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정보 보안 사고 목록
보이기
시기 | 기관 | 유형 | 피해규모 | 관련문서 |
---|---|---|---|---|
2003년 1월 | KT | DNS서버공격 | 9시간 간 마비 | 1·25 인터넷 대란 |
2005년 5월 | 엔씨소프트 | 개인정보유출 | 50만명[1] | |
2008년 2월 | 옥션 | 개인정보유출 | 1,863만명 | 옥션 개인정보 유출 사건 |
2008년 4월 | 하나로텔레콤 | 개인정보유출 | 600만명 | |
2008년 9월 | GS칼텍스 | 개인정보유출 | 1,125만명 | |
2009년 7월 | 정부기관, 포털, 은행 | 사이트 마비 | 7·7 DDoS 공격 | |
2010년 3월 | 신세계몰 | 개인정보유출 | 820만명 | 2010년 대한민국 개인정보 대량유출 사건 |
2011년 3월 | 정부기관, 포털, 은행 | 사이트 마비 | 3·3 DDoS 공격 | |
2011년 4월 | 현대캐피탈 | 개인정보유출 | 175만명 | 현대캐피탈 해킹 사건 |
2011년 4월 | 농협 | 전산망 마비 | 수백억원 추정[2] | 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 |
2011년 7월 | SK컴즈 | 개인정보유출 | 3,500만명 | 네이트 개인정보 유출 사건 |
2011년 8월 | 한국앱손 | 개인정보유출 | 35만명 | |
2011년 10월 | 선거관리위원회 | 사이트 마비 | 10·26 DDoS 공격 | |
2011년 11월 | 넥슨 | 개인정보유출 | 1,320만명 | |
2012년 3월 | SK텔레콤, KT | 개인정보유출 | 20만명 | |
2012년 5월 | EBS | 개인정보유출 | 400만명 | |
2012년 6월 | 코웨이 | 개인정보유출 | 198만명 | |
2012년 7월 | KT | 개인정보유출 | 870만명[3] | |
2013년 3월 | MBC, KBS, 신한은행, 농협 등 | 전산망 마비 | 3·20 전산 대란 | |
2013년 4월 | SC제일은행, 씨티은행 | 개인정보유출 | 13만명 | |
2013년 5월 | 민족문제연구소 | 개인정보유출 | 912명[4] | |
2013년 6월 | 새누리당, 군장병, 청와대, 주한미군 | 개인정보유출 | 294만명 | 6·25 사이버 테러 |
2014년 1월 | KB국민카드, 롯데카드, NH농협은행 | 개인정보유출 | 2,000만명 | 2014년 대한민국 개인정보 대량유출 사건 |
2014년 3월 | KT | 개인정보유출 | 1,200만명[5] | |
2014년 3월 | SKT, LG U+ 등 | 개인정보유출 | 1,230만명[6] | |
2014년 3월 | 국토교통부 | 개인정보유출 | 2,000만명[7] | |
2015년 9월 | 뽐뿌 | 개인정보유출 | 200만명[8] | |
2016년 7월 | 인터파크 | 개인정보유출 | 1,030만 건[9] | |
2017년 4월 | 야피존 | 가상화폐유출 | 55억원 | |
2017년 6월 | 빗썸 | 개인정보유출 | 3만 6천명[10] | |
2017년 7월 | 유진투자선물, 디비피아 등 20개 업체 | 개인정보유출 | 3,300만 건[11] | |
2017년 9월 | 이스트소프트 | 개인정보유출 | 13만 건[12] | |
2017년 9월 | 하나투어 | 개인정보유출 | 100만 건[13] | |
2017년 12월 | 유빗(구 야피존) | 가상화폐유출 | 172억원 | |
2018년 6월 | 코인레일 | 가상화폐유출 | 400억원 | |
2018년 6월 | 빗썸 | 가상화폐유출 | 350억원[14] | |
2019년 4월 | 네이버 | 개인정보유출 | 2,200여명[15] | |
2019년 11월 | 업비트 | 가상화폐유출 | 580억원[16] |
출처
[편집]- ↑ 게임회사 잘못으로 아이디유출 재산 피해 없어도 위자료 줘야 Archived 2016년 3월 4일 - 웨이백 머신 서울경제, 2007년 1월 26일
- ↑ 농협사태 피해액 수백억 달할 듯, 한국경제신문
- ↑ KT도 870만명 개인정보 줄줄 샜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매일경제신문
- ↑ 민족문제硏 홈피 해킹 ‘일베’ 고교생 2명 입건 Archived 2014년 3월 14일 - 웨이백 머신, 동아뉴스
- ↑ KT 홈페이지 해킹…1천200만명 개인정보 털렸다 연합뉴스, 2014년 3월 6일
- ↑ KT LG유플러스·SKT 등에서 고객정보 1230만건 또 유출 머니투데이, 2014년 3월 11일
- ↑ 자동차민원 관리사업자 포털 운전자 2천만명 개인정보 줄줄 MBC, 2014년 3월 26일
- ↑ “커뮤니티 사이트 뽐뿌 해킹! 회원정보 모두 유출”. 《boannews》. 2016년 10월 14일에 확인함.
- ↑ “인터파크 고객정보 1000여만건 유출…경찰, 해킹 혐의 수사 착수”. 《경향신문》. 2016년 7월 25일.
- ↑ 오동현 (2017년 12월 12일). “'빗썸' 해킹사고, 3만6487건 개인정보 유출”. 《뉴시스》.
- ↑ “개인정보 3300만건 유출 해커 검거...2차 피해 우려”. 《전자신문》. 2017년 7월 30일. 2017년 7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보안업체 이스트소프트마저 해킹 피해…개인정보 13만건 유출”. 《한국일보》. 2017년 9월 5일.
- ↑ “하나투어 해킹당해…이름·전화번호·집주소 100만여건 유출”. 《조선비즈》. 2017년 10월 18일.
- ↑ “가상화폐거래소 해킹피해 1천억원 육박…줄줄이 보안취약 노출”. 《문화일보》. 2018년 6월 20일.
- ↑ “[위클리 스마트] 네이버 '창사 이래 최악'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 무리수 뒀나”. 《매일경제》. 2019년 5월 4일. 2019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2월 26일에 확인함.
- ↑ “업비트 580억 원 이더리움 탈취 사고와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현황”. 《ITWorld》. 2019년 12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