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긴꼬리쥐
![]() | ||||||||||||||||||||
북부긴꼬리쥐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Sicista betulina Pallas, 1779 |
북부긴꼬리쥐(Sicista betulina)는 뛰는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작은 설치류로 몸길이는 5~8cm, 몸무게는 5~13g이다. 유럽북부와 아시아의 숲과 습지에서 서식한다. 땅을 파고 굴 속에서 겨울잠을 잔다. 새싹과 곡물, 열매 그리고 곤충을 먹기도 한다.
특징[편집]
북부긴꼬리쥐는 비교적 긴 꼬리를 가진 작은 설치류이다. 머리부터 몸까지 몸길이는 51~76mm이고, 꼬리 길이는 76~108mm이다. 다 자란 성체의 몸무게는 5~13g이다. 상체는 누르스름한 회색이고 갈색의 광택을 띠며, 하체는 연한 회색빛 황색을 띤다. 검은 줄무늬가 머리부터 꼬리 윗부분까지 척추를 따라 이어진다. 소음의 휘파람 소리를 낸다.[3]
각주[편집]
- ↑ “Sicista betulin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3.2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14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Holden, M.E.; Musser, G.G. (2005). “Family Dipodidae” [뛰는쥐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87–888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Konig, Claus (1973). 《Mammals》. Collins & Co. 142–143쪽. ISBN 978-0-00-212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