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르바 HNL
프르바 HNL Hrvatska Nogometna Liga | |
---|---|
대륙 | UEFA |
국가 | ![]() |
리그 등급 | 1 |
선수단 | 10 |
하위 리그 | 드루가 HNL |
대륙 대회 |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컨퍼런스리그 |
국내 대회 | 크로아티아 컵 크로아티아 슈퍼컵 |
역사 | |
설립 | 1992 |
최다 우승 | 디나모 자그레브 (23회) |
최근 우승 | 디나모 자그레브 (2021-22) |
![]() |
프르바 HNL(크로아티아어: Prva hrvatska nogometna liga 프르바 흐르바트스카 노고메트나 리가, 약칭 ‘1.HNL’)은 크로아티아의 최상위 축구 리그이다.
1.HNL은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가 소멸함에 따라, 1991년에 크로아티아 축구 연맹이 만든 것이며, 첫 시즌은 1992년 2월에 시작되었다. 이 때부터 리그는 시스템과 참가 클럽의 수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현재는 10개 팀이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각 시즌은 8월 초에 시작하여 중간에 12월과 1월의 휴식기를 포함하여 5월에 끝이 난다. 과거에는, 각 팀들이 여섯 팀씩 두 그룹으로 나뉘어 3월까지 플레이를 계속했다. 두 그룹은 챔피언십 리그와 강등권 리그로 불렸다. 그러나 2012-13시즌부터 10개 팀이 전반기에 두 차례 씩 맞붙고 후반기에 상위/하위 스플릿으로 나뉘어 두차례씩 맞붙는 구조로 리그가 진행된다.
시즌이 끝날 때, 최하위팀은 드루가 HNL로 곧바로 강등되고, 두 번째 최하위팀은 2부리그의 2위팀과 강등 플레이오프를 펼쳐 잔류 및 강등을 결정하게 된다. 리그 우승 팀과 준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리그 2차 예선에 진출하고, 3~4위팀은 UEFA 유로파리그 2차 예선에 진출한다. 크로아티아 컵의 우승 팀은 UEFA 유로파리그 3차 예선에 나가게 된다.
현재 유럽 리그 순위는 20위이다.
참가팀[편집]
2022-23 프르바 HNL | |||
구단명 | 순위 (2021-22) |
연고지 | 창단연도 |
---|---|---|---|
디나모 | 1위 | 자그레브 | 1911 |
하이두크 | 2위 | 스플리트 | 1911 |
오시예크 | 3위 | 오시예크 | 1947 |
리예카 | 4위 | 리예카 | 1946 |
로코모티바 | 5위 | 자그레브 | 1914 |
고리차 | 6위 | 벨리카고리차 | 2009 |
슬라벤 벨루포 | 7위 | 코프리브니차 | 1907 |
시베니크 | 8위 | 시베니크 | 1932 |
NK 이스트라 1961 | 9위 | 풀라 | 1961 |
바라주딘 ![]() |
드루가 HNL 1위 | 바라주딘 | 2012 |
역대 우승 팀[편집]
크로아티아는 제2차 세계대전 중이었던 1940년부터 1944년까지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절(1939~41년)과 크로아티아 독립국 시절(1941~45년) 자체 리그를 갖고 있었다. 크로아티아 축구 협회는 당시 크로아티아가 지금의 크로아티아와 다름에도 불구하고 그 당시 리그를 지금의 1.HNL과 연결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 1941년: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 1942년: 콘코르디아 자그레브
- 1943년: 그라단스키 자그레브
1944년 시즌은 HAŠK 자그레브와 SAŠK 사라예보의 결승전을 앞두고 전쟁에 인한 소요로 우승 팀을 결정하지 못하고 끝났다.
팀별 우승횟수[편집]
순위 | 팀명 | 횟수 | 우승년도 |
---|---|---|---|
1 | 디나모 자그레브 | 23* | 1993, 1996 , 1997, 1998, 1999, 2000, 2003,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
2 | 하이두크 스플리트 | 6 | 1992, 1994, 1995, 2001, 2004, 2006 |
3 | NK 리예카 | 1 | 2016 |
4 | NK 자그레브 | 1 | 2002 |
- *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시절 5회의 우승기록 포함.
UEFA 랭킹[편집]
리그[편집]
2020년 8월 1일 기준[1]
2020 rank |
2019 rank |
변동 | 리그 | 계수 |
---|---|---|---|---|
17 | 14 | ![]() |
![]() |
26.300 |
18 | 17 | ![]() |
![]() |
25.600 |
19 | 19 | ![]() |
![]() |
25.500 |
20 | 15 | ![]() |
![]() |
24.875 |
21 | 22 | ![]() |
![]() |
22.750 |
22 | 23 | ![]() |
![]() |
21.750 |
23 | 27 | ![]() |
![]() |
19.625 |
각주[편집]
- ↑ “Member associations - UEFA rankings - Country coefficients –”. Uefa.com. 2020년 8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