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해몽크물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몽크물범속에서 넘어옴)

지중해몽크물범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아목: 개아목
상과: 기각상과
과: 물범과
아과: 남방물범아과
족: 몽크물범족
속: 몽크물범속
(Monachus)
종: 지중해몽크물범
(M. monachus)
학명
Monachus monachus
Hermann, 1779
지중해몽크물범의 분포

지중해몽크물범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위기(EN): 절멸가능성 매우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지중해몽크물범(학명Monachus monachus)은 물범과 몽크물범속에 속하는 종이며, 지중해수도사물범이라고도 한다. 지중해 연안에만 서식하는 몽크물범의 일종으로, 모피 빛깔이 목 부분에서 달라지는 것이 꼭 중세 유럽 수도승이 쓰는 고깔을 닮아 몽크물범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같은 족의 하와이몽크물범과 이미 멸종한 카리브해몽크물범보다 덩치가 크고 무거운 몽크물범족 최대종이며, 또한 셋 중에서 가장 고위도에 서식지를 두고 있는 종이기도 하다.

휴양지 개발과 파괴, 해양 오염, 모피와 고기를 목적으로 한 남획 때문에 수가 많이 줄어 현재는 가장 심각한 멸종위기에 놓여있는 포유류 가운데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생존을 위해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동굴을 서식지로 삼고, 현재 서식지 인근의 국가들이 적극적으로 보호 정책을 마련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전염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2015년 기준으로 잔존 개체수 추정치는 약 700마리로, 이는 기각류 가운데 가장 개체수가 적은 축에 든다.[1] 현재 남아있는 개체의 대부분은 에게해, 마데이라 제도, 대서양 동북부 모리타니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외관[편집]

태어났을 때 몸길이는 80cm 정도에 불과하지만 다 자라면 2.4m까지 자랄 수 있으며 몸무게는 240-400kg까지 나간다. 수컷의 평균 몸무게는 320kg, 암컷은 300kg 정도로 양성 사이에 큰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1][3][4][5] 학계에서는 지중해몽크물범의 야생 수명을 최대 45년 안팎으로 잡고 있으며,[3] 평균적으로는 20-25년으로 본다. 인간이 길들인 개체의 경우, 태어나서 성숙해지는 데까지는 4년이 소요된다.

새끼 때는 몸길이가 1m, 몸무게는 15-18kg 정도로, 자라면서 몸이 1-1.5cm 정도 길이의 암갈색 내지 검은색 털로 뒤덮인다. 복부에는 흰 줄무늬가 있는데, 수컷과 암컷 사이에 무늬 모습과 색에 차이가 있어 자웅을 구분짓는다. 암컷은 보통 네모진 모양이지만, 수컷은 나비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6] 이 털은 성체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털로 바뀔 때까지 6-9주 정도가 걸린다.[3] 치아는 모두 8쌍이다.

기각류 가운데 가장 털이 짧게 자라는 종으로, 모피 색깔은 보통 수컷이 검은색, 암컷이 황갈색 내지 암회색을 띤다. 양쪽 모두 복부 쪽 털이 좀더 옅은색을 띠는데 수컷은 아예 흰색을 띠기도 한다. 주둥이는 둥글넓적하지만 코와 콧구멍은 두드러지게 위쪽으로 돌출해 있다. 친척뻘인 하와이몽크물범보다는 콧구멍이 좀더 앞쪽을 바라보고 있다. 앞·뒤에 달린 물갈퀴가 모두 몸집에 비하여 짧은 편이며 발톱 역시 짧고 가늘다. 젖꼭지는 2쌍으로 보이지 않게 오므릴 수 있다.[7]

번식[편집]

지중해몽크물범이 어디서 어떻게 번식하는지는 아직도 확인된 바가 몹시 적다. 주로 해안 절벽에 만들어진 동굴 내부에서 번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18세기경까지의 역사 기록에서는 대개 이들이 주로 개활된 해안에서 번식한다고 서술되어 있다. 많은 전문가들이 수컷 지중해몽크물범들이 암컷과 교미하는 장소를 정해 심한 텃세를 부리는 것으로 미루어 일부다처에 해당하는 교미 양식을 보인다고 말한다. 한 해에 특출나게 교미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번식기가 따로 없고 일 년 내내 고루 번식하지만, 대개 10-11월이 비교적 활발하게 번식한다. 하지만 해당 시기에는 거센 파도와 폭풍해일 때문에 거처인 바닷가 동굴 내부가 헹궈져 나가기 쉬워 새끼의 사망률이 높아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물범과의 계통 분류이다.[8]

물범과
남방물범아과
몽크물범족
몽크물범속

지중해몽크물범

네오모나쿠스속

카리브해몽크물범

하와이몽크물범

코끼리물범족

남방코끼리물범

북방코끼리물범

게잡이물범족

웨들해물범

얼룩무늬물범

게잡이물범

로스해물범

북방물범아과

턱수염물범

두건물범

띠무늬물범

하프물범

회색물범

물범속

잔점박이물범

점박이물범

고리무늬물범속

바이칼물범

고리무늬물범

카스피해물범

각주[편집]

  1. Karamanlidis, A. & Dendrinos, P. (2015). Monachus monachu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UCN) 2015: e.T13653A45227543. 2015년 12월 25일에 확인함. 
  2. Karamanlidis, A.A.; 외. (April 2016). “The Mediterranean monk seal Monachus monachus: status, biology, threats, and conservation priorities”. 《Mammal Review》 46 (2): 92–105. doi:10.1111/mam.12053. 
  3. “MOm Website”. Mom.gr. 16 March 2012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November 2012에 확인함. 
  4. “Mediterranean Monk Seal Fact Files: Biology: External appearance and anatomy”. Monachus-guardian.org. 2012년 11월 6일에 확인함. 
  5. “Mediterranean Monk Seal (Monachus monachus) - Office of Protected Resources - NOAA Fisheries”. Nmfs.noaa.gov. 2005년 11월 18일. 2012년 11월 6일에 확인함. 
  6. “Lobo marinho”. The City of Funchal. 2017년 9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27일에 확인함. 
  7. Costanza Formigaro; Alexandros A. Karamanlidis; Panagiotis Dendrinos; Letizia Marsili; Marina Silvi; Annalisa Zaccaroni (2017년 1월 15일). “Trace element concentrations in the Mediterranean monk seal (Monachus monachus)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76: 528–537. 
  8. Dirk-Martin Scheel, Graham Slater, Sergios-Orestis Kolokotronis, Charles Potter, David Rotstein, Kyriakos Tsangaras, Alex Greenwood, Kristofer M. Helgen: Biogeography and taxonomy of extinct and endangered monk seals illuminated by ancient DNA and skull morphology. ZooKeys 409 (2014), Pages: 1-33, doi: 10.3897/zookeys.409.6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