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긴꼬리쥐
![]() | ||||||||||||||||||||
![]() 남부긴꼬리쥐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Sicista subtilis Pallas, 1773 |
남부긴꼬리쥐(Sicista subtilis)는 뛰는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발칸반도와 우크라이나, 루마니아, 러시아 남부 그리고 헝가리의 고립된 한 곳(보르소디 메조제그 보호 경관 지역)에서 발견된다. 특히 헝가리의 아종은 멸종위급종으로 엄격히 보호되고 있다. 2006년 70년만에 처음으로 살아있는 표본을 포획했다. 남부긴꼬리쥐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등 중앙을 타고 이어지는 검은 줄무늬이며, 양쪽으로 두 개의 좁은 밝은 줄무늬로 경계를 이룬다. 머리부터 엉덩이까지 길이는 56~72mm이고, 꼬리 길이는 몸길이의 110~130% 정도이다. 털 바탕색은 회색-갈색이다. 남부긴꼬리쥐는 대초원에서 사는 동물이다. 여름에는 땅 아래에 굴을 파고 겨울잠을 잔다. 녹색 식물과 곤충을 먹는다.[3]
각주[편집]
- ↑ Sicista subtilis 2008 IUCN 적색 목록. IUCN 2008. Retrieved on 12 May 2008.
- ↑ Holden, M.E.; Musser, G.G. (2005). 〈Family Dipodidae〉 [뛰는쥐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71–893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Andrew T. Smith; Yan Xie (2008). 《A guide to the mammals of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7–쪽. ISBN 978-0-691-09984-2. 2012년 1월 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