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털족제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긴털족제비
뉴채플 영국야생센터의 웨일스족제비
뉴채플 영국야생센터의 웨일스족제비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아목: 개아목
과: 족제비과
아과: 족제비아과
속: 족제비속
종: 긴털족제비
(M. putorius)
학명
Mustela putorius
Linnaeus, 1758
아종
  • 본문 참조
긴털족제비의 분포

긴털족제비의 분포 지역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긴털족제비 또는 유럽족제비 (Mustela putorius), 일반 족제비, 검은색 또는 숲 족제비, 유럽 흰 족제비, 또는 야생 족제비 라고도 하며, 는 유라시아 서부와 북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족제비과 동물의 일종이다.[2] 대체적으로 암갈색을 띠며 아랫배 쪽은 연한 색, 얼굴은 어두운 색을 띤다. 이따금 색 변이를 일으켜, 색소 결핍증이나 적발증이 나타나기도 한다.[3] 다른 밍크류족제비류에 비해 긴털족제비는 몸길이가 짧고 아담하며,[4][5] 좀더 튼튼한 골격과 치열을 갖고 있으며[6] 덜 날쌘 편이고[7], 특히, 자기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고약한 냄새가 나는 액체를 분비하는 동물로 잘 알려져 있다.

다른 족제비류보다 영역 표시를 훨씬 적게 하고, 같은 성을 지닌 다른 동물들과 서식지를 공유한다.[8] 다른 족제비류처럼, 긴털족제비는 일부다처제를 하며, 짝짓기 후에 배란 촉진 없이 곧바로 임신이 가능하다.[9] 보통 초여름에 5~10마리로 이루어진 새끼를 낳고, 2~3개월 후에는 독립한다. 먹이는 작은 설치류와 조류, 양서류, 파충류 등이다.[10] 가끔 이빨로 먹이의 뇌를 찔러 도망치지 못하도록 만들어서, 나중에 먹기 위해서 먹이가 아직 살아있는 채로 굴 속에 보관한다.[9][11]

아종[편집]

7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12]

  • 커먼긴털족제비 (M. p. putorius)
  • 웨일스족제비 (M. p. anglia)
  • 지중해족제비 (M. p. aureola)
  • 스코틀랜드족제비 (M. p. caledoniae)
  • 페럿 (M. p. furo)
  • 중부러시아족제비 (M. p. mosquensis)
  • 카르파티아족제비 (M. p. rothschildi)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족제비아과의 계통 분류이다.[2][13]

족제비아과

아메리카밍크

긴꼬리족제비

등줄무늬족제비

말레이시아족제비

북방족제비

쇠족제비

고산족제비

족제비

유럽밍크

검은발족제비

긴털족제비

스텝긴털족제비

각주[편집]

  1. “Mustela putori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3월 21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least concern
  2. Koepfli, Klaus-Peter; Deere, K.A.; Slater, G.J.; Begg, C.; Begg, K.; Grassman, L.; Lucherini, M.; Veron, G.; Wayne, R.K. (February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doi:10.1186/1741-7007-6-10. PMC 2276185. PMID 18275614. 
  3. Heptner & Sludskii 2002, 1109–1111쪽
  4. Heptner & Sludskii 2002, 1108쪽
  5. Miller 1912, 419쪽
  6. Heptner & Sludskii 2002, 1112–1113쪽
  7. Heptner & Sludskii 2002, 1130쪽
  8. Harris & Yalden 2008, 480–481쪽
  9. Harris & Yalden 2008, 482–483쪽
  10. Heptner & Sludskii 2002, 1127–1129쪽
  11. Johnston 1903, 155쪽
  12. Wozencraft, W.C. (2005). “Order Carnivora” [식육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13. Bininda-Emonds OR; Gittleman JL; Purvis A (1999). “Building large trees by combining phylogenetic information: a complete phylogeny of the extant Carnivora (Mammalia)”. 《Biol Rev Camb Philos Soc》 74 (2): 143–75. doi:10.1017/S0006323199005307. PMID 10396181. 

외부 링크[편집]