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맨나무타기쥐
![]() | ||||||||||||||||||||
![]() 돌맨나무타기쥐 | ||||||||||||||||||||
보전 상태 | ||||||||||||||||||||
---|---|---|---|---|---|---|---|---|---|---|---|---|---|---|---|---|---|---|---|---|
![]() 정보부족(DD),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Prionomys batesi Dollman, 1910 |
돌맨나무타기쥐(Prionomys batesi)는 붉은숲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돌맨나무타기쥐속(Prionomys)의 유일종이다. 중앙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잘 알려지지 않은 설치류로 1910년에 발견되었다.
분포 및 서식지[편집]
돌맨나무타기쥐는 3개 나라에서 4곳, 카메룬 비테와 오발라,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라 마보케, 콩고민주공화국 오즈잘라의 모식산지만이 기록되어 있다. 전세계 박물관에서 전체 23점의 표본이 알려져 있다.[3]
각주[편집]
- ↑ “Prionomys bates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4. 2006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Denys et al.,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