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랑디디에술꼬리쥐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쥐아목 |
상과: | 쥐상과 |
과: | 붉은숲쥐과 |
아과: | 붉은숲쥐아과 |
속: | 술꼬리쥐속 |
종: | 그랑디디에술꼬리쥐 (E. grandidieri) |
학명 | |
'Eliurus grandidieri' | |
Carleton & Goodman, 1998 | |
그랑디디에술꼬리쥐의 분포 | |
![]() 그랑디디에술꼬리쥐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그랑디디에술꼬리쥐(Eliurus grandidieri)는 붉은숲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분자생물학적 증거에 따르면 그랑디디에술꼬리쥐와 가장 가까운 종은 페테르술꼬리쥐(E. petteri)이다. 그러나 그랑디디에술꼬리쥐가 더 작다.
분포 지역[편집]
마다가스카르 섬의 토착종이다.[1] 보통 해발 1250~1875m 고도의 중부산지림부터 상부산지림에서 서식한다.[2] 북부 고지대와 동부 마다가스카르의 중부 고지대 북부 지역 일부에서 산다.[2]
서식지 및 생태[편집]
그랑디디에술꼬리쥐는 경엽수림에서 발견되며, 부분적으로 기어오르는 종의 일종으로 추정하고 있다.[1] 숲에 의존하는 종이고, 숲 바깥 또는 고산 지대 초원에서는 포획되지 않지만 수림 한계선 바로 아래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1] 암컷 그랑디디에술꼬리쥐는 최대 3마리까지 새끼를 낳는 것으로 간주된다.[1]
보전 상태[편집]
그랑디디에술꼬리쥐는 현지에 널리 분포하기 때문에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종"으로 분류되고 있다.[1] 개체수 추이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1] 서식지에서 경작지로 전환하기 위해 산림 벌채가 있지만, 종을 위협하는 종으로 등재될 수 있을 만큼 산림 벌채로 인한 개체수 감소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는다.[1] 붉은숲쥐과의 모든 종, 특히 해발 800m 이상에서 흔한 종들은 도입종 설치류로부터 옮겨진 전염병으로 사망율이 100%라는 충분한 증거가 있으며, 이는 지역화된 것을 추정된다.[1] 보호 지역 3곳(안자나하리베-수드 특별보존지구, 마로제지 국립공원)에서 서식한다.[1]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Eliurus grandidier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2.2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13년 4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949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