 (15회)
- 1996-97: 유벤투스 (24회)
- 1997-98: 유벤투스 (25회)
- 1998-99: 밀란 (16회)
- 1999-00: 라치오 (2회)
- 2000-01: 로마 (3회)
- 2001-02: 유벤투스 (26회)
- 2002-03: 유벤투스 (27회)
- 2003-04: 밀란 (17회)
- 2004-05: 유벤투스 우승 박탈
- 2005-06: 인테르 (14회)
- 2006-07: 인테르 (15회)
- 2007-08: 인테르 (16회)
- 2008-09: 인테르 (17회)
- 2009-10: 인테르 (18회)
- 2010-11: 밀란 (18회)
- 2011-12: 유벤투스 (28회)
- 2012-13: 유벤투스 (29회)
- 2013-14: 유벤투스 (30회)
- 2014-15: 유벤투스 (31회)
- 2015-16: 유벤투스 (32회)
- 2016-17: 유벤투스 (33회)
- 2017-18: 유벤투스 (34회)
- 2018-19: 유벤투스 (35회)
- 2019-20: 유벤투스 (36회)
- 2020-21: 인테르 (19회)
구단 별 우승 수[편집]
관중 수[편집]
아래의 막대 그래프는 1962-63시즌부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무관중으로 진행된 2020-21시즌까지 평균 경기장 관중 수의 추이이다.
기록[편집]
최다 출전[편집]
리그전이 시행된 1929-30시즌부터 현재까지의 통계이며,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 1944와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 1945-1946는 제외된다.
- * 2021년 6월 30일 기준
순 | 국적 | 이름 | 출장 | 득점 | 시즌 수 | 기간 | 소속 구단 |
---|---|---|---|---|---|---|---|
1 | ![]() |
잔루이지 부폰 | 657[A][B] | − | 24 | 1995~2006, 2007~2018, 2019~2021년 | 168 파르마, 489 유벤투스 |
2 | ![]() |
파올로 말디니 | 647[A] | 29 | 25 | 1984~2009년 | 647 밀란 |
3 | ![]() |
프란체스코 토티 | 619 | 250 | 25 | 1992~2017년 | 619 로마 |
4 | ![]() |
하비에르 사네티 | 615[A] | 12 | 19 | 1995~2014년 | 615 인테르 |
5 | ![]() |
잔루카 팔리우카 | 592[A] | − | 19 | 1987~2005, 2006~2007년 | 198 삼프도리아, 165 인테르, 206 볼로냐, 23 아스콜리 |
6 | ![]() |
디노 초프 | 570 | − | 20 | 1961~1962, 1963~1965, 1966~1983년 | 4 우디네세, 93 만토바, 143 나폴리, 330 유벤투스 |
7 | ![]() |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 | 562[A] | 38 | 20 | 1980~2000년 | 30 코모, 28 피오렌티나, 30 로마, 358 삼프도리아, 21 유벤투스, 16 밀란, 79 피아첸차 |
8 | ![]() |
로베르토 만치니 | 541[A] | 156 | 19 | 1981~2000년 | 30 볼로냐, 424 삼프도리아, 87 라치오 |
9 | ![]() |
실비오 피올라 | 537 | 274 | 21 | 1929~1943, 1946~1947, 1948~1954년 | 127 프로 베르첼리, 227 라치오, 28 유벤투스, 155 노바라 |
10 | ![]() |
엔리코 알베르토시 | 532 | − | 21 | 1958~1980년 | 185 피오렌티나, 177 칼리아리, 170 밀란 |
- 주석
최다 득점[편집]
리그전이 시행된 1929-30시즌부터 현재까지의 통계이며,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 1944와 디비시오네 나치오날레 1945-1946는 제외된다.
- * 2021년 6월 30일 기준
순 | 국적 | 성명 | 득점 | 출장 | 평균 | 활동 기간 | 구단 별 득점 |
---|---|---|---|---|---|---|---|
1 | ![]() |
실비오 피올라[A] | 274 | 537 | 0.51 | 1929-1943, 1946-1947, 1948-1954 | 51 프로 베르첼리, 143 라치오, 10 유벤투스, 70 노바라 |
2 | ![]() |
프란체스코 토티 | 250 | 619 | 0.40 | 1992-2017 | 250 로마 |
3 | ![]() |
군나르 노르달 | 225 | 291 | 0.77 | 1949-1958 | 210 밀란, 15 로마 |
4 | ![]() |
주세페 메아차[A] | 216 | 367 | 0.59 | 1929-1943, 1946-1947 | 197 인테르, 9 밀란, 10 유벤투스 |
4 | ![]() ![]() |
조제 알타피니 | 216 | 459 | 0.47 | 1958-1976 | 120 밀란, 71 나폴리, 25 유벤투스 |
6 | ![]() |
안토니오 디 나탈레 | 209 | 445 | 0.47 | 2002-2016 | 18 엠폴리, 191 우디네세 |
7 | ![]() |
로베르토 바조 | 205 | 452 | 0.45 | 1985-2004 | 39 피오렌티나, 78 유벤투스, 12 밀란, 22 볼로냐, 9 인테르, 45 브레시아 |
8 | ![]() |
쿠르트 함린 | 190 | 400 | 0.48 | 1956-1971 | 8 유벤투스, 20 파도바, 150 피오렌티나, 9 밀란, 3 나폴리 |
9 | ![]() |
주세페 시뇨리 | 188 | 344 | 0.54 | 1991-2004 | 11 포자, 107 라치오, 3 삼프도리아, 67 볼로냐 |
9 | ![]() |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 188 | 478 | 0.39 | 1993-2006, 2007-2012 | 188 유벤투스 |
9 | ![]() |
알베르토 질라르디노 | 188 | 514 | 0.37 | 1999-2014, 2015-2017 | 3 피아첸차, 5 베로나, 50 파르마, 36 밀란, 52 피오렌티나, 19 제노아, 13 볼로냐, 10 팔레르모 |
- 주석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Serie A come la Premier League” (이탈리아어). repubblica.it. 2009년 4월 30일. 2019년 4월 2일에 확인함.
- ↑ “UEFA Country Ranking 2021” (영어).
- ↑ “IFFHS WORLD'S BEST NATIONAL LEAGUE IN THE WORLD 2020” (영어). IFFHS. 2021년 1월 20일.
- ↑ “La genesi del Girone Unico” (이탈리아어). storiedicalcio.altervista.org. 2019년 4월 2일에 확인함.
- ↑ “Come sarebbe la Serie A a 16 squadre” (이탈리아어). ultimouomo.com. 2017년 3월 24일. 2019년 4월 5일에 확인함.
- ↑ Bianchi, Fulvio (1994년 3월 3일). “' BASTA, SI' AI 3 PUNTI'” (이탈리아어). 2019년 4월 2일에 확인함.
- ↑ Fulvio Bianchi (2009년 11월 18일). “La Juventus e la terza stella. Deciderà la Federcalcio” (이탈리아어). la Repubblica.
- ↑ “FIFA awards special 'Club World Champion' badge to AC Milan” (영어). FIFA.com. 2019년 4월 3일에 확인함.
- ↑ 가 나 Bernardini, Massimo; Bisegna, Alessandra; Cirafici, Francesco & Gorno, Cristoforo (2013년 12월 9일). 《Calcio anni '30》 (DVD) (이탈리아어). Rai Educational. 2019년 4월 3일에 확인함.
- ↑ “"Primi campioni d'Italia", il Genoa lancia la maglia celebrativa” (이탈리아어). genova.repubblica.it. 2015년 5월 9일. 2019년 4월 5일에 확인함.
- ↑ “Il compromesso Colombo” (이탈리아어). guerinsportivo.it. 2011년 2월 19일. 2019년 4월 5일에 확인함.
- ↑ Gamba, Emanuele (2005년 10월 24일). “Le tre grandi vanno (bravo Carletto) Roma, solo un derby di mediocrità” (이탈리아어). La Repubblica. 2019년 4월 3일에 확인함.
- ↑ Schianchi, Andrea (2016년 2월 9일). “Gli altri Leicester: storie di piccole che divorano gli squadroni” (이탈리아어). La Gazzetta dello Sport. 2019년 4월 5일에 확인함.
- ↑ “65 ANNI DI LEGGI” (이탈리아어). repubblica.it. 1992년 1월 9일. 2019년 4월 5일에 확인함.
- ↑ Bomba, Antonio (2014년 4월 24일). “La storia (ufficiale e non) del Ranking UEFA: gli anni ’80” (이탈리아어). tifosobilanciato.it. 2020년 10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5일에 확인함.
- ↑ Sorrentino, Andrea (2008년 1월 11일). “Il boom dei calciatori stranieri Bravi o scarsi, chi li ferma più?” (이탈리아어). repubblica.it. 2019년 4월 5일에 확인함.
- ↑ Vernazza, Sebastiano (2015년 12월 5일). “Serie A, ora ci piaci: è il nuovo Rinascimento italiano” (이탈리아어). gazzetta.it. 2019년 4월 5일에 확인함.
- ↑ Mastrolonardo, Raffaele. “Un pallone sempre meno d’oro, il declino della Serie A” (이탈리아어). wired.it. 2019년 4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Padovan, Giancarlo. “Il declino del calcio italiano” (이탈리아어). treccani.it. 2019년 4월 5일에 확인함.
- ↑ Bianchi, Fulvio (2015년 10월 5일). “Ma che tristezza quegli stadi vuoti” (이탈리아어). repubblica.it. 2019년 4월 5일에 확인함.
- ↑ Iaria, Marco (2015년 5월 3일). “Serie A a un passo dal crac: i debiti salgono da 1,6 a 1,7 miliardi” (이탈리아어). gazzetta.it. 2019년 4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이탈리아어/영어) 레가 세리에 A
- (이탈리아어/영어) 이탈리아 축구 연맹(FIGC; Federazione Italiana Giuoco Calc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