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엠
![]() Kakao M Corp. | |
![]() | |
형태 | 주식회사 |
---|---|
산업 분야 | 음반 |
창립 | 2018년 8월 (이엔컴퍼니) 2018년 9월 1일 (카카오엠) |
국가 | ![]()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03길 17 (삼성동, 정석빌딩)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스튜디오 :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34 상암IT타워 11층 |
대표자 | 김성수[1] |
핵심 인물 | 김성수 (대표이사) 김영석 (음악콘텐츠컴퍼니 대표이사) |
사업 내용 |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매니저업 음반 및 기타 음악 기록매체 출판업 일반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공연 · 전시 · 행사 기획 및 대행업 |
주요 주주 | 카카오 (100%) |
모기업 | 카카오 (2018년 - ) |
자회사 |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59.73%)[2][3]
킹콩 엔터테인먼트 (100%)[4] |
종업원 | 201명 |
슬로건 | "콘텐츠로 만드는 더 나은 세상"[5] |
웹사이트 | kakao-m.com |
카카오엠(영어: Kakao M)은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 음악 콘텐츠 제작 및 배급, 음반 기획, 제작 및 유통, 영상 콘텐츠 투자, 제작 및 배급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03길 17 (삼성동, 정석빌딩)에 있다.[6]
또한, 온라인 음원 서비스 "MelOn (멜론)"으로 가장 잘 알려진 대한민국의 음반사였으며, 옛 이름은 서울음반(-音盤)과 로엔엔터테인먼트였다.
이 회사는 음반 시장에서 30년 넘게 사업을 해왔다. 음반 업계의 수많은 부침 속에서 많은 위기를 보냈지만 그 때마다 대기업들과의 제휴, 발빠른 투자 등으로 살아남은 기업이다.[6]
현재에는 음반의 기획, 제작 및 판매와 영상 콘텐츠 제작 및 배급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영상 콘텐츠 제작사로는 메가몬스터 와 영화사 월광 등이 있다.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도 하고 있다. 1978년 10월 1일 시사영어사의 자회사로 설립된 이후, 1982년 7월 7일에 주식회사 서울음반으로 법인 전환하였다. 2005년에 M&A를 통해 SK그룹 계열사가 되었으나, SK 측의 지분이 스타 인베스트 홀딩스 리미티트(SIH)에 매각되면서 2013년 SK그룹에서 제외되었다. 2016년 카카오의 계열사로 편입되었다가[7], 2018년 9월 1일자로 카카오로 합병되었다.[8]
역사[편집]
- 회사는 1978년 민영빈에 의해 언어의 학습 테이프를 만드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하여 YBM시사(당시 시사영어사)의 자회사로 설립되었다.[9]
- 1982년 7월 7일, 공식 등록하고
- 1984년에 음반을 배포, 생산하기 시작했다.
- 1999년에는 벤처 캐피탈 회사로 등록, 인터넷 쇼핑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음반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 2000년에 회사명을 YBM 서울음반으로 변경하고 코스닥에 상장 하였다.
- 2005년 5월에 SK텔레콤과 주식매매, 신주인수 및 주주간 계약을 체결하였고 SK텔레콤측이 회사의 60%를 매입하여 대주주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YBM 서울음반은 SK그룹의 계열사가 되었다.[10]
- 2008년 서울음반에서 로엔 엔터테인먼트로 개명하였다.
- 2012년에는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에도 진출했다.
- 2014년에는 K-POP 브랜드 원더케이 (1theK)를 런칭했다.
- 2016년 1월 (주)카카오가 기존 대주주인 스타인베스트먼트와 SK플래닛이 지닌 지분 76.4%를 1조 8743억원에 인수함으로써 카카오의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 2018년 3월 로엔 엔터테인먼트에서 현재 이름인 카카오M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 2018년 9월 (주)카카오에 흡수합병되었다. 이후, 카카오측이 새로 설립한 이엔컴퍼니의 사명을 카카오M으로 변경하였다.
사업[편집]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7년 12월) |
카카오M은 수입 라이센싱, 수출 라이센싱, 퍼블리싱, CD, MC 생산, 프로덕션 투자, 다른 음반사의 음반 유통,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등 음악 사업 관련된 포괄적인 영역에 진출해 있다.
- 2013년 말에는 걸그룹 씨스타의 소속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의 지분 70%를 인수하였다.[11]
- 2015년 5월 말 로엔의 자회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는 배우 김범·이동욱·이광수·유연석·조윤희 등이 소속된 배우 전문 매니지먼트사이며 스타 관련 콘텐츠를 제작하는 종합 엔터테인먼트기업인 킹콩엔터테인먼트의 지분 100%를 인수 하여 양사는 콘텐츠 생산과 마케팅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계획이다. 그리고 이번 인수 후에도 경영진의 변화 없이 독립적 체제로 운영될 예정이다.[12]
- 2015년 11월 25일 로엔엔터테인먼트는 현금 126억원을 투자하여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의 지분 70%를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인수 이후 에이큐브는 경영진 교체 없이 독자적으로 운영될 방침이라고 밝혔다.[13]
- 2016년 1월 11일 스타 인베스트먼트와 SK플래닛이 보유한 로엔 지분 76.4%를 1조 8743억원에 카카오에 매각함으로써 카카오의 자회사에 편입되었다.[14]
- 2016년 5월 2일 로엔엔터테인먼트의 매니지먼트 사업부문인 로엔트리와 콜라보따리가 각각 페이브엔터테인먼트와 크래커엔터테인먼트로 사명을 변경하며 계열 분리되었다.[15]
- 2017년 1월 로엔의 자회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는 킹콩 엔터테인먼트와 합병하였다. 상호는 양사 합의 하에 스타쉽엔터테인먼트로 정했으며, 연기자 매니지먼트 사업 부문은 '킹콩 by 스타쉽' 레이블 브랜드로 활동한다.[16]
- 2019년 4월 카카오엠의 자회사 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와 페이브엔터테인먼트를 합병하였다. 합병해서 새로 만든 법인은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이다.
디스코그래피[편집]
영상 콘텐츠 유통[편집]
원더케이[편집]
카카오엠이 2011년 1월 30일에 론칭했으며 채널 명을 바꾼 것은 2014년이다.
카카오TV[편집]
카카오엠이 2020년 9월 1일에 론칭했으며 카카오TV에서는 OTT 부문을 운영한다. 자체 제작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유통한다.
자회사[편집]
소속 제작진[편집]
PD[편집]《카카오엠 (Kakao M)》
감독[편집]
|
작가[편집]《글앤그림미디어 (STORY & PICTURES MEDIA)》
|
작품[편집]
웹콘텐츠[편집]
단편 드라마[편집]
연도 | 방송사 | 제목 | 관련 제작 | 비고 |
---|---|---|---|---|
2014 | 드라마큐브 | 《어떤 안녕》 | 에이모션, 레오프로덕션 (공동) |
오리지널 공연[편집]
연도 | 방송 채널 | 제목 | 관련 내용 | 비고 |
---|---|---|---|---|
2021 | 카카오TV | 《Suzy: A Tempo》 | 콘서트 |
오리지널 예능[편집]
연도 | 방송 채널 | 제목 | 관련 내용 | 비고 |
---|---|---|---|---|
2020 | 카카오TV | 《찐경규》 | 하프 리얼리티 예능 | |
《내 꿈은 라이언》 | 서바이벌 예능 | |||
《페이스아이디》 | 라이프 리얼리티 예능 | |||
《카카오TV 모닝》 | 모닝 예능쇼 | |||
《아름다운 남자 시벨롬》 | 청춘 시트콤 | |||
《컴백쇼 뮤톡 라이브》 | 라이브 뮤직쇼 | |||
《덕후투어》 | ||||
《런웨이》 | 자기계발 리얼리티 | |||
《ATEEZ FEVER ROAD》 | 리얼리티 | |||
《싱어게인 전체공개》 | 리얼리티 |
오리지널 영화[편집]
연도 | 방송 채널 | 제목 | 관련 내용 | 비고 |
---|---|---|---|---|
2021 | 카카오TV | 《야행》 | 사나이픽처스 제작 |
오리지널 드라마[편집]
연도 | 방송 채널 | 제목 | 관련 내용 | 비고 |
---|---|---|---|---|
2020 | 카카오TV | 《아만자》 | 레진스튜디오 제작 | |
《연애혁명》 | 메리크리스마스 제작 | |||
《며느라기》 | 미디어그룹테이크투 제작 | |||
《도시남녀의 사랑법》 | 글앤그림미디어 제작 | |||
《아름다웠던 우리에게》 | 와이낫미디어 제작 | |||
2021 | 《아직 낫서른》 | 메리크리스마스 (공동) | ||
《오 마이 C반》 | 안나푸르나필름 제작 | |||
《이 구역의 미친X》 | 에스피스 제작 | |||
《당신의 운명을 쓰고 있습니다》 | 화앤담픽쳐스 제작 | |||
《남자친구를 조심해》 | ||||
《아쿠아맨》 | ||||
《재밌니, 짝사랑》 | ||||
《그림자 미녀》 |
현재 소속 연예인[편집]
카카오엠 (Kakao M)[편집]
플렉스엠 (FLEX M)[편집]
이담 엔터테인먼트 (EDAM)[편집]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 (PLAY M)[편집]
- 허각
- 에이핑크 (박초롱, 윤보미, 정은지, 손나은, 김남주, 오하영)
- 빅톤 (한승우, 강승식, 허찬, 임세준, 도한세, 최병찬, 정수빈)
- 원더나인 (전도염, 이승환, 정진성)
- 임지민
- 밴디지 (이찬솔, 강경윤, 신현빈, 임형빈)
- 위클리 (이수진, 신지윤, 먼데이, 박소은, 이재희, 지한, 조아)
크래커 엔터테인먼트 (Cre.ker)[편집]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STARSHIP)[편집]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STARSHIP)[편집]
- 케이윌
- 소유
- 듀에토 (백인태, 유슬기)
- 마인드유 (고닥, 김재희)
- 몬스타엑스 (셔누, 민혁, 기현, 형원, 주헌, 아이엠)
- 우주소녀 (엑시, 설아, 보나, 수빈, 루다, 다원, 은서, 성소, 선의, 미기, 여름, 다영, 연정)
- 정세운
- 안유진, 장원영
- CRAVITY (형준, 민희, 세림, 앨런, 정모, 우빈, 원진, 태영, 성민)
스타쉽 X (STARSHIP X)[편집]
킹콩 by 스타쉽 (KINGKONG by STARSHIP)[편집]
하이라인 엔터테인먼트 (HIGHLINE)[편집]
비에이치 엔터테인먼트 (BH)[편집]
매니지먼트 숲 (Soopent)[편집]
제이와이드컴퍼니 (J,WIDE-COMPANY)[편집]
어썸이엔티 (awesome.ent)[편집]
VAST엔터테인먼트 (VAST)[편집]
과거 소속 연예인[편집]
카카오엠 (Kakao M)[편집]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 (PLAY M)[편집]
페이브 엔터테인먼트 (FAVE)[편집]
플랜에이 엔터테인먼트 (PLAN A)[편집]
크래커 엔터테인먼트 (Cre.ker)[편집]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STARSHIP)[편집]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STARSHIP)[편집]
스타쉽 X (STARSHIP X)[편집]
킹콩 by 스타쉽 (KINGKONG by STARSHIP)[편집]
하이라인 엔터테인먼트 (HIGHLINE)[편집]
이앤티스토리 엔터테인먼트 (E&T STORY)[편집]
비에이치 엔터테인먼트 (BH)[편집]
매니지먼트 숲 (Soopent)[편집]
제이와이드컴퍼니 (J,WIDE-COMPANY)[편집]
어썸이엔티 (awesome.ent)[편집]
VAST엔터테인먼트 (VAST)[편집]
소속 연습생[편집]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 (Play M)[편집]
남자[편집]
- 플레이엠보이즈(가칭)
前 소속 여자 연습생[편집]
- 신수현 - 믹스나인, PRODUCE 48 참가자. PRODUCE 48 마감 후 써브라임아티스트에이전시 이적과 함께 연기자로 전향.
- 이수민 - PRODUCE 101 참가자, K팝스타 6 TOP 4 걸그룹 민아리 멤버, 믹스나인 참가자
- 박소연 - K팝스타 2, PRODUCE 101, 믹스나인 참가자
- 김보원 - 믹스나인 참가자
- 손예림 - 11살 때 슈퍼스타K3에 출연해서 화제가 되었던 참가자로, 믹스나인에도 참가했지만 기획사 오디션 단계에서 탈락. 엔터테인먼트 뉴오더로 이적해 2020년 1월 5일 솔로 데뷔.
- 이유진 - 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 브레이브에서 윤도희 역으로 출연
- 백민서 (2003.03.14) - 어릴 때부터 광고 모델, 아역 등 연기 활동 경험이 많음 믹스나인 참가자
- 페이브 보컬팀
- 이수진 (1999)
- 정유미 (2000)
- 이세림 (2001)
- 박해린 (2000.01.05) - 前 JYP 연습생 출신 믹스나인 참가자.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되었으나 탈퇴.
- 정채연 (2000.03.13)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 이수민 (2002.05.21)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 윤세은 (2003.06.14)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STAYC(스테이씨) 데뷔예정
- 김가은 (2003.09.18)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 박예원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 조예영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 전신비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 김다온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크래커 엔터테인먼트 (Cre.ker)[편집]
남자[편집]
- 권희준 (2001.05.01) - 프로듀스 X 101 참가자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STARSHIP)[편집]
남자[편집]
- 최석원 (1996.08.26) - NO.MERCY 참가자
여자[편집]
- 스쉽즈 (STARSHIPZ) (가칭)
- 박선 (2004.05.25) - 아이돌학교 참가자
前 소속 연습생[편집]
- 문현빈 (2000.02.26) - 프로듀스 X 101 참가자
- 조가현 (2003) - 프로듀스 48 참가자
- 박현진 (2005.05.24) - K팝스타 6 더 라스트 찬스 참가자
- 에이칠로 (2005.12.23)
- 박광지 (1993.06.20) - NO.MERCY 참가자
- 김유수 (1994.12.28) - NO.MERCY 참가자
각주[편집]
- ↑ 카카오M, 신임 대표에 김성수 CJ ENM 前대표 선임
- ↑ “(주)스타쉽엔터테인먼트”. 《saramin》. 2020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 텐아시아 (2013년 12월 19일). “로엔엔터테인먼트, 씨스타 소속사 스타쉽에 전략적 투자”. 한국경제신문. 2013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파이낸셜뉴스 (2015년 5월 20일). “로엔 자회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 킹콩엔터테인먼트 인수”. 파이낸셜뉴스.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김성수 대표 "유능한 사람 모은 카카오M, 산업적 선순환 이끌 것"
- ↑ 가 나 로엔 엔터테인먼트. “회사연혁”. 2016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 윤보람 (2016년 1월 11일). “카카오, '멜론' 로엔엔터테인먼트 인수(종합)”. 《연합뉴스》.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Kakao M”. 2018년 9월 17일에 확인함.
- ↑ 활기띠는 대중문화산업
- ↑ 문주영 기자 (2005년 5월 27일). “SKT, 국내 최대 서울음반 인수”. 경향신문.
- ↑ 김건우 (2013년 12월 18일). “로엔, 씨스타 소속사 150억원 인수 "한류 확산 기여"”. 《머니투데이》.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로엔, 유연석·이광수 소속사 킹콩엔터 인수”. 《이데일리》. 2015년 5월 20일.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김태준 기자 (2015년 11월 25일). “로엔, 에이핑크 소속 에이큐브엔터 인수”.
- ↑ 김민수 기자 (2016년 1월 11일). “카카오, '멜론' 로엔엔터테인먼트 1.8조에 인수…종합 모바일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 나선다”. ChosunBiz.
- ↑ “로엔 내부레이블 로엔트리, 페이브엔터테인먼트로 분리…자회사 편입: 스포츠동아”.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공식입장] 스타쉽·킹콩엔터 합병…씨스타·이광수 한솥밥 먹는다”.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