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우데르 기저
함수해석학에서 샤우데르 기저(Schauder基底, 영어: Schauder basis)는 위상 벡터 공간에 대하여 정의되는, 벡터 공간의 기저와 유사한 개념이다.[1]:§10, 89–102 그러나 벡터 공간의 기저에서는 모든 원소가 유한 개의 기저 벡터의 합으로 나타내어지는 반면, 샤우데르 기저의 경우 모든 원소는 샤우데르 기저 벡터들의 무한 급수로 나타내어진다.
정의
[편집]라고 하자. 위상체 위의 위상 벡터 공간 위의 샤우데르 기저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원소들의 열이다.
- 임의의 원소 에 대하여, 가 되는 수열 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일 경우, 샤우데르 기저의 순서가 중요한데, 이는 위 급수의 수렴이 절대 수렴이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일 경우 샤우데르 기저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으며, 이 경우 벡터 공간의 일반적 기저의 개념와 일치한다.
바나흐 공간 위의 샤우데르 기저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정규 샤우데르 기저(正規Schauder基底, 영어: normalized Schauder basis)라고 한다.
- 모든 에 대하여,
무조건 샤우데르 기저
[편집]라고 하자. 위상체 위의 위상 벡터 공간 위의 샤우데르 기저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무조건 샤우데르 기저(無條件Schauder基底, 영어: unconditional Schauder basis)라고 한다.
무조건 샤우데르 기저는 전순서를 무시할 수 있다. 인 샤우데르 기저는 무조건 샤우데르 기저이다.
성질
[편집]균등 유계성
[편집]위의 바나흐 공간 의 샤우데르 기저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는 모두 유계 작용소이다. 사실, 만약 가 정규 샤우데르 기저라면, 균등 유계성 원리에 따라
이다. (여기서 는 작용소 노름)
존재
[편집]샤우데르 기저를 가지는 바나흐 공간은 항상 분해 가능 공간이다.
증명:
그러나 샤우데르 기저를 갖지 않는 분해 가능 바나흐 공간이 존재한다.[2]
기본열
[편집]의 폐포의 샤우데르 기저를 이룬다면, 이를 기본열(基本列, 영어: basic sequence)이라고 한다. 만약 기본열이 그 선형 생성의 폐포의 무조건 샤우데르 기저를 이룬다면, 이를 무조건 기본열(無條件基本列, 영어: unconditional basic sequence)라고 한다.
모든 무한 차원 바나흐 공간은 기본열을 가진다. 그러나 무조건 기본열을 갖지 않는 무한 차원 바나흐 공간이 존재한다.[3]
예
[편집]분해 가능 힐베르트 공간의 정규 직교 기저는 항상 무조건 샤우데르 기저이다.
Lp 공간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표준 기저
은 에 대하여 샤우데르 기저를 이룬다.
역사
[편집]스타니스와프 마주르는 1936년 11월 6일에 모든 분해 가능 바나흐 공간이 샤우데르 기저를 가지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고, 이를 증명하는 이에게 살아있는 거위를 포상하겠다고 공언하였다. 1973년에 스웨덴의 페르 엔플로가 이 문제를 부정적으로 해결하였고,[2] 마주르는 엔플로에게 살아있는 거위를 선물하였다. 이 장면은 전 폴란드에 텔레비전으로 중계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조총만 (2000). 《바나하공간론》. 대우학술총서 485. 아카넷. ISBN 978-89-8910318-9. 2016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Enflo, Per (1973년 7월). “A counterexample to the approximation problem in Banach spaces” (PDF). 《Acta Mathematica》 (영어) 130 (1): 309–317. doi:10.1007/BF02392270. ISSN 0001-5962.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6일에 확인함.
- ↑ Gowers, W. T.; Maurey, B. (1993년 10월). “The unconditional basic sequence problem”. 《Journal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6 (4). arXiv:math/9205204. Bibcode:1992math......5204G. doi:10.1090/S0894-0347-1993-1201238-0. ISSN 0894-0347. MR 1201238.
- ↑ Schauder, Julius (1927). “Zur Theorie stetiger Abbildungen in Funktionalraumen”. 《Mathematische Zeitschrift》 (독일어) 26: 47–65. doi:10.1007/BF01475440.
- Heil, Christopher (2011). 《A basis theory primer (expanded edition)》. Applied and Numerical Harmonic Analysis (영어). Birkhäuser. doi:10.1007/978-0-8176-4687-5. ISBN 978-0-8176-4686-8. ISSN 2296-5009.
- Zbigniew, Semadeni (1982). 《Schauder bases in Banach spaces of continuous functions》.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영어) 918. Springer-Verlag. doi:10.1007/BFb0094629. ISBN 978-3-540-11481-9. ISSN 0075-8434.
- McArthur, C. W. (1972년 11월). “Developments in Schauder basis theory”.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78 (6): 877-908. doi:10.1090/S0002-9904-1972-13048-9. ISSN 0273-0979. MR 0313766.
외부 링크
[편집]- “Basis”.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Normalized system”.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Schauder basis”.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Basis in functional analysis”. 《nLab》 (영어).
- “Question about Schauder bases in C([0,1])” (영어). Math Overflow.
- “What (classes of) Banach spaces are known to have Schauder basis?” (영어). Math Overf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