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메리카수달
보이기
![]() | ||
---|---|---|
![]() 남아메리카수달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식육목 | |
과: | 족제비과 | |
아과: | 수달아과 | |
속: | 아메리카수달속 | |
종: | 남아메리카수달 (L. provocax) | |
학명 | ||
Lontra provocax | ||
(Thomas, 1908) | ||
아종 | ||
| ||
남아메리카수달의 분포 지역 | ||
![]() 남아메리카수달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남아메리카수달 또는 남방강수달, 후일린(Lontra provocax)은 칠레와 아르헨티나에서 서식하는 수달의 일종이다.[2] "강수달"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지만, 바다와 민물 환경 모두에서 서식한다. 북아메리카수달의 아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불법적 사냥과 수질 오염 그리고 서식지 감소 등으로 멸종위기종으로 등록되어 있다.
특징
[편집]중간 크기의 수달로 몸길이는 최대 70cm에 달하며, 꼬리 길이는 40cm 정도이다. 몸무게는 평균 5-10 kg이다. 몸 윗 부분은 암갈색을 아랫 쪽은 연한 황갈색을 띤다.
습성
[편집]암컷과 새끼들은 가족을 이루어 함께 살지만 수컷들은 주로 홀로 생활한다. 한 번에 보통 1~2마리를 낳고, 최대 4마리까지 낳는다. 먹이는 물고기와 연체동물 그리고 조류 등이다.
서식지
[편집]바다와 민물 그리고 육지에서 발견될 수 있지만, 주로 울창한 식물을 가진 특히 해안선을 따라서 민물 호수와 강에서 발견되는 데, 식물을 자신들의 몸을 숨기는 데 쓴다. 큰 나무 뿌리나 쓰러진 나무의 잔해도 사용한다.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기초한 수달아과의 계통 분류이다.[3]
수달아과 |
| ||||||||||||||||||||||||||||||||||||||||||||||||||||||||||||||||||
각주
[편집]- ↑ {{{사정}}} ({{{연도}}}). {{{제목}}}. 2010 IUCN 위기종의 적색 목록. IUCN 2010. {{{다운로드}}} 내려받음.
- ↑ Koepfli, Klaus-Peter; Deere, K.A.; Slater, G.J.; Begg, C.; Begg, K.; Grassman, L.; Lucherini, M.; Veron, G.; Wayne, R.K. (February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doi:10.1186/1741-7007-6-10. PMC 2276185. PMID 18275614.
- ↑ Law, C. J.; Slater, G. J.; Mehta, R. S. (2018년 1월 1일).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Systematic Biology》 67 (1): 127–144. doi:10.1093/sysbio/syx047. PMID 28472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