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엠
![]() Kakao M Corp. | |
![]() | |
형태 | 주식회사 |
---|---|
산업 분야 | 음반 |
창립 | 2018년 8월 (이엔컴퍼니) 2018년 9월 1일 (카카오엠) |
국가 | ![]()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03길 17 (삼성동, 정석빌딩) |
대표자 | 김성수[1] |
핵심 인물 | 김성수 (대표이사) 김영석 (음악컨텐츠컴퍼니 대표이사) 이준호 (영상컨텐츠컴퍼니 대표이사) |
사업 내용 |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음반 및 기타 음악 기록매체 출판업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정보제공업 콘텐츠 제작 및 배급 |
주요 주주 | 카카오 (100%) |
모기업 | 카카오 (2018년 - ) |
자회사 |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70%)[2]
킹콩 엔터테인먼트 (100%)[3] |
종업원 | 361명 (2016년, 포브스아시아 (Forbes Asia)) |
슬로건 | "즐겁게 해주다" ("We entertain")[4][5] |
웹사이트 | kakao-m.com |
![]() Kakao M Corp. | |
![]() | |
형태 | 주식회사 |
---|---|
산업 분야 | 음반 |
창립 | 1982년 7월 7일 |
해체 | 2018년 9월 1일 |
시장 정보 | 한국: 016170 |
상장일 | 2001년 1월 11일 |
국가 | ![]()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03길 17 (삼성동, 정석빌딩) |
대표자 | 이제욱 |
핵심 인물 | 이제욱 (대표이사) 김영석 (음악컨텐츠컴퍼니 대표이사) 이준호 (영상컨텐츠컴퍼니 대표이사) |
사업 내용 |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음반 및 기타 음악 기록매체 출판업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정보제공업 |
자본금 | 126억 4,585만 2,500 원 (2014년) |
매출액 | 3,232억 75,94만 4,206 원 (2014년) |
영업이익 | 584억 9,267만 1,160 원 (2014년) |
순이익 | 457억 9,709만 5,173 원 (2014년) |
자산총액 | 3,038억 8,536만 4,081 원 (2014년) |
주요 주주 | 카카오 (67.76%) NH투자증권 (6.03%)[6] |
모기업 | 와이비엠 (1982년 - 2005년) 에스케이 그룹 (2005년 - 2016년) /어피니티 에쿼티 파트너스(2013년 - 2016년) 카카오 (2016년 - 2018년) |
자회사 |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70%)[7]
킹콩 엔터테인먼트 (100%)[8] |
종업원 | 361명 (2016년, 포브스아시아 (Forbes Asia)) |
슬로건 | "즐겁게 해주다" ("We entertain")[10][11] |
웹사이트 | kakao-m.com |
![]() | |
형태 | 주식회사 |
---|---|
산업 분야 | 매니지먼트 |
창립 | 2016년 5월 2일 |
해체 | 2019년 3월 31일 |
시장 정보 | 비상장기업 |
국가 | ![]()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151 스타힐빌딩 7층 |
핵심 인물 | 장데니현진 |
사업 내용 |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매니저업 |
제품 | 음반 |
모기업 | ![]() |
웹사이트 | ifaveent.co.kr/ |
![]() SEOUL RECORD, INC. | |
산업 분야 | 음악 |
---|---|
창립 | 1978년 10월 1일 |
후신 | 서울음반 |
해체 | 1982년 7월 7일 |
국가 | ![]()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남구 |
핵심 인물 | 민영빈 |
사업 내용 |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
제품 | 음반 |
모기업 | ![]() |
카카오엠(Kakao M)은 온라인 음원 서비스 "MelOn (멜론)"으로 가장 잘 알려진 대한민국의 음반사였다. 옛 이름은 서울음반(-音盤)이며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03길 17 (삼성동, 정석빌딩)에 있다.[12] 상장기업명으로는 카카오M으로 쓴다.
이 회사는 음반 시장에서 30년 넘게 사업을 해왔다. 음반 업계의 수많은 부침 속에서 많은 위기를 보냈지만 그 때마다 대기업들과의 제휴, 발빠른 투자 등으로 살아남은 기업이다.[12]
현재에는 음반의 기획, 제작 및 판매와 콘텐츠 제작 및 배급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콘텐츠 제작사로는 메가몬스터와 크리스피 스튜디오가 있다.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도 하고 있으며 아이유의 소속사로도 잘 알려져 있다.
1978년 10월 1일 시사영어사의 자회사로 설립된 이후, 1982년 7월 7일에 주식회사 서울음반으로 법인 전환하였다. 2005년에 M&A를 통해 SK그룹 계열사가 되었으나, SK 측의 지분이 스타 인베스트 홀딩스 리미티트(SIH)에 매각되면서 2013년 SK그룹에서 제외되었다. 2016년 카카오의 계열사로 편입되었다가[13], 2018년 9월 1일자로 카카오로 합병되었다.[14]
목차
- 1 역사
- 2 사업
- 3 디스코그래피
- 4 원더케이
- 5 자회사
- 6 소속 제작진
- 7 현재 소속 연예인
- 8 과거 소속 연예인
- 9 소속 연습생
- 10 레이블
- 11 각주
- 12 더 보기
- 13 외부 링크
역사[편집]
회사는 1978년 민영빈에 의해 언어의 학습 테이프를 만드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하여 YBM시사(당시 시사영어사)의 자회사로 설립되었다.[15] 1982년 7월 7일, 공식 등록하고 1984년에 음반을 배포, 생산하기 시작했다.
1999년에는 벤처 캐피탈 회사로 등록, 인터넷 쇼핑 사이트를 운영하면서 음반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2000년에 회사명을 YBM 서울음반으로 변경하고 코스닥에 상장 하였다.
2005년 5월에 SK텔레콤과 주식매매, 신주인수 및 주주간 계약을 체결하였고 SK텔레콤측이 회사의 60%를 매입하여 대주주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YBM 서울음반은 SK그룹의 계열사가 되었다.[16]
2008년 서울음반에서 로엔 엔터테인먼트로 개명하였다.
2012년에는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에도 진출했다.
2014년에는 K-POP 브랜드 원더케이 (1theK)를 런칭했다.
2016년 1월 (주)카카오가 기존 대주주인 스타인베스트먼트와 SK플래닛이 지닌 지분 76.4%를 1조 8743억원에 인수함으로써 카카오의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2018년 3월 로엔 엔터테인먼트에서 현재 이름인 카카오M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2018년 9월 (주)카카오에 흡수합병되었다. 이후, 카카오측이 새로 설립한 이엔컴퍼니의 사명을 카카오M으로 변경하였다.
사업[편집]
![]() |
카카오M은 수입 라이센싱, 수출 라이센싱, 퍼블리싱, CD, MC 생산, 프로덕션 투자, 다른 음반사의 음반 유통,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등 음악 사업 관련된 포괄적인 영역에 진출해 있다.
- 2013년 말에는 걸그룹 씨스타의 소속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의 지분 70%를 인수하였다.[17]
- 2015년 5월 말 로엔의 자회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는 배우 김범·이동욱·이광수·유연석·조윤희 등이 소속된 배우 전문 매니지먼트사 이며 스타 관련 콘텐츠를 제작하는 종합 엔터테인먼트기업인 킹콩엔터테인먼트의 지분 100%를 인수 하여 양사는 콘텐츠 생산과 마케팅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계획이다. 그리고 이번 인수 후에도 경영진의 변화 없이 독립적 체제로 운영될 예정 이다.[18]
- 2015년 11월 25일 로엔엔터테인먼트는 현금 126억원을 투자하여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의 지분 70%를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인수 이후 에이큐브는 경영진 교체 없이 독자적으로 운영될 방침이라고 밝혔다.[9]
- 2016년 1월 11일 스타 인베스트먼트와 SK플래닛이 보유한 로엔 지분 76.4%를 1조 8743억원에 카카오에 매각함으로써 카카오의 자회사에 편입되었다.[19]
- 2016년 5월 2일 로엔엔터테인먼트의 매니지먼트 사업부문인 로엔트리와 콜라보따리가 각각 페이브엔터테인먼트와 크래커엔터테인먼트로 사명을 변경하며 계열 분리되었다.[20]
- 2017년 1월 로엔의 자회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는 킹콩 엔터테인먼트와 합병하였다. 상호는 양사 합의 하에 스타쉽엔터테인먼트로 정했으며, 연기자 매니지먼트 사업 부문은 '킹콩 by 스타쉽' 레이블 브랜드로 활동한다.[21]
- 2019년 4월 카카오엠의 자회사 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와 페이브엔터테인먼트를 합병하였다. 합병해서 새로 만든 법인은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이다.
디스코그래피[편집]
원더케이[편집]
개요[편집]
카카오엠 에서 2014년에 론칭한 브랜드이다. 유튜브 채널의 표기명은 1theK (원더케이)이다. 카카오엠이 유통하는 공식 채널이기 때문에 여기에 올라온 뮤비 조회수는 음방 순위에 포함된다. 기본적으로 뮤직 비디오나 쇼케이스가 올라온다. 원더케이 자체 웹예능 콘텐츠도 1theK 채널에 올라오다가 2019년 6월 부터 1theK Originals라는 채널을 따로 분리해서 올리시 시작했다.
콘텐츠[편집]
- ASK IN A BOX
- IN&OUT DANCE(인앳아웃 댄스)
- Special Clip
- Live ONE(라이브원)
- KPOP COVER BATTLE Legend VS Rookie (차트 밖 1위 시즌2)
- RUN TO YOU
- Spot Interview(좌표인터뷰)
- STAR MEME CHAT(고독한 덕계방)
- Q! My Dance(맞춤)
- GAP CRUSH(내돌의 온도차)
- GODRAOKE(프로의 노래방)
- Suit Dance(수트 댄스)
- GOD OF KPOP CHART(차트 밖 1위)
- OMG LIVE(無뜬금라이브)
- DANCE WAR(댄스워)
- What The!? ASMR(왓더ASMR)
- Let's Dance
- Let't Dance 척척박자
- LivePhoto(라이브포토)
- Who's Live(후즈라이브)
- Empathize Live(공감라이브)
- Dance Sprit(댄스피릿)
- My Songs In The Street(내 노래가 들려)
- Go! Relay Live(고릴라)
- The Song For You(오직 너를 위한 라이브)
- [FanMagazine with Kakao X 1theK]
- Showcase
- STAR PLAYLIST(스타와 나의 플레이리스트)
- IDOR ARCADE(대기실 옆 오락실)
- WAITINGROOM LIVE(대기실 옆 라이브)
- Color LIVE(컬러라이브)
- BORN HATER (본헤이터)
- 어마어마한 프로젝트
- STAGE MAKERS
- IDOR 360 WORLD(아이돌360월드)
- LYRIKCINEMA(리릭시네마)
- Lyric Video(리릭비디오)
- #hashtag(해시태그)
- THIS CUT(디스컷)
- The Qmentary(더큐멘터리)
- SCHOOL RADIO(스쿨라디오)
- 시리에게 노래를 불러주었다(Sing to Siri)
- WONDER LIVE
- CHEMITEST(케미테스트)
- OVEN RADIO(오븐라디오)
- CLUB99(클럽99)
- Playlist
- Special Feature
오리지널 콘텐츠[편집]
- 인터뷰
- ASK IN A BOX
- 스타와 나의 플레이리스트
- 좌표인터뷰
- 라이브/공연
- Live ONE
- 내돌의 온도차
- 프로의 노래방
- Special Clip
- RUN TO YOU
- 컬러라이브
- 無뜬금라이브
- Showcase
- 댄스/예능
- 인앤아웃 댄스
- 맞춤
- 수트댄스
- Let's Dance 척척박자
- 차트 밖 1위
- 고독한 덕계방
- 왓더ASMR
자회사[편집]
- 가수 연예기획사
- 문화인
- 크래커 엔터테인먼트
-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 - (페이브엔터테인먼트)와(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가 합병해서 새로 세운 법인
- 배우 연예기획사
- 광고모델 연예기획사
- 스타일리스트 회사
- 콘텐츠 제작사
소속 제작진[편집]
PD[편집]
- 오윤환[22] - 나 혼자 산다, 학교 다녀오겠습니다, 비긴어게인, 한끼줍쇼 등
- 문상돈[23] -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 김민종[24] (내년초 이적) - 진짜 사나이 등
- 박진경[25] (내년초 이적) - 사남일녀, 마이 리틀 텔레비전,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등
- 권해봄[26] (내년초 이적) - 마이 리틀 텔레비전, 마이 리틀 텔레비전 V2 등
현재 소속 연예인[편집]
카카오엠 (kakaoM)[편집]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 (PLAY M)[편집]
- 허각
- 에이핑크 (박초롱, 윤보미, 정은지, 손나은, 김남주, 오하영)
- 빅톤 (한승우, 강승식, 허찬, 임세준, 도한세, 최병찬, 정수빈)
- 송경일
- 나도균
- 김시형
- 장이정
- 원태연
- 원더나인 (전도염, 이승환, 정진성)
- 임지민
크래커 엔터테인먼트 (Cre.ker)[편집]
문화인 (文化人)[편집]
이앤티스토리 엔터테인먼트 (E&T STORY)[편집]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STARSHIP)[편집]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STARSHIP)[편집]
- 케이윌
- 소유
- 다솜
- 듀에토 (백인태, 유슬기)
- 마인드유 (고닥, 김재희)
- 몬스타엑스 (셔누, 민혁, 기현, 형원, 주헌, 아이엠)
- 우주소녀 (엑시, 설아, 보나, 수빈, 루다, 다원, 은서, 성소, 선의, 미기, 여름, 다영, 연정)
- 정세운
- 아이즈원 (안유진, 장원영)
- 엑스원 (강민희, 송형준)
스타쉽 X (STARSHIP X)[편집]
킹콩 by 스타쉽 (KINGKONG by STARSHIP)[편집]
- 김범
- 김지원
- 박희순
- 송승헌
- 송하윤
- 유연석
- 이광수
- 이동욱
- 이미연
- 임수정
- 조윤희
- 채수빈
- 최원명
- 강은아
- 박민우
- 오아연
- 오혜원
- 이종화
- 조윤우
- 한민
- 이엘리야
- 정준원
- 장정연
- 최희진
- 신승호
- 정주연
- 정원창
- 김민지
- 지우
하이라인 엔터테인먼트 (HIGHLINE)[편집]
비에이치 엔터테인먼트 (BH)[편집]
- 이병헌
- 유지태
- 고수
- 진구
- 박성훈
- 이희준
- 션 리차드
- 변우석
- 우효광
- 박해수
- 박정우
- 이진욱
- 정우
- 조복래
- 한효주
- 한가인
- 한지민
- 김고은
- 추자현
- 이지아
- 김용지
- 카라타 에리카
- 공승연
- 안소희
- 박지후
매니지먼트 숲 (Soopent)[편집]
제이와이드컴퍼니 (J,WIDE-COMPANY)[편집]
- 이상윤
- 이보영
- 김소연
- 강예원
- 김태리
- 백진희
- 정혜성
- 최다니엘
- 천호진
- 배종옥
- 김태우
- 김희정
- 배해선
- 조달환
- 이영은
- 오민석
- 이미도
- 민성욱
- 김사희
- 전여빈
- 신재하
- 전재형
- 진현빈
- 임지현
- 한지선
- 홍경
- 유수빈
- 최수인
- 허정은
- 박정화
- 도상우
- 박세진
어썸이엔티 (awesome.ent)[편집]
VAST엔터테인먼트 (VAST)[편집]
과거 소속 연예인[편집]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 (PLAY M)[편집]
페이브 엔터테인먼트 (FAVE)[편집]
플랜에이 엔터테인먼트 (PLAN A)[편집]
크래커 엔터테인먼트 (Cre.ker)[편집]
문화인 (文化人)[편집]
- 신현희와김루트 (신현희, 김루트)
- 한음파 (이정훈, 장혁조, 김윤태, 윤수영)
- 민채
- 롱디 (한민세, 민샥)
- 크림
- 이나
- 젊은이
- 재니
- 글로잉독
- 콜렉티브아츠 (이원우, 윤지영, 박재우, 김강산, 김현창)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STARSHIP)[편집]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STARSHIP)[편집]
스타쉽 X (STARSHIP X)[편집]
킹콩 by 스타쉽 (KINGKONG by STARSHIP)[편집]
하이라인 엔터테인먼트 (HIGHLINE)[편집]
비에이치 엔터테인먼트 (BH)[편집]
매니지먼트 숲 (Soopent)[편집]
제이와이드컴퍼니 (J,WIDE-COMPANY)[편집]
어썸이엔티 (awesome.ent)[편집]
VAST엔터테인먼트 (VAST)[편집]
소속 연습생[편집]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 (Play M)[편집]
남자[편집]
- 플레이엠보이즈(가칭)
여자[편집]
- 플레이엠걸즈(가칭) - 2020년 데뷔를 목표로 하는 하이틴 걸그룹이고 데뷔조가 확정되지 않아서 멤버가 바뀔 가능성이 있음
前 소속 여자 연습생[편집]
- 신수현 - 믹스나인, 프로듀스 48 참가자
- 이수민 - 프로듀스 101 참가자, K팝스타 6 TOP 4 걸그룹 민아리 멤버, 믹스나인 참가자
- 박소연 - K팝스타 2, 프로듀스 101, 믹스나인 참가자
- 김보원 - 믹스나인 참가자
- 손예림 - 11살 때 슈퍼스타K3에 출연해서 화제가 되었던 인물로 믹스나인에도 참가했지만 기획사 오디션 단계에서 탈락함
- 이유진 - 파워레인저 다이노포스 브레이브에서 윤도희 역으로 출연
- 백민서 (2003.03.14) - 어릴 때부터 광고 모델, 아역 등 연기 활동 경험이 많음 믹스나인 참가자
- 페이브 보컬팀
- 이수진 (1999)
- 정유미 (2000)
- 이세림 (2001)
- 박해린 (2000.01.05) - 前 JYP 연습생 출신 믹스나인 참가자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 정채연 (2000.03.13)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 이수민 (2002.05.21)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 윤세은 (2003.06.14)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 김가은 (2003.09.18)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 박예원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 조예영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 전신비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 김다온 - 플레이엠걸즈 멤버로 공개 되었으나 탈퇴함
크래커 엔터테인먼트 (Cre.ker)[편집]
남자[편집]
- 권희준 (2001.05.01) - 프로듀스 X 101 참가자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STARSHIP)[편집]
남자[편집]
- 스쉽즈 (STARSHIPZ) (가칭)
- 구정모 (2000.02.05) - 프로듀스 X 101 참가자
- 문현빈 (2000.02.26) - 프로듀스 X 101 참가자
- 함원진 (2001.03.22) - 프로듀스 X 101 참가자
- 안성민 (2003)
- 박광지 (1993.06.20) - NO.MERCY 참가자
- 김유수 (1994.12.28) - NO.MERCY 참가자
- 최석원 (1996.08.26) - NO.MERCY 참가자
- 박현진 (2005.05.24) - K팝스타 6 더 라스트 찬스 참가자
- 에이칠로 (2005.12.23)
여자[편집]
- 스쉽즈 (STARSHIPZ) (가칭)
- 박선 (2004.05.25) - 아이돌학교 참가자
- 조가현 (2003) - 프로듀스 48 참가자
- 강다민 (2004.03.24) - 프로듀스 48 참가자
레이블[편집]
- FNC 엔터테인먼트 (FT아일랜드, 씨엔블루, AOA, 엔플라잉, SF9, 허니스트, 체리블렛) 레이블 계약
- 큐브 엔터테인먼트 (장현승, 비투비, CLC, 펜타곤, 유선호, (여자)아이들, 가을로 가는 기차, 우석 X 관린) 레이블 계약
-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레이나, 한동근) 레이블 계약
- 울림 엔터테인먼트 (인피니트, 러블리즈, 골든차일드) 레이블 계약
- 티오피미디어 (틴탑, 백퍼센트, 업텐션) 레이블 계약
- iHQ (god) 레이블 계약
- RBW (양파, 마마무, 브로맨스, 원어스, 원위) 레이블 계약
- 쏘스뮤직 (여자친구) 레이블 계약
- KQ 엔터테인먼트 (이든) 레이블 계약
- 블러썸 엔터테인먼트 (박보검) 레이블 계약
-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케이윌, 소유, 몬스타엑스, 우주소녀, 듀에토, 마인드유, 정세운, 주영, 유승우, 브라더수, 샵건) 레이블 계약
-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 (허각, 에이핑크, 빅톤, 임지민, 송경일, 나도균, 김시형, 장이정) 레이블 계약
- 크래커 엔터테인먼트 (더보이즈) 레이블 계약
- 문화인 (박정현, 우효, 윤현상, 유라, 크래커, 앤츠, 알레프, 서교동의 밤, 로지, 헤이맨, 에버루아, 아일, 문없는집) 레이블 계약
- 브레이브 엔터테인먼트 (사무엘) 레이블 계약
- 어라운드어스 엔터테인먼트 (하이라이트) 레이블 계약
- 바나나컬쳐 엔터테인먼트 (트레이) 레이블 계약
- WM 엔터테인먼트 (B1A4, 오마이걸) 레이블 계약
- AOMG (그레이, 로꼬, 사이먼 도미닉, 코드 쿤스트) 레이블 계약
- 린치핀뮤직 (스윙스, 기리보이, 블랙넛, 천재노창, 씨잼, 한요한, 고어텍스, 오션검) 레이블 계약
- 인디고뮤직 (스윙스, 키드밀리, 영비, 저스디스, 노엘, 재키와이) 레이블 계약
- 메이크어스 엔터테인먼트 (박원, 어반자카파, 선미) 레이블 계약
- 매직스트로베리사운드 (10cm, 옥상달빛, 선우정아, 치즈, 윤딴딴) 레이블 계약
- 글러브 엔터테인먼트 (박효신, 정재일) 레이블 계약
- 쇼파르 뮤직 (김지수, 김사랑, 바닐라 어쿠스틱, 스웨덴세탁소, 레터플로우, 스무살, 볼빨간사춘기) 레이블 계약
- 브랜뉴뮤직 (한해, 양다일) 레이블 계약
- 키위미디어그룹 (공원소녀) 레이블 계약
- MLD 엔터테인먼트 (모모랜드) 레이블 계약
- TS 엔터테인먼트 (언터쳐블, 시크릿, 소나무, TRCNG) 레이블 계약
- KYT 엔터테인먼트 (코요태) 레이블 계약
- 애스토리엔터테인먼트 (FAVORITE) 레이블 계약
- 뮤직팜 (이적, 김동률, 존 박, 곽진언) 레이블 계약
- 안테나 (유희열, 정승환, 샘 김) 레이블 계약
- 미스틱스토리 (PERC%NT) 레이블 계약
- DSP미디어 (에이젝스, 에이프릴, 카드) 레이블 계약
- MBK 엔터테인먼트 (다이아, 원더나인) 레이블 계약
- 그랜드라인 엔터테인먼트 (스텔라장) 레이블 계약
- 브랜뉴에이 (빈센트블루) 레이블 계약
- 버스커버스커 (장범준) 레이블 계약
- Bunker (모드니) 레이블 계약
- OURS Co. (에픽하이) 레이블 계약
- 써브라임아티스트에이전시 (효민) 레이블 계약
- 블록베리 크리에이티브 (이달의 소녀) 레이블 계약
- 하이라인 엔터테인먼트 (키겐, dress, 장석훈, leon, fka) 레이블 게약
- 쥬스 엔터테인먼트 (DK) 레이블 계약
- 페포니 뮤직 (잔나비) 레이블 계약
- 본 (born)
- 소비어스
- 케이문에프엔디 (이문세) 레이블 계약
- 먼데이키즈 컴퍼니 (먼데이키즈) 레이블 계약
- 포레스트 네트워크 (세븐어클락) 레이블 계약
- 하얀달 엔터테인먼트 (로코베리) 레이블 계약
- 넥스타엔터테인먼트 (케이시) 레이블 계약
- 모스트웍스 (임한별) 레이블 계약
- 위엔터테인먼트 (김동한) 레이블 계약
- 뉴런뮤직 (폴킴) 레이블 계약
- 하이업엔터테인먼트 (사이로) 레이블 계약
- SD엔터테인먼트 (세러데이) 레이블 계약
- DH PLAY 엔터테인먼트 (오왠) 레이블 계약
- 아이디어뮤직엔터테인먼트코리아 (드림노트) 레이블 계약
- WNA Records (썸데프) 레이블 계약
- visionary1 records (정기고) 레이블 계약
각주[편집]
- ↑ 카카오M, 신임대표에 김성수 CJ ENM 前대표 선임
- ↑ 텐아시아 (2013년 12월 19일). “로엔엔터테인먼트, 씨스타 소속사 스타쉽에 전략적 투자”. 한국경제신문. 2013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파이낸셜뉴스 (2015년 5월 20일). “로엔 자회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 킹콩엔터테인먼트 인수”. 파이낸셜뉴스.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로엔엔터테인먼트, 사명 카카오M으로 변경
- ↑ 로엔, '카카오M'으로 새출발…'K-컬쳐 리더' 발돋움
- ↑ “보관 된 사본”. 2017년 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텐아시아 (2013년 12월 19일). “로엔엔터테인먼트, 씨스타 소속사 스타쉽에 전략적 투자”. 한국경제신문. 2013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 파이낸셜뉴스 (2015년 5월 20일). “로엔 자회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 킹콩엔터테인먼트 인수”. 파이낸셜뉴스.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김태준 기자 (2015년 11월 25일). “로엔, 에이핑크 소속 에이큐브엔터 인수”.
- ↑ 로엔엔터테인먼트, 사명 카카오M으로 변경
- ↑ 로엔, '카카오M'으로 새출발…'K-컬쳐 리더' 발돋움
- ↑ 가 나 로엔 엔터테인먼트. “회사연혁”. 2016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 윤보람 (2016년 1월 11일). “카카오, '멜론' 로엔엔터테인먼트 인수(종합)”. 《연합뉴스》.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Kakao M”. 2018년 9월 17일에 확인함.
- ↑ 활기띠는 대중문화산업
- ↑ 문주영 기자 (2005년 5월 27일). “SKT, 국내 최대 서울음반 인수”. 경향신문.
- ↑ 김건우 (2013년 12월 18일). “로엔, 씨스타 소속사 150억원 인수 "한류 확산 기여"”. 《머니투데이》.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로엔, 유연석·이광수 소속사 킹콩엔터 인수”. 《이데일리》. 2015년 5월 20일.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김민수 기자 (2016년 1월 11일). “카카오, '멜론' 로엔엔터테인먼트 1.8조에 인수…종합 모바일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 나선다”. ChosunBiz.
- ↑ “로엔 내부레이블 로엔트리, 페이브엔터테인먼트로 분리…자회사 편입: 스포츠동아”.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공식입장] 스타쉽·킹콩엔터 합병…씨스타·이광수 한솥밥 먹는다”.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오윤환 CP, 12일부로 JTBC 퇴사→카카오M 이적(공식입장)
- ↑ 카카오M, 김민종·문상돈·박진경·권해봄 PD 영입…디지털 콘텐츠 제작 시동
- ↑ 카카오M, 김민종·문상돈·박진경·권해봄 PD 영입…디지털 콘텐츠 제작 시동
- ↑ 카카오M, 김민종·문상돈·박진경·권해봄 PD 영입…디지털 콘텐츠 제작 시동
- ↑ 카카오M, 김민종·문상돈·박진경·권해봄 PD 영입…디지털 콘텐츠 제작 시동
더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카카오엠
- 카카오엠 - 공식 웹사이트
- 1theK
-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
-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 - 공식 웹사이트
-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 - 페이스북
-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 - 인스타그램
-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 - 트위터
- 플레이엠 엔터테인먼트의 채널 - 유튜브
- 크래커 엔터테인먼트
- 이앤티스토리 엔터테인먼트
- 이앤티스토리 엔터테인먼트 - 공식 웹사이트
- 이앤티스토리 엔터테인먼트 - 페이스북
- 이앤티스토리 엔터테인먼트 - 인스타그램
- 이앤티스토리 엔터테인먼트 - 트위터
- 문화인
-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 공식 웹사이트
-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 V LIVE
-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 인스타그램
-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 페이스북
- 스타쉽 엔터테인먼트 - 트위터
- 스타쉽 엔터테인먼트의 채널 - 유튜브
- 스타쉽 엑스
- 킹콩 by 스타쉽
- 하이라인 엔터테인먼트
- BH 엔터테인먼트
- BH 엔터테인먼트 - 공식 웹사이트
- 매니지먼트 숲
- 제이와이드 컴퍼니
- 어썸이엔티
- VAST 엔터테인먼트
- VAST 엔터테인먼트 - 공식 웹사이트
- VAST 엔터테인먼트 - 페이스북
- VAST 엔터테인먼트 - 인스타그램
- 레디 엔터테인먼트
- 메가몬스터
- 메가몬스터 - 공식 웹사이트
- 크리스피 스튜디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